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삼강오륜과 행실도 편찬)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 한글고문서_개념]]
+
{{개념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삼강오륜
 +
|한자표기=三綱五倫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관련개념=
 +
}}
 +
==정의==
 +
유교의 세 가지 기본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강목을 나타낸다.
 +
 
 +
==내용==
 +
===삼강오륜===
 +
중국 전한(前漢) 때의 유학자 [[동중서 | 동중서(董仲舒)]]가 공맹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 | 삼강오상설(三綱五常設)]]을 논함에서 유래된 것으로, 유교의 세 가지 기본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강목을 나타낸다.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말이다. 즉 "부모는 자녀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며(父子有親),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君臣有義), 남편과 아내는 분별 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夫婦有別),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長幼有序),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朋友有信)."는 것이다.<ref>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5753&cid=41708&categoryId=41711 삼강오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삼강오륜과 행실도 편찬===
 +
1431년에는 [[집현전]] 부제학 [[설순 |설순(偰循)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의 모범이 될만한 충신 · 효자 · 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 언해|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81년에 한글로 번역되어 간행되었고 이후 [[삼강행실도 언해|『삼강행실도』]]를 계승한 [[속삼강행실도|『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이륜행실도』]], [[오륜행실도|『오륜행실도』]] 등의 서적이 조선 왕실에 의해 꾸준히 편찬되었다.<ref>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5753&cid=41708&categoryId=41711 삼강오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 '''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6/A01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7/A017.htm 속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삼강오륜]] || [[삼강오상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삼강오륜]] || [[삼강행실도 언해 | 삼강행실도]] || A는 B에 언급된다 ||
 +
|-
 +
|[[삼강오륜]] || [[속삼강행실도]] || A는 B에 언급된다 ||
 +
|-
 +
|[[삼강오륜]] || [[이륜행실도]] || A는 B에 언급된다 ||
 +
|-
 +
|[[삼강오륜]] || [[오륜행실도]] || A는 B에 언급된다 ||
 +
|-
 +
|[[삼강오륜]] || [[행실도십곡병풍]] || A는 B에 언급된다 ||
 +
|-
 +
|}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상우, 『이야기 삼강오륜』, 아이템북스, 2013.
 +
**우준호, 『삼강오륜의 현대적 조명』, 이화, 2007.
 +
**김지수, 『공자가 들려주는 관계의 미학 : 새롭게 배우는 오륜삼강의 지혜』, 너울북, 2014
 +
 
 +
[[분류 : 한글고문서]]
 +
[[분류 : 개념]]

2017년 11월 22일 (수) 23:50 기준 최신판

삼강오륜
(三綱五倫)
대표명칭 삼강오륜
한자표기 三綱五倫


정의

유교의 세 가지 기본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강목을 나타낸다.

내용

삼강오륜

중국 전한(前漢) 때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가 공맹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設)을 논함에서 유래된 것으로, 유교의 세 가지 기본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강목을 나타낸다.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말이다. 즉 "부모는 자녀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며(父子有親),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君臣有義), 남편과 아내는 분별 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夫婦有別),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長幼有序),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朋友有信)."는 것이다.[1]

삼강오륜과 행실도 편찬

1431년에는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의 모범이 될만한 충신 · 효자 · 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81년에 한글로 번역되어 간행되었고 이후 『삼강행실도』를 계승한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오륜행실도』 등의 서적이 조선 왕실에 의해 꾸준히 편찬되었다.[2]

지식 관계망

  • 삼강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삼강오륜 삼강오상설 A는 B와 관련이 있다
삼강오륜 삼강행실도 A는 B에 언급된다
삼강오륜 속삼강행실도 A는 B에 언급된다
삼강오륜 이륜행실도 A는 B에 언급된다
삼강오륜 오륜행실도 A는 B에 언급된다
삼강오륜 행실도십곡병풍 A는 B에 언급된다

주석

  1. 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삼강오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삼강오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상우, 『이야기 삼강오륜』, 아이템북스, 2013.
    • 우준호, 『삼강오륜의 현대적 조명』, 이화, 2007.
    • 김지수, 『공자가 들려주는 관계의 미학 : 새롭게 배우는 오륜삼강의 지혜』, 너울북,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