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배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의례물품정보 |대표명칭= - |이미지= - |분류= - |의례= - |용도= - |관련물품= - |참조물품= - }} ==정의== * ==사...)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의례물품정보
+
{{물품정보
|대표명칭=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2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
|이미지=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분류= -
+
|대표명칭= 배안상
|의례= -
+
|한자표기= 排案牀
|용도= -
+
|영문명칭=
|관련물품= -
+
|이칭=
|참조물품= -
+
|유형= 의례 물품
 +
|시대= 조선
 +
|용도= [[가례|가례(嘉禮)]], [[흉례|흉례(凶禮)]]에 사용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
=='''정의'''==
*
+
조선시대 왕실 의례에서 각종 의례용 물품을 올려놓고 잠시 대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상이다.
  
==사용상황==
+
=='''내용'''==
*
+
국가·왕실의 여러 의식을 봉행할 때 사용되는 옥책(玉冊), 죽책(竹冊), 교명(敎命) 등의 의례용 문서, 보(寶)·인(印) 등의 왕실 도장 및 그들을 담는 안쪽·바깥쪽 상자들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었다.<br/>
 +
배안상 위에 올려놓는 물품에 따라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옥책배안상(玉冊排案床), 죽책배안상(竹冊排案床), 교명배안상(敎命排案床)이라고 하며, 표면에 칠한 색상에 따라 주홍배안상(朱紅排案床), 왜주홍배안상(倭朱紅排案床), 만칠주홍배안상(滿漆朱紅排案床), 흑칠배안상(黑漆排案床) 등으로도 부른다.<br/>
  
==기본정보==
 
*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클래스 → 클래스'''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금보|금보(金寶)]]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옥보|옥보(玉寶)]]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옥인|옥인(玉印)]]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옥책|옥책(玉冊)]]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죽책|죽책(竹冊)]]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교명|교명(敎命)]] || 배안상(排案牀)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노드 || '''{{PAGENAME}}''' || A B ||
+
| 배안상(排案牀)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고종대례의궤|『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순비책봉의궤|『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효종국장도감의궤|『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단의빈예장도감의궤|『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배안상(排案牀)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저서'''
+
===갤러리===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교명배안상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교명배안상<ref>『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금보배안상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금보배안상<ref>『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당주홍칠배안상_순조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당주홍칠배안상<ref>『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당주홍칠배안상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당주홍칠배안상<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상_중박.png|배안상<ref>『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상(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上)』</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배안상<ref>『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_중박.png|배안상<ref>『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上)』</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배안상<ref>『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배안상<ref>『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배안상<ref>『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_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상_중박.png|배안상<ref>『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上)』</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1_고종대례의궤_규장각.jpg|배안상<ref>『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1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배안상<ref>『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1_순비책봉의궤_규장각.jpg|배안상<ref>『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2_고종대례의궤_규장각.jpg|배안상<ref>『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2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배안상<ref>『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배안상02_순비책봉의궤_규장각.jpg|배안상<ref>『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악기궤흑칠배안상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악기궤흑칠배안상<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옥책배안상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옥책배안상<ref>『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주홍배안상<ref>『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주홍배안상<ref>『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_효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2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2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2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2_효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3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3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3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3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4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4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4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5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5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5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6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주홍배안상07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주홍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책배안상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죽책배안상<ref>『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배안상<ref>『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_효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1_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배안상<ref>『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1_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배안상<ref>『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1_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흑칠배안상<ref>『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1_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_중박.png|흑칠배안상<ref>『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上)』</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배안상<ref>『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배안상<ref>『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흑칠배안상<ref>『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2_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_중박.png|흑칠배안상<ref>『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上)』</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3_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배안상03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배안상<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B%B0%B0%EC%95%88%EC%83%81(%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배안상(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사이트'''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A%B8%88%EB%B3%B4%EB%B0%B0%EC%95%88%EC%83%81(%EF%A4%8A%E5%AF%B6%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5bhNXrLT4JzshLxLvgqb2tKfqgRKXFlwclPhqkYg8QBGhq8l2F3L!-1882982091?kind=%EA%B0%91(%E5%8C%A3)&dataType=n&&lmenuType=a_4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98%A5%EB%B3%B4%EC%A3%BC%ED%99%8D%EB%B0%B0%EC%95%88%EC%83%81(%E7%8E%89%E5%AF%B6%E6%9C%B1%E7%B4%85%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옥보주홍배안상(玉寶朱紅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033&category=A&sWord=匣 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B1%85%EB%B9%88%EC%8B%9C%EC%98%A5%EC%9D%B8%EC%A3%BC%ED%99%8D%EB%B0%B0%EC%95%88%EC%83%81(%E5%86%8A%E5%AC%AA%E6%99%82%E7%8E%89%E5%8D%B0%E6%9C%B1%E7%B4%85%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책빈시옥인주홍배안상(冊嬪時玉印朱紅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57 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98%A5%EC%B1%85%EB%B0%B0%EC%95%88%EC%83%81(%E7%8E%89%E5%86%8A%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옥책배안상(玉冊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A3%BD%EC%B1%85%EB%B0%B0%EC%95%88%EC%83%81(%E7%AB%B9%E5%86%8A%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죽책배안상(竹冊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주석==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A%B5%90%EB%AA%85%EB%B0%B0%EC%95%88%EC%83%81(%E6%95%8E%E5%91%BD%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교명배안상(敎命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references/>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A3%BC%ED%99%8D%EB%B0%B0%EC%95%88%EC%83%81(%E6%9C%B1%E7%B4%85%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주홍배안상(朱紅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D%9D%91%EC%B9%A0%EB%B0%B0%EC%95%88%EC%83%81(%E9%BB%91%E6%BC%86%E6%8E%92%E6%A1%88%E7%89%80)&dataType=n&&lmenuType=a_4 흑칠배안상(黑漆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이민아,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70&category=A&sWord=배안상 배안상(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6_051_00883 배안상(排案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7일 (금) 23:33 기준 최신판


배안상(排案牀)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배안상
한자표기 排案牀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 흉례(凶禮)에 사용



정의

조선시대 왕실 의례에서 각종 의례용 물품을 올려놓고 잠시 대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상이다.

내용

국가·왕실의 여러 의식을 봉행할 때 사용되는 옥책(玉冊), 죽책(竹冊), 교명(敎命) 등의 의례용 문서, 보(寶)·인(印) 등의 왕실 도장 및 그들을 담는 안쪽·바깥쪽 상자들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배안상 위에 올려놓는 물품에 따라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옥책배안상(玉冊排案床), 죽책배안상(竹冊排案床), 교명배안상(敎命排案床)이라고 하며, 표면에 칠한 색상에 따라 주홍배안상(朱紅排案床), 왜주홍배안상(倭朱紅排案床), 만칠주홍배안상(滿漆朱紅排案床), 흑칠배안상(黑漆排案床) 등으로도 부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보(金寶)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옥보(玉寶)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옥인(玉印)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옥책(玉冊)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죽책(竹冊)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교명(敎命) 배안상(排案牀)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배안상(排案牀)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배안상(排案牀)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2.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
  3. 『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
  4.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5.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상(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上)』
  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7.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上)』
  8.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9.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10.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11.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上)』
  12.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13.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14.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15.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16.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17.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18.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19.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20.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21.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22.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23.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24.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25.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26. 『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
  27.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28.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29.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30. 『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
  31.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32.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33.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34.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35.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36.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37.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38.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39.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40.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41.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42.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43.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44.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45.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46. 『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
  47.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48.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
  49.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50. 『효종국장도감의궤하(孝宗國葬都監儀軌下)』
  51.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52.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53.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54.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上)』
  55.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56. 『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
  57.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
  58.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59.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60.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上)』
  61. 『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
  62.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