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진-쌍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정의)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민족/기획기사보기| | ||
+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민족기록화_샘플 | {{민족기록화_샘플 | ||
12번째 줄: | 15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1356년([[공민왕]] 5) [[ | + | 1356년([[고려 공민왕]] 5),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반원정치]]의 일환으로 동북면병마사 [[유인우]] 장군이 [[원]]에게 빼앗겼던 [[쌍성총관부]](현재의 함경북도 영흥군)를 수복한 모습<ref>"동북면병마사...모습" :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1&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담은 [[문학진]]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right|450px]] |
+ |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⑤⑥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br/> | ||
+ | [[유인우]] 앞에 갈색말을 타고 있는 장군은 '''⑤ 후에 [[조선 환조]]가 되는 [[조선 환조|이자춘(李子春, 1315~1360)]]'''으로 추정된다. [[유인우|유인우(柳仁雨, ?~1364)]]는 [[조선 환조|이자춘]]의 협력으로 [[쌍성총관부]]를 탈환하여 폐지한 후 화주목(和州牧)을 설치<ref>"유인우는...화주목을 설치"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664&cid=42957&categoryId=42957 쌍성총관부]",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했다. 이후 [[조선 환조|이자춘]]은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에 임명되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시켰고, 이것은 그의 아들인 [[조선 태조]]가 뒷날 조선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세력기반이 되었다.<ref>"이후...세력기반이 되었다." : 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41 쌍성총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 | + | 작품의 배경은 고려 후기 [[원|원나라]]가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군) 이북의 고려영토를 차지하고 설치했던 통치기관인 [[쌍성총관부|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이다.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해당 작품은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해당 작품은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ref>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4번째 줄: | 39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html>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0/C02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40번째 줄: | 4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문학진]] | + | | [[문학진-쌍성수복]] || [[문학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문학진-쌍성수복]] || [[유인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문학진-쌍성수복]] || [[조선 환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문학진-쌍성수복]]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문학진-쌍성수복]]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쌍성총관부 수복]] || [[쌍성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유인우]]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조선 환조]]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조선 환조]] || [[조선 태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고려 공민왕]] || [[반원정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반원정치]]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쌍성총관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쌍성총관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66번째 줄: | 85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5년 || [[문학진]]이 | + | |1975년 || [[문학진]]이 [[문학진-쌍성수복]]을 그렸다 |
|- | |- | ||
− | |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1356년 || [[유인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 | |- | ||
− | |1356년 || [[ | + | |1356년 || [[조선 환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 | |- | ||
|} | |} | ||
78번째 줄: | 97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37. | + |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 | |} | ||
92번째 줄: | 109번째 줄: |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
−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 +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
</gallery> | </gallery> | ||
98번째 줄: | 115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 | <html> |
+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갤러리=== | ||
===영상=== | ===영상=== | ||
+ | *'''[김형후]1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게시일: 2016년 6월 9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_dgzikILUU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Gon Choi]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게시일: 2017년 9월 2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MTGl07WuPM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108번째 줄: | 13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논문 |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 | #웹 자원 | ||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664&cid=42957&categoryId=42957 쌍성총관부]",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41 쌍성총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3:57 기준 최신판
기획기사: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쌍성수복 | |
작가 | 문학진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1356년(고려 공민왕 5), 공민왕의 반원정치의 일환으로 동북면병마사 유인우 장군이 원에게 빼앗겼던 쌍성총관부(현재의 함경북도 영흥군)를 수복한 모습[1]을 담은 문학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⑤⑥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
유인우 앞에 갈색말을 타고 있는 장군은 ⑤ 후에 조선 환조가 되는 이자춘(李子春, 1315~1360)으로 추정된다. 유인우(柳仁雨, ?~1364)는 이자춘의 협력으로 쌍성총관부를 탈환하여 폐지한 후 화주목(和州牧)을 설치[2] 했다. 이후 이자춘은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에 임명되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시켰고, 이것은 그의 아들인 조선 태조가 뒷날 조선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세력기반이 되었다.[3]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고려 후기 원나라가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군) 이북의 고려영토를 차지하고 설치했던 통치기관인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이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해당 작품은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4]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학진-쌍성수복 | 문학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학진-쌍성수복 | 유인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조선 환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문학진-쌍성수복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쌍성총관부 수복 | 쌍성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인우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환조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환조 | 조선 태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고려 공민왕 | 반원정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반원정치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쌍성총관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문학진이 문학진-쌍성수복을 그렸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1356년 | 유인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1356년 | 조선 환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김형후]1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게시일: 2016년 6월 9일)
- [Gon Choi]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게시일: 2017년 9월 2일)
주석
- ↑ "동북면병마사...모습" :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유인우는...화주목을 설치"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쌍성총관부",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후...세력기반이 되었다." : 김용덕, "쌍성총관부",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