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신진자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작품명= 김태-신진자동차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3년 |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김태]]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유형= 경제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800px|center]]
+
1974년까지 완전 국산화를 목표로 자동차 생산에 여념이 없는 [[신진자동차]] 공장 광경을 그린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1974년까지 완전 국산화 목표아래 자동차 생산에 여념이 없는 공장 광경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
===작품 소재===
 +
1962년 8월에 재일교포 박노정은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연간 6천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새나라자동차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모델을 SKD(Semi Knock Down :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들여와 '새나라호'라는 이름으로 판매하였다. [[새나라자동차]]는 설립과정과 블루버드의 수입 판매에 관련하여 당시 정부의 특혜시비 의혹에 휘말리며 (자동차등 4대의혹사건) 1963년 7월에 한일은행의 관리하에 들어가게 되었다.<br/> 
 +
1965년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사는 이듬해 상호를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부평공장에서 '코로나'를 생산하였다. 코로나는 당시 승용차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2년까지 4만4,248대가 생산되는 인기를 누렸다. 그후 [[신진자동차공업]]은  크라운, 에이스, 퍼블리카, 랜드크루저 픽업, 도요타 중형 트럭 등 여러 차종을 생산하였으나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하였다.<br/>   
 +
1970년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중국의 수상인 [[주은래]]가 발표한 [[주4원칙]](周四原則 : 대만과 국교를 맺고 있는 나라(한국)와 관계를 맺는 나라와는 거래하지 않겠다는 내용)<ref>박은태, 『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9587&cid=42085&categoryId=42085 주4원칙]", 경제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에 호응해 한국에서 자동차산업 철수를 결정하였다. 그러자 [[신진자동차공업]]은 1972년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하여 [[GM코리아]]를 설립하여 부평공장에서 '시보레 1700', '레코드 1900' 등을 양산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도로 사정과는 맞지 않아 판매가 저조하였다.<br/>
 +
1976년 [[신진자동차공업]]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회사명을 [[새한자동차]]로 변경하였다. 그 해 1976년 대우는 신진그룹의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현 대우중공업)를 인수한 것을 계기로 1978년 새한자동차를 인수하였고 1983년 GM으로부터 경영권을 이양받아 상호를 [[대우자동차]]로 바꾸었다.<br/>
 +
한편 이와 별도로 [[신진자동차공업]]은 GM코리아의 경영이 부실해지자 1974년에 미국의 AMC(America Motor Company)그룹의 지프 디비전과 50대 50 합작하여 [[신진지프자동차]]를 설립하였다. 신진지프는 1979년 미국 AMC와 결별후 1981년 사명을 주식회사 거화(巨和)로 변경하고 '코란도'를 출시하였다. 그 후 1984년 회사내부 갈등으로 흑자도산하여 [[동아자동차]](현 쌍용자동차)에 인수되었다.<br/>
  
<br/>
+
===작품 배경===
 +
[[신진자동차공업]]의 경기도 부평공장에서 미국 GM의 [[시보레 1700]]을 생산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
===그림 읽기===
민족기록화 1차 경제편 (1973년 4월~1974년 12월)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온양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gallery>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1973s.jpg |[[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파일:이의주-호남정유-1973s.jpg |[[이의주-호남정유]]
+
<imagemap>Image:김태-신진자동차-1973s.jpg|center|900px
파일: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1973s.jpg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poly 331 225 286 246 281 302 267 348 288 369 321 369 427 416 543 416 645 382 649 320 623 302 526 269 483 222 374 218 [[시보레 1700]]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imagemap>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파일: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박득순-현대조선소]]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파일:김숙진-한국비료-1973s.jpg |[[김숙진-한국비료]]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하인두-동명목재]]
 
파일:김종하-한일합섬-1973s.jpg |[[김종하-한일합섬]]
 
파일:김원-마산공업단지-1973s.jpg |[[김원-마산공업단지]]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파일:박광진-소양강댐-1973s.jpg |[[박광진-소양강댐]]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파일: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천칠봉-경지정리]]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용환-굴뗏목양식]]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gallery>
 
  
 
+
=='''지식 관계망'''==
=='''추출정보'''==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75/C075.htm "신진자동차"(김태) 지식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신진자동차.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html>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75/C07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태-신진자동차]]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태-신진자동차]]  || [[자동차산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태-신진자동차]]  || [[신진자동차공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태-신진자동차]]  || [[시보레 1700]]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태-신진자동차]]  || [[한국지엠 부평공장]]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김태]]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3년
+
|1973년 || [[김태]]가 [[김태-신진자동차]]를 제작하였다
 
|-
 
|-
|온양문화원||소장처 (임대)|| 1991년
+
|1991년 01월 09일-1992년 01월 08일 || [[온양문화원]]이 [[김태-신진자동차]]를 대여하였다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781658 || 126.996605 || [[온양문화원]]이 [[김태-신진자동차]]를 대여하였다
 +
|-
 +
|37.512056 || 126.710062 || [[김태-신진자동차]]는 [[한국지엠 부평공장]]을 배경으로 한다
 +
|}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파일:김원-마산공업단지-1973s.jpg |[[김원-마산공업단지]]
 +
파일: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1973s.jpg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파일:박항섭-한양화학공업-1975s.jpg |[[박항섭-한양화학공업]]
 +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
파일:양인옥-기아산업-1975s.jpg |[[양인옥-기아산업]]
 +
파일: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박득순-현대조선소]]
 +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파일:김종하-한일합섬-1973s.jpg |[[김종하-한일합섬]]
 +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
파일:이용환-삼도물산-1975s.jpg |[[이용환-삼도물산]]
 +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 |[[최영림-대동공업]]
 +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
파일:김숙진-한국비료-1973s.jpg |[[김숙진-한국비료]]
 +
파일: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박영선-인천판유리]]
 +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하인두-동명목재]]
 +
</gallery>
  
=='''참고문헌'''==
+
=='''시각자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
+
===갤러리===
<br/>
+
 
 +
===영상===
 +
*KTV 대한뉴스, [https://www.youtube.com/embed/ofxLRntaDiM?ecver=2 대한뉴스 제 579호-건설의 메아리], ''YouTube'', 작성일: 2016년 11월 13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fxLRntaDiM?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경제]][[분류:현대]]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
#웹 자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C%A7%84%EC%9E%90%EB%8F%99%EC%B0%A8%EA%B3%B5%EC%97%85 신진자동차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ko.wikipedia.org/wiki/%EC%83%88%EB%82%98%EB%9D%BC%EC%9E%90%EB%8F%99%EC%B0%A8 새나라자동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4282 대우자동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김태-신진자동차
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74년까지 완전 국산화를 목표로 자동차 생산에 여념이 없는 신진자동차 공장 광경을 그린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62년 8월에 재일교포 박노정은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연간 6천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새나라자동차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모델을 SKD(Semi Knock Down :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들여와 '새나라호'라는 이름으로 판매하였다. 새나라자동차는 설립과정과 블루버드의 수입 판매에 관련하여 당시 정부의 특혜시비 의혹에 휘말리며 (자동차등 4대의혹사건) 1963년 7월에 한일은행의 관리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1965년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사는 이듬해 상호를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부평공장에서 '코로나'를 생산하였다. 코로나는 당시 승용차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2년까지 4만4,248대가 생산되는 인기를 누렸다. 그후 신진자동차공업은 크라운, 에이스, 퍼블리카, 랜드크루저 픽업, 도요타 중형 트럭 등 여러 차종을 생산하였으나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하였다.
1970년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중국의 수상인 주은래가 발표한 주4원칙(周四原則 : 대만과 국교를 맺고 있는 나라(한국)와 관계를 맺는 나라와는 거래하지 않겠다는 내용)[1]에 호응해 한국에서 자동차산업 철수를 결정하였다. 그러자 신진자동차공업은 1972년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하여 GM코리아를 설립하여 부평공장에서 '시보레 1700', '레코드 1900' 등을 양산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도로 사정과는 맞지 않아 판매가 저조하였다.
1976년 신진자동차공업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회사명을 새한자동차로 변경하였다. 그 해 1976년 대우는 신진그룹의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현 대우중공업)를 인수한 것을 계기로 1978년 새한자동차를 인수하였고 1983년 GM으로부터 경영권을 이양받아 상호를 대우자동차로 바꾸었다.
한편 이와 별도로 신진자동차공업은 GM코리아의 경영이 부실해지자 1974년에 미국의 AMC(America Motor Company)그룹의 지프 디비전과 50대 50 합작하여 신진지프자동차를 설립하였다. 신진지프는 1979년 미국 AMC와 결별후 1981년 사명을 주식회사 거화(巨和)로 변경하고 '코란도'를 출시하였다. 그 후 1984년 회사내부 갈등으로 흑자도산하여 동아자동차(현 쌍용자동차)에 인수되었다.

작품 배경

신진자동차공업의 경기도 부평공장에서 미국 GM의 시보레 1700을 생산하고 있다.

그림 읽기

시보레 1700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신진자동차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신진자동차 자동차산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공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신진자동차 시보레 1700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신진자동차 한국지엠 부평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김태김태-신진자동차를 제작하였다
1991년 01월 09일-1992년 01월 08일 온양문화원김태-신진자동차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1658 126.996605 온양문화원김태-신진자동차를 대여하였다
37.512056 126.710062 김태-신진자동차한국지엠 부평공장을 배경으로 한다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박은태, 『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온라인 참조: "주4원칙", 경제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2.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