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강대운-진주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7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11번째 줄: 14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설명'''==
+
=='''정의'''==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진주전투|1차 진주전투]]를 다룬 작품으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았다.
+
1592년([[조선 선조|조선 선조]] 25),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관군과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한 장면을 담은 [[강대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해당 작품은 [[진주전투|1차 진주전투]]를 소재로 하는데, [[진주전투|1차 진주전투]] 기간인 1592년 10월 5일부터 11일 중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right|450px]]
 
+
작품의 소재인 [[진주전투|1차 진주전투]]15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4일까지 이어졌는데, 해당 작품은 11월 12일의 전투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닷새 전 11월 7일부터, 왜군은 군사 3만 명으로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11월 12일, 왜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진주성]]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진주성]] 동문을 공격해 왔다. 이에 대항하여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일반 백성들이 모인 의병 10,000명 정도를 제외하고 훈련된 조선군 군사는 3,800명에 불과했다.  
당시 진주성은 진주목사(牧使) 김시민(金時敏)이 지휘한 3,800명의 조선군이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고 일반 양민 약 2만 명이 진주성 내에 있었다. 진주성은 남쪽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서쪽에는 절벽으로 가로 막힌 천혜의 요새로,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
<br/>
 
+
<br/>
 
+
작품 왼편에 그려진 '''① [[진주성]] 동문'''앞에는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를 사용하여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왜군에 대항하여 [[김시민|김시민(金時敏, 1554~1592)]]은 군사들에게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비격진천뢰|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질려포통|질려포통(黎藜砲筒)]] 같은 화기(火器)를 동원하는 한편, 백성들은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면서 적의 공격을 막았는데, 이 또한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다.<br/>
 
+
또한 작품 중앙에 그려진 '''③ [[진주성]] 북문''' 앞에는 적군 기병 1,000여 명이 대나무로 엮은 나무방패를 들고, 조총을 난사하며 돌진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br/>
왜군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작품에서도 성안에 '''①②③ 노랑, 파랑, 적색의 수많은 용대기들'''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하단의 중앙에는 '''⑤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왜장'''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秀一),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기무라 시게코레(木村重玆) 등이 이끄는 왜군 약 2만 명은 수 천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김시민은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왜군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는 등 왜군을 물리쳤다. 병력과 무기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필사적으로 싸운 끝에 10배에 이르는 왜군의 공세를 분쇄하였다. 왜군은 6일간의 대접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10월 10일에 패주였으나,
 
 
 
 
 
6일 적군은 3개 부대로 나누어 1대는 동문 밖 순천당(順天堂) 산 위에 진을 치고 성을 내려다보며, 1대는 개경원(開慶院)에서 동문을 지나 봉명루(鳳鳴樓) 앞에 진을 치고, 또 1대는 향교 뒷산에서 똑바로 순천당을 지나서 봉명루 앞에 있는 적군과 합세하였다. 왜군의 조총수들은 성 안으로 총포를 난사하였다. 그리고 초막을 짓고 밤에는 불을 피워 기세를 올렸다.
 
그날 밤 곽재우(郭再祐)는 심대승(沈大升)을 보내 의병 200여 명을 이끌고 향교 뒷산에 올라갔다. 그 곳에서 횃불을 들고 뿔피리를 불면서 적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7일 적은 하루 종일 총탄과 화살을 발사하였다. 8일에는 공격용 죽제(竹梯)와 3층이나 되는 누대(飛樓)를 만들어 침공해 왔다.
 
이에 김시민은 현자포(玄字砲)를 발사하고, 적이 성의 못[城濠]을 메우려고 모아 놓은 솔가지와 죽제를, 짚으로 묶은 화약에 불을 붙여 던져 불살랐다. 또 이동하는 적의 누대를 자루가 긴 도끼와 낫으로 부수면서 적을 무찔렀다.
 
 
 
10일 사경(四更) 초에 적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동문을 공격해 왔다. 이들은 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올르면서, 그 뒤에 기병 1,000여 명이 조총을 난사하며 돌진하였다.
 
이때 김시민은 동문 북쪽에서, 판관 성수경(成守慶)은 동문 옹성(甕城)에서 군사를 지휘하였다. 이들은 죽을 힘을 다해 활·진천뢰(震天雷)·질려포(蒺藜砲)·돌과 불에 달군 쇠붙이를 던졌다. 또한 끓는 물을 붓거나 짚에 불을 붙여 던지면서 적의 공격을 막았다.
 
북문 쪽에서는 전 만호 최득량(崔得良)과 목사의 군관 이눌(李訥)이 분전하였다. 목사 김시민이 적의 탄환에 맞아 쓰러지자 곤양군수 이광악이 대신 작전을 지휘해 많은 적을 살상하였다. 이 싸움은 임진왜란 중 3대첩(三大捷)의 하나로 큰 전과를 올린 싸움이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진주성]]으로,  
+
작품의 배경은 [[진주성]]으로, 작품 중앙에는 '''③ [[진주성]] 북문'''이, 작품 왼편에 '''① 진주성 [[동문]]'''그려져 있다. [[진주성]] 남쪽으로는 '''① [[남강]]'''이 흐르는데, 이는 작품 상단 왼쪽 끝에 칠해진 푸른 색 물결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상단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대항하여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엮은 것을 방패로 삼아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또한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수  많은 용대기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구도===
 
===작품 구도===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였다.<br/>
+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는 원근감을 이용하였다.<br/>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닌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역으로 강하게 전달한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93쪽.</ref>
+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니라 거꾸로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강하게 전달한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2-93쪽.</ref>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11월 29일까지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800px|center
poly 306 195 293 214 293 225 297 226 297 241 298 256 307 266 317 282 331 290 329 266 313 238 321 230 310 213 315 198 315 198 [[영규]]
+
poly 7 87 23 89 34 89 36 78 50 87 75 87 85 83 99 92 107 95 116 101 110 104 115 118 148 127 158 121 178 137 194 134 208 123 233 125 252 128 281 123 293 128 309 151 321 145 321 140 325 123 328 119 345 114 362 110 376 94 393 91 396 88 423 89 443 84 456 61 467 61 474 63 490 59 499 66 509 52 510 43 493 36 490 27 503 23 514 29 532 22 537 11 550 14 565 -2 566 0 587 16 631 32 638 32 643 32 643 40 632 42 634 47 646 52 678 65 699 63 726 63 754 70 788 79 793 80 791 174 764 164 682 157 689 136 686 121 660 173 619 174 586 171 550 126 541 116 530 103 518 113 511 99 499 82 486 85 442 96 412 108 410 138 424 161 398 172 331 184 264 194 210 187 187 171 148 155 132 147 72 182 56 194 53 217 13 212 2 167 9 132 16 119 9 111 16 105 9 88 9 88 [[진주성]]
poly 448 138 437 148 441 154 433 186 449 196 445 216 423 222 445 245 455 230 469 242 477 252 487 238 473 210 461 202 487 209 489 197 481 186 473 181 481 172 483 150 469 162 461 174 453 174 451 156 457 150 455 146 [[조헌]]  
 
 
</imagemap>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진주성싸움"(강대운) 지식관계망]'''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html>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html>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관계정보===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gallery>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강대운]]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강대운-진주성싸움]] || [[강대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강대운-진주성싸움]]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강대운-진주성싸움]] ||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강대운-진주성싸움]]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진주성싸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이황]] || [[김성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곽재우]] || [[정암진싸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기룡]] ||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경회]]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경회]]  || [[논개]]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논개]]  ||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대기전]]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비격진천뢰]]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질려포통]]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5년 || [[강대운]]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5년 || [[강대운]]이 [[강대운-진주성싸움]]을 그렸다
 +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강대운-진주성싸움]]이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다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육군 제1군 사령부]]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592년 11월 8일-14일 || [[김시민]]이 [[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1592년 8월 || [[조헌]]이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
 
|-
|1592년 8월 || [[영규대사]]가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
|1592년 11월 8일-14일 || [[김성일]]이 [[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1592년 11월 8일-14일 || [[곽재우]]가 [[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1592년 11월 8일-14일 || [[정기룡]]이 [[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1592년 11월 8일-14일 || [[최경회]]가 [[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3876635|| 127.9310766 || {{PAGENAME}}이 [[육군 제1군 사령부]]에 대여되었다.
+
|35.1880365||128.0744779|| [[진주성]]은 [[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
 
|}
  
=='''그래프'''==
+
*'''임진왜란 3대첩'''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진주성싸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2-93쪽.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1981년, 104-108쪽.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2016-1203/pavilion"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2016-1203/pavilion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
===영상===
 +
*'''[국립진주박물관] [http://jinju.museum.go.kr/html/kr/exhibition/exhibition_04.html 진주대첩]'''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1.ht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게시일: 2015년 2월 23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IpAa2LcK51A"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1.
 +
#논문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웹 자원
 +
#* 김석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18 진주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C%A3%BC%EC%84%B1_%EC%A0%84%ED%88%AC 진주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namu.wiki/w/%EC%A7%84%EC%A3%BC%20%EB%8C%80%EC%B2%A9#s-4.5 진주 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전쟁]][[분류:조선]]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11 기준 최신판



진주성싸움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작가 강대운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관군과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한 장면을 담은 강대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작품의 소재인 1차 진주전투는 15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4일까지 이어졌는데, 해당 작품은 11월 12일의 전투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닷새 전 11월 7일부터, 왜군은 군사 3만 명으로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11월 12일, 왜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진주성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진주성 동문을 공격해 왔다. 이에 대항하여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일반 백성들이 모인 의병 10,000명 정도를 제외하고 훈련된 조선군 군사는 3,800명에 불과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진주성 동문앞에는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를 사용하여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왜군에 대항하여 김시민(金時敏, 1554~1592)은 군사들에게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질려포통(黎藜砲筒) 같은 화기(火器)를 동원하는 한편, 백성들은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면서 적의 공격을 막았는데, 이 또한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작품 중앙에 그려진 진주성 북문 앞에는 적군 기병 1,000여 명이 대나무로 엮은 나무방패를 들고, 조총을 난사하며 돌진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작품에서도 성안에 ①②③ 노랑, 파랑, 적색의 수많은 용대기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하단의 중앙에는 ⑤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진주성으로, 작품 중앙에는 진주성 북문이, 작품 왼편에 ① 진주성 동문이 그려져 있다. 진주성 남쪽으로는 남강이 흐르는데, 이는 작품 상단 왼쪽 끝에 칠해진 푸른 색 물결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구도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는 원근감을 이용하였다.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니라 거꾸로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강하게 전달한다.[1]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11월 29일까지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진주성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대운-진주성싸움 강대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강대운-진주성싸움 1차 진주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강대운-진주성싸움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강대운-진주성싸움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2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시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황 김성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곽재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곽재우 정암진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논개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논개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기전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비격진천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질려포통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임진왜란 3대 대첩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강대운강대운-진주성싸움을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강대운-진주성싸움이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다
1592년 11월 8일-14일 김시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김성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곽재우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정기룡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최경회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1880365 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임진왜란 3대첩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게시일: 2015년 2월 23일)

주석

  1.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2-9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1.
  2.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