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두창집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연설명)
잔글 (언해두창집요의 편찬과 간행)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로마자명칭= Eonhae duchangjibyo
 
|로마자명칭= Eonhae duchangjibyo
 
|영문명칭= A medical book related to smallpox
 
|영문명칭= A medical book related to smallpox
|작자= 허준
+
|작자= [[허준]]
 
|작성시기= 1608년
 
|작성시기= 1608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처= 내의원
+
|간행처= [[내의원]]
 
|기탁처=
 
|기탁처=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7-77
 
|청구기호= C7-77
 
|유형= 고서
 
|유형= 고서
21번째 줄: 21번째 줄:
 
</noinclude>
 
</noinclude>
 
==정의==
 
==정의==
[[허준]](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에서 발간한 [[두창]] 관련 의서
+
[[허준|허준(許浚, 1539~1615)]]이 [[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 [[내의원]]에서 발간한 [[두창]] 관련 의서이다.
  
 
==내용==
 
==내용==
[[허준|허준許浚]](1539~1615)이 [[선조|선조宣祖]]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두창|두창痘瘡]] 관련 의서醫書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각되었다. 두창은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천행두天行痘]], [[천두|천두天痘]], [[천행발반창|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권수제 아래에 (*옛한글)‘ 역 고틸 종요 모혼 방문’(*옛한글)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선조23)과 1601년(선조34), 세자였던 [[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했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역하여 출간되었다. [[두창|두창(痘瘡)]]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天行痘), 천두(天痘), 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인 권수제 아래에 '역 고틸 종요로혼 방문’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내의內醫]] [[임원준|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창진닙|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렴하였다.『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과 1601년에 세자였던 [[조선 광해군|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조선 선조|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8-79쪽.</REF>
+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내의(內醫)]] [[임원준|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 『[[창진집|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록하였다. 『[[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8-79쪽.</REF>
  
==부연설명==
+
===[[언해두창집요]]의 편찬과 간행===
[[허준]]이 작성한 『언해두창집요』의 발문에서 " 1590년(선조23) 왕자가 두창에 걸려 허준이 시약하여 나았고, 1601(선조34)에 왕자와 왕녀가 [[두창]]에 걸려 시약하여 나았다. 이에 선조의 명으로 [[임진왜란]] 이후 없어진 『[[태산집]]』,『[[창진집]]』,『[[구급방]]』을 참고하고 언해(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하였다. 1608년에 [[이희헌]](李希憲)과 [[이각]](李𢓜)의 감독 아래에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
[[허준]]은 [[언해두창집요발문 (해독)|언해두창집요의 발문]]에서 "1590년 왕자가 두창에 걸려 내가 시약을 써서 나았고, 1601년에는 왕자와 왕녀가 [[두창]]에 걸려 시약하여 나았다. 이에 선조의 명으로 [[임진왜란]] 이후 없어진 『[[태산집]]』,『[[창진집]]』,『[[구급방]]』을 참고하고 언해하여 편찬하였다. 1608년에 [[이희헌|이희헌(李希憲)]]과 [[이각|이각(李𢓜)]]의 감독 아래에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라고 밝히고 있다.  <ref>강순애, 「허준 편․간의 언해본 의서와 관련 판본에 관한 연구」,『서지학연구』48, 2011, 13쪽</ref>
+
라고 밝히고 있다.  <ref>강순애, 「허준 편·간의 언해본 의서와 관련 판본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48, 2011, 13쪽.</ref>『[[태산집]]』은 『[[언해태산집요]]』, 『[[창진집]]』은 『[[언해두창집요]]』, 『[[구급방]]』은 『[[언해구급방]]』의 참고자료가 되었다.  
(『[[태산집]]』은 『[[언해태산집요]]』, 『[[창진집]]』은 『언해두창집요』, 『[[구급방]]』은 『[[언해구급방]]』의 참고자료가 되었다.)  
+
[[내의원]]은 1608년부터 1615년 사이에 『[[언해두창집요]]』를 비롯한 각종 의서를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이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596년(선조29)에 허준이 편찬을 시작하여 1610년에 완료하였고, 1613년에 내의원에서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언해두창집요]]』는 『동의보감』의 편찬·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f>
 +
김민수, 「諺解痘瘡集要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쪽.</ref>
  
[[내의원]]은 1608년(선조41)부터 1615년(광해군7) 사이에 『언해두창집요』를 비롯한 각종 의서를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이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596년(선조29)에 허준이 편찬을 시작하여 1610년(광해군2)에 완료하였고, 1613년(광해군5)에 내의원에서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언해두창집요』는 『동의보감』의 편찬·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언해두창집요]]의 내용과 특징===
『언해두창집요』는 내용적 측면에서 「[[두창통치(痘瘡通治)]]」라는 조문을 만들어 특별한 변증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을 언급했다는 점, 허준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간단한 처방이 실려있다는 점, 일상 생활에서 두창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가진다. <ref>
+
『[[언해두창집요]]』는 내용적 측면에서 「[[두창통치|두창통치(痘瘡通治)]]」라는 조문을 만들어 급성 전염병인 두창의 빠른 증상변화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을 언급했다는 점, 허준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간단한 처방이 실려있다는 점, 일상 생활에서 두창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ref>
김민수, 「諺解痘瘡集要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쪽</ref>
+
김민수, 「諺解痘瘡集要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쪽.</ref>
  
==시각자료==
+
{{연계자원정보
<gallery>
+
|연계자원1=[[언해두창집요발문 (해독)]]
파일:언해두창집요_01.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 한글전시도록
+
|연계자원2=[[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파일:언해두창집요_02.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 한글전시도록
+
|연계자원3=
</gallery>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8/A028.htm 언해두창집요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선조]] ||{{PAGENAME}} || A는 B의 간행을 명하였다 || 1601년
+
|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발문 (해독)|언해두창집요발문]] ||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
|-
 +
| [[언해두창집요발문 (해독)| 언해두창집요 발문]] || [[언해태산집요]] ||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
| [[언해두창집요 편찬]] || [[언해두창집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선조]] || [[언해두창집요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언해두창집요]] || [[허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허준]] || [[언해두창집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허준]]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608년
+
| [[내의원]] || [[허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내의원]]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608년
+
| [[이각]] || [[언해두창집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내의원]] || [[이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이희헌]] || [[내의원]] || A는 B에 포함된다 ||
+
| [[이희헌]] || [[언해두창집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이각]] || [[내의원]] || A는 B에 포함된다 ||
+
| [[내의원]] || [[이희헌]]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두창]]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내의원]] || [[언해두창집요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광해군]]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언해두창집요]] || [[내의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
 
|-
| [[창진집]] ||{{PAGENAME}}|| A는 B의 모델이다 ||
+
| [[언해두창집요]]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임원준]] || [[창진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언해두창집요]] || [[두창]] ||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 {{PAGENAME}} || [[동의보감]] || A는 B의 모델이다 ||
+
| [[두창통치]] || [[두창]] ||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
| [[언해두창집요]] || [[두창통치]] ||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
|-
 +
| [[언해두창집요]] || [[광해군]] ||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
| [[언해두창집요]] || [[창진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창진집]]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동의보감]] || [[언해두창집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언해두창집요]]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601년 || [[선조]]가 '''{{PAGENAME}}'''의 간행을 명하였다
+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두창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
| 1602년 || [[허준]]이 '''{{PAGENAME}}'''을 저술하였다
+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
| 1608년 || [[내의원]]이 '''{{PAGENAME}}'''을 저술하였다
+
| 1608년 || [[내의원]]이 [[언해두창집요]]를 간행하였다.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92230 || 127.054384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PAGENAME}}'''가 소장되어 있다.
+
| 37.39197 || 127.054387 || [[언해두창집요]]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
 
|-
 
|}
 
|}
98번째 줄: 132번째 줄: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단행본
+
===갤러리===
*#안상우·권오민, 『언해두창집요:국역』, 보건복지가족부, 2011.
+
<gallery>
*논문
+
파일:언해두창집요_01.jpg | 언해두창집요 01
*#채인숙,「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
파일:언해두창집요_02.jpg | 언해두창집요 02
*#강순애,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의 연구」, 『서지학연구』19, 2000.
+
</gallery>
*온라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6 언해두창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G43268_00 언해두창집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안상우·권오민, 『국역: 언해두창집요』, 보건복지가족부, 2011.
 +
*논문
 +
**채인숙, 「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강순애,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의 연구」, 『서지학연구』19, 서지학회, 2000.
 +
*웹자원
 +
**안미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6 언해두창집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G43268_00 언해두창집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https://mediclassics.kr/books/46 언해두창집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의학고전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한의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헌]]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원석]]
+
[[분류:전시자료]]
[[분류:이혜영]]
+
[[분류:문헌]]
[[분류:인문정보편찬연구]]
 
[[분류:스토리텔링]]
 

2017년 12월 8일 (금) 01:17 기준 최신판

언해두창집요
한글팀 언해두창집요 02.jpg
한자명칭 諺解痘瘡集要 
영문명칭 A medical book related to smallpox
작자 허준
작성시기 1608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처 내의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7-7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2.4×21.4㎝
판본 목판본
수량 2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허준(許浚, 1539~1615)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 내의원에서 발간한 두창 관련 의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이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역하여 출간되었다. 두창(痘瘡) 은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天行痘), 천두(天痘), 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인 권수제 아래에 '역 고틸 종요로혼 방문’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과 1601년에 세자였던 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內醫) 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 『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록하였다. 『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1]

언해두창집요의 편찬과 간행

허준언해두창집요의 발문에서 "1590년 왕자가 두창에 걸려 내가 시약을 써서 나았고, 1601년에는 왕자와 왕녀가 두창에 걸려 시약하여 나았다. 이에 선조의 명으로 임진왜란 이후 없어진 『태산집』,『창진집』,『구급방』을 참고하고 언해하여 편찬하였다. 1608년에 이희헌(李希憲)이각(李𢓜)의 감독 아래에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라고 밝히고 있다. [2]태산집』은 『언해태산집요』, 『창진집』은 『언해두창집요』, 『구급방』은 『언해구급방』의 참고자료가 되었다. 내의원은 1608년부터 1615년 사이에 『언해두창집요』를 비롯한 각종 의서를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이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은 1596년(선조29)에 허준이 편찬을 시작하여 1610년에 완료하였고, 1613년에 내의원에서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언해두창집요』는 『동의보감』의 편찬·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3]

언해두창집요의 내용과 특징

언해두창집요』는 내용적 측면에서 「두창통치(痘瘡通治)」라는 조문을 만들어 급성 전염병인 두창의 빠른 증상변화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을 언급했다는 점, 허준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한 간단한 처방이 실려있다는 점, 일상 생활에서 두창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언해두창집요발문 (해독)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언해두창집요 언해두창집요발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언해두창집요 발문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두창집요 편찬 언해두창집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선조 언해두창집요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언해두창집요 허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허준 언해두창집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내의원 허준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각 언해두창집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내의원 이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희헌 언해두창집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내의원 이희헌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내의원 언해두창집요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언해두창집요 내의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언해두창집요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언해두창집요 두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두창통치 두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두창집요 두창통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언해두창집요 광해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두창집요 창진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창진집 임원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동의보감 언해두창집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언해두창집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01년 조선 선조언해두창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1608년 내의원언해두창집요를 간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언해두창집요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8-79쪽.
  2. 강순애, 「허준 편·간의 언해본 의서와 관련 판본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48, 2011, 13쪽.
  3. 김민수, 「諺解痘瘡集要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쪽.
  4. 김민수, 「諺解痘瘡集要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안상우·권오민, 『국역: 언해두창집요』, 보건복지가족부, 2011.
  • 논문
    • 채인숙, 「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강순애,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의 연구」, 『서지학연구』19, 서지학회, 2000.
  • 웹자원
    • 안미경, "언해두창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언해두창집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언해두창집요", 『한의학고전DB』online,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