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상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상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상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한자표기= 床
 
|한자표기= 床
 
|영문명칭=
 
|영문명칭=
18번째 줄: 18번째 줄:
  
 
=='''정의'''==
 
=='''정의'''==
 +
조선시대 의례에서 제기 및 제수를 진설하는 탁자이다.
  
 
=='''내용'''==
 
=='''내용'''==
 +
나무로 만들며, 테두리는 흑칠을 하고 가운데는 주칠을 하였다.<br/>
 +
종묘 각 신실마다 5좌의 상을 두며 실내에는 4좌, 준소(尊所)에는 1좌를 사용하였다.<br/>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상(床)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상(床)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상_종묘의궤_규장각.jpg|상<ref>『종묘의궤(宗廟儀軌)』</ref>
 +
</gallery>
  
 
=='''주석'''==
 
=='''주석'''==
32번째 줄: 4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538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A2%85%EB%AC%98%EC%B9%9C%EC%A0%9C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online></html>, 국립고궁박물관.
 +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online</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237&index_id=cp02370054&content_id=cp023700540001&search_left_menu=2 제기 종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
*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asp 제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제례보존회.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7일 (금) 23:46 기준 최신판


상(床)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한자표기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관련장소 종묘(宗廟)



정의

조선시대 의례에서 제기 및 제수를 진설하는 탁자이다.

내용

나무로 만들며, 테두리는 흑칠을 하고 가운데는 주칠을 하였다.
종묘 각 신실마다 5좌의 상을 두며 실내에는 4좌, 준소(尊所)에는 1좌를 사용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상(床)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상(床)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종묘의궤(宗廟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