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남원 실상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  
13번째 줄: 12번째 줄:
 
|소유자=
 
|소유자=
 
|관리자= 남원시
 
|관리자= 남원시
|교구정보= 조계종
+
|교구정보=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홍척
 
|창건자= 홍척
|경내문화재=[[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경내문화재=[[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승탑]],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남원 실상사 석장승]]
|필드수=10
 
 
}}
 
}}
  
 
=='''정의'''==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798 거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있는 사찰.
 +
 
  
 
=='''내용'''==
 
=='''내용'''==
거돈사지의 대체적인 윤곽은 1989~1992년에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발굴조사과정에서 드러났다. 7,500평 넓이의 절터는 건물의 배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거돈사는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창건된 후 고려 초기에 중창돼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조선 전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412&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거돈사 현계산(玄溪山)에 있다. 고려 최충(崔沖)이 찬술한 중 승묘의 비가 있다.”라는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ref>"[http://www.bulkwang.co.kr/bbs/board.php?bo_table=new_2_08&wr_id=180 잃어버린 가람 터를 찾아 4 - 조운선(漕運船), 뱃노래 소리 드높던 거돈사]" 홍대한,『월간 불광』, 불교문화산책 94, 384, 월간 불광 사이트에서 인용 </ref>
+
===역사===
 +
828년([[신라 흥덕왕|흥덕왕]] 3)에 [[홍척]]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후, [[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문]]을 처음 세우면서 창건하였다.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볼 때 이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고 하여 이 절을 건립했다고 한다. [[홍척|홍척(洪陟)]]과 함께 당나라에 다녀온 [[도의|도의(道義)]]는 가지산에 들어가서 [[장흥 보림사]]를 세웠다. 실상사는 그 뒤 2대조 [[수철|수철(秀澈)]]을 거쳐 3대조 편운에 이르러서 절을 크게 중창하고 선풍을 더욱 떨치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56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이후 고려시대 때, 조계종 실상산파로 종명을 개칭하였는데 이때가 실상사의 최대 융성기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1127년~1130년 사이에 대대적으로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 실시한 발굴 조사에서도 창건 이후 약 300년이 지나 대대적으로 중창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ref>김현중,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601447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7월 10일.</ref>
 +
 
 +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는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실상사도 불타버린 뒤 폐사되다시피 하여 약 200년 동안 승려들은 부속 암자인 백장암에 기거해야 했다. [[조선 숙종|숙종]] 대에 이르러 수도승 300여 명이 조정에 절의 중창을 상소하여 건물 36동을 다시 세웠다. 이후 1821([[조선 순조|순조]] 21)에도 중건했으나 1883년([[조선 고종|고종]] 20) 함양 출신 양재묵, 민동혁 등이 불을 질러 아까운 사찰 건물들이 불타버리는 수난을 겪은 뒤 이듬해에 여러 승려들의 힘으로 건물 10여 채가 중건되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789&cid=42840&categoryId=42851 실상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지리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050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거돈사의 창건시기로 추정되는 신라말기는 [[구산선문]]이 개창되어 [[선종]]의 번성과 함께 지방불교가 중흥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맞물려 고려 초기를 기점으로 남한강 유역에 [[여주 고달사지|여주 고달사]], [[원주 법천사지|원주 법천사]], [[원주 흥법사지|원주 흥법사]] 등을 포함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절들이 지어졌고, 거돈사 또한 그 무렵 중창되고 사세를 확장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
1911년 전국의 사찰을 통괄하는 30본산 제도가 만들어지면서 실상사는 1912년 법찰 대본산인 [[합천 해인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해방 이후 새로 제정된 대한불교 조계종 종헌에 의한 전국 24교구제에 따라, 실상사는 제17교구 [[김제 금산사]]의 말사가 되었다.<ref>김현중,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601447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7월 10일.</ref>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412&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26&cid=42665&categoryId=42668 원주 거돈사터]", 김봉렬,『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412&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경내 문화재로는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있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경우 일제시대에 반출됐는데, 광복 후 되찾아와 현재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거돈사지에는 원주시가 국·도·시비 2억원을 들여 중요무형문화재 120호 석장 이재순 씨에게 의뢰해 제작한 재현품이 세워져 있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63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2017년 4월 1일 확인</ref>
+
===관련 문화유산===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
*[[남원 실상사 석등]]
 +
*[[남원 실상사 승탑]]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남원 실상사 석장승]]
  
=='''동영상'''==
+
 
* TAEMIX STUDIO, "[https://www.youtube.com/watch?v=PUO7jJO6zuc 사라진 절터의 비밀, 거돈사지 -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YouTube, 게시일: 2015년 6월 8일. 2017년 3월 30일 확인.
+
=='''지식 관계망'''==
 +
*'''실상산문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UO7jJO6zu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30/silsangsanmu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30/stele_jeunggak-sucheol_silsangsa.htm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와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지식관계망]
  
=='''갤러리'''==
+
===관련항목===
<gallery style="text-align:left" heights=200px>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파일:Geodonsa Temple Site, Wonju stone.jpg|원주 거돈사지 발굴 석부재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파일: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Site, Wonju.jpg|[[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
파일:Three-story Stone Pagoda at Geodonsa Temple Site, Wonju.jpg|[[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파일:Stupa of State Preceptor Wongong from Geodonsa Temple Site, Wonju imitation.jpg|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모조품
+
|-
파일:Geodonsa Temple Site, Wonju, statue pedestal.jpg|금당터 불좌대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gallery>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수철]]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홍척]]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홍척]]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남원 실상사 석등]]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1018년 || [[지종]]이 원주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했다.
+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1025년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가 건립되어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1948년 || 일본인 집에 있던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
| [[홍척]] || [[남원 실상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1968년 || 원주 거돈사지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 [[수철]] || [[남원 실상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1984년 ||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정비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
| [[실상산문]] || [[남원 실상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1989~1992년 ||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4차례에 걸쳐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
| [[홍척]] || [[도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관련항목'''==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828년 || [[홍척]]이 [[ 남원 실상사]]를 창건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1127년 || [[남원 실상사]]가 대대적으로 중창되었다
 
|-
 
|-
|[[지종]]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1690년 || 300여명의 수도승들이 조정에 상소하여 [[남원 실상사]]를 다시 중창하였다
 
|-
 
|-
|[[지겸]]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1882년 || [[남원 실상사]]에 방화가 일어나 사찰 건물들이 불에 타버렸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1025년
+
|1912년 || [[남원 실상사]][[합천 해인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1996년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남원 실상사]]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작하였다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한림대학교 박물관, 『거돈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0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BHST Silsangsa Jeunggak stele.jpg|증각대사탑비
 +
파일:BHST Silsangsa Sucheol stele.jpg|수철화상탑비
 +
File:BHST_Silsangsa_Hongcheok_portrait.jpg|홍척 진영
 +
File:BHST_Silsangsa_Sucheol_portrait.jpg|수철 진영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 김현중,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601447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56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050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2&cp_code=cp0422&index_id=cp04220056&content_id=cp042200560001&search_left_menu=2 실상사]", 한국의 풍수지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터치아트, 『대한민국 여행사전』,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5152&cid=50392&categoryId=50392 실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789&cid=42840&categoryId=42851 실상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지리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국보 제10호
 
**기단과 탑신괴임에는 난간모양을 새겨 멋을 내었고, 탑신의 1층에는 보살상(菩薩像)과 신장상(神將像)을, 2층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을, 3층에는 천인좌상(天人坐像)을 새겼다. 지붕돌 밑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3층만은 삼존상(三尊像)이 새겨져 있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南原 實相寺 百丈庵 石燈)-보물 제40호
 
**석등은 일반적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밑에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데, 이 석등은 받침의 밑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는 상태이다. 받침은 가운데에 8각의 기둥을 두고, 아래와 윗받침돌에는 한 겹으로 된 8장의 연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화사석 역시 8각형으로 네 면에 창을 뚫어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간결하게 처리하였고, 그 위의 머리장식으로는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큼지막하게 올려져 있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보물 제33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보물 제34호
 
*남원 실상사 석등(南原 實相寺 石燈)-보물 제35호
 
*남원 실상사 승탑(南原 實相寺 僧塔)-보물 제36호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東ㆍ西 三層石塔)-보물 제37호
 
**실상사의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두 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보물 제38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보물 제39호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南原 實相寺 鐵造如來坐像)-보물 제41호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보물 제420호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南原 實相寺 藥水庵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보물 제421호
 
*남원 실상사 석장승 (南原 實相寺 石長栍)-국가민속문화재 제15호
 
*실상사극락전(實相寺極樂殿)-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5호
 
*실상사위토개량성책(實相寺位土改量成冊)-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8호
 
*실상사동종(實相寺銅鐘)-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백장암소장범종(百丈庵所藏梵鍾)-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2024년 4월 12일 (금) 09:21 기준 최신판

남원 실상사
(南原 實相寺)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한자 南原 實相寺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33-3 외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09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10월 19일
관리자 남원시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자 홍척
경내문화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승탑,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남원 실상사 석장승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있는 사찰.


내용

역사

828년(흥덕왕 3)에 홍척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후,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문을 처음 세우면서 창건하였다.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볼 때 이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고 하여 이 절을 건립했다고 한다. 홍척(洪陟)과 함께 당나라에 다녀온 도의(道義)는 가지산에 들어가서 장흥 보림사를 세웠다. 실상사는 그 뒤 2대조 수철(秀澈)을 거쳐 3대조 편운에 이르러서 절을 크게 중창하고 선풍을 더욱 떨치게 되었다.[1]

이후 고려시대 때, 조계종 실상산파로 종명을 개칭하였는데 이때가 실상사의 최대 융성기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1127년~1130년 사이에 대대적으로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 실시한 발굴 조사에서도 창건 이후 약 300년이 지나 대대적으로 중창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2]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는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실상사도 불타버린 뒤 폐사되다시피 하여 약 200년 동안 승려들은 부속 암자인 백장암에 기거해야 했다. 숙종 대에 이르러 수도승 300여 명이 조정에 절의 중창을 상소하여 건물 36동을 다시 세웠다. 이후 1821(순조 21)에도 중건했으나 1883년(고종 20) 함양 출신 양재묵, 민동혁 등이 불을 질러 아까운 사찰 건물들이 불타버리는 수난을 겪은 뒤 이듬해에 여러 승려들의 힘으로 건물 10여 채가 중건되었다.[3][4]

1911년 전국의 사찰을 통괄하는 30본산 제도가 만들어지면서 실상사는 1912년 법찰 대본산인 합천 해인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해방 이후 새로 제정된 대한불교 조계종 종헌에 의한 전국 24교구제에 따라, 실상사는 제17교구 김제 금산사의 말사가 되었다.[5]

관련 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실상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수철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수철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홍척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홍척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척 남원 실상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철 남원 실상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실상산문 남원 실상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홍척 도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28년 홍척 남원 실상사를 창건했다
1127년 남원 실상사가 대대적으로 중창되었다
1690년 300여명의 수도승들이 조정에 상소하여 남원 실상사를 다시 중창하였다
1882년 남원 실상사에 방화가 일어나 사찰 건물들이 불에 타버렸다
1912년 남원 실상사합천 해인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1996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남원 실상사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작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실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현중, "실상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7월 10일.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실상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지리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실상사", 『두산백과』online.
  5. 김현중, "실상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7월 10일.

참고문헌

  • 김현중, "실상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실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실상사", 『두산백과』online.
  • "실상사", 한국의 풍수지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터치아트, 『대한민국 여행사전』, 2009. 온라인 참조: "실상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실상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지리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