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변계량
 
|대표명칭=변계량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변계량(卞季良, 1369~1430)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다.  
+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다.
  
 
==내용==
 
==내용==
 
===생애===
 
===생애===
변계량(卞季良)은 본관은 초계(草溪: 혹은 밀양(密陽)으로 칭함)이며, 자는 거경(巨卿), 호는 춘정(春亭)으로, 1369년(공민왕 18) 태어났다. 증조부는 변주(卞珠), 할아버지는 증찬성사 변원(卞元)이고, 아버지는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 [[변옥란 | 변옥란(卞玉蘭)]]이다. 어머니는 제위보부사(濟危寶副使) [[조석 | 조석(曺碩)]]의 딸이다. 그러나 일부 기록에는 형인 변중량과 함께 어머니가 성공필(成公弼)이라고 나오기도 한다. 형제로는 형인 변중량(卞仲良)이 있으며, 정종대 노비와 사통하고 무고한 죄로 사형을 받은 누이가 확인된다. 정처 소생의 아들은 없으며, 비첩(婢妾) 소생인 아들 변영수(卞英壽)가 있다. [[이색 | 이색(李穡)]]과 [[권근 |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가 되었다가 1430년(세종 12)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숙(文叔)이었으며, 후에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형인 변중량과 함께 배향되었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거경(巨卿), 호는 춘정(春亭)이다. [[이색 |이색(李穡)]]과 [[권근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가 되었다가 1430년(세종 12)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숙(文叔)이었으며, 후에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형인 변중량과 함께 배향되었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관직생활===
+
===활동사항===
열 네 살이던 1382년(우왕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에는 생원시에도 합격하였다. 2년 후 1385년에 열일곱 살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 전교주부(典校主簿)에 보직(補職)되었다. 그가 본격적으로 관로를 열어간 것은 1407년 문과 중시에서 을과 1인으로 장원을 차지하면서부터였다.이를 계기로 당상관에 오른 후 예조우참의(禮曹右參議)가 되었고, 이듬해 세자좌보덕(世子左輔德)이 되고, 그 뒤 예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등을 거쳐 , 1412년 세자우부빈객(世子右副賓客)이 되었다.
+
1385년에 열일곱 살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태종-세종대를 대표하는 관료로서, 당대의 주요한 글들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다수의 주요 도서들을 편찬하였으며, 과거제를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 참여하였다. 또 [[조선 태종 | 태종]]이 대마도를 토벌한 [[기해동정|기해동정(己亥東征)]]결행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변계량은 태종-세종대를 대표하는 관료로서, 특히 예문관의 제학과 대제학, 예조 우참의와 판서, 의정부의 참찬과 찬성, 성균관의 대사성 등을 오랜 기간 동안 역임하면서, 당대의 주요한 글들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다수의 주요 도서들을 편찬하였으며, 과거제를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 참여하였다. 그의 업적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과거제 개혁과 공정한 과거의 주관
 
그의 졸기에서 변계량의 업적 중 하나로 꼽은 것은 여러 차례 과거를 주관하면서 매우 공정하며, 고려 시기의 부정한 관행들을 근절하였다는 점이었다. 또한 그는 1417년(태종 17) 예조판서가 되어 이 무렵 과거제도 개혁에도 관여하여 봄, 가을로 제술 시험을 보는 제도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과거제 개혁 논의 때마다 참여를 하며, 조선 초 과거제를 정립시키는 데 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대체로 강경보다는 제술을 강조하는 입장이었다. 과거제 뿐만 아니라, 학문을 장려하고 인재를 뽑기 위한 여러 가지 조처를 건의하였는데, 성균관(成均館), 교서관(校書館)의 권지(權知)를 지방에 보내어 생도 교육을 시키라고 한다던지 5부 학당의 공억(供億)을 마련하자는 등의 건의 가 대표적이며, 기타 여러 논의에 참여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주요 글 작성 & 도서 편찬 참여
 
태종대 초반까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글을 작성한 사람이 권근(權近)이었다면, 태종대 후반부터 세종대까지 주요 글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각종 도서의 편찬에 참여한 인물이 바로 변계량이었다. 직책상으로도 임금의 말이나 명령을 대신하여 짓는 것을 담당하는 예문관의 대제학을 오래 맡아,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사대교린의 사명(詞命)은 물론 나라의 문한과 왕실의 문서를 거의 도맡아 주관하였다.
 
[[무학대사 비명]], [[문묘중수비문]], 돈화문루종명, 태종의 [[신도비명]], 낙천정기, 기자묘비명 등이 모두 변계량의 손에서 나왔다.
 
또한 당대의 주요 편찬사업에도 빠짐없이 관여하고 있었다. [[조선왕조실록 | 실록]]의 경우 『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 정종실록(定宗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의 편찬을 주도하였으며 , 『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태종대부터 세종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 고려사』의 개수에도 관여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악장 가사를 지었는데, 『하성명가』 , 『 화산별곡(華山別曲)』 등이 대표적이며, 『 청구영언』에는 시조 2수가 전하기도 한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기해동정과의 연관성
 
의정부에 재직 중이던 1419년(세종 1) 5월 5일 왜선 39척이 명나라에 가던 도중 비인현(庇仁縣) 도두음곶(都豆音串)을 침탈하고, 12일에도 황해도 해주에 왜선 7척이 침입하는 일이 벌어졌다.이에 대한 대책이 논의된 끝에 14일 태종과 세종이 대신들을 모아 대마도 정벌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종무(李從茂)를 앞세운 기해동정(己亥東征)이 시작된 것이다.
 
6월 말에서 7월 초까지 2주가량의 정벌은 비록 실제로 박실의 패군 등 전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정벌 이후 대규모 왜구는 소멸되고, 대마도와의 평화적 왕래가 구축된 것으로 평가된다. 1421년 4월 대마도주 소 사다모리(宗貞盛)가 사절을 보내오는 것을 계기로 정벌 국면이 종결되었다. 그전까지는 1419년 6월과 같은 실제 정벌은 결행되지 않았고 재정벌 논의가 지속적으로 있었다. 
 
이러한 정벌국면에서 변계량은 태종이 정벌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1419년 정벌 직후 병조판서 조말생이 대마도 수호(守護) 도도웅와(都都熊瓦)에게 보낸 글 작성한 것도 변계량이었다.<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평가===
+
===저술활동===
변계량은 한 시대의 국가의 주요 문장을 맡았고, 과거제를 공정하게 운영하여 자리잡게 하였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가정사의 문제로 비판을 받았다. 처음에 철원부사 권총(權總)의 딸에게 장가들었다가 버리고, 또 오씨(吳氏)에게 장가들었다가 오씨가 죽자, 또 이촌(李村)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몇 달 만에 이 역시 버리고, 또 도총제 박언충(朴彦忠)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특히 이촌의 딸에게 장가들었을 때에는 지나치게 아내를 구속함으로써 불화를 빚었으며, 상세정보  아내가 있으면서 또 아내를 맞았다는 점 등으로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
[[무학대사 비명]], [[문묘중수비문]], 돈화문루종명, 태종의 [[신도비명]], 낙천정기, 기자묘비명 등이 모두 변계량의 손에서 나왔으며 [[『열성후비지문』]]을 언해하기도 했다. [[삼강행실도 언해 |『삼강행실도』]]를 비롯해 당대의 주요 편찬사업에도 빠짐없이 관여하였다. [[조선왕조실록|실록]]의 경우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의 편찬을 주도하였으며 ,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태종대 부터 세종 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고려사|『고려사』]]개수에도 관여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악장 가사를 여럿 지었는데, 『하성명가』 , 『화산별곡(華山別曲)』 등이 대표적이며, 『[[청구영언]]』에 시조 2수가 전하기도 한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08 변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94/A094.htm 열성후비지문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class="wikitable sortable"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변옥란]] || {{PAGENAME}}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이색]]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PAGENAME}} || [[이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권근]]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PAGENAME}} || [[권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집현전]] || [[변계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 [[집현전]] || A는 B에 소속된다 ||  
+
| [[변계량]] || [[거창 병암서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열성후비지문]]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조선 태종]] || [[기해동정]]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삼강행실도 언해]]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변계량]] ||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변계량]] || [[기해동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문묘중수비문]]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태종 신도비명]]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조선왕조실록]]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국조보감]]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변계량]] ||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79번째 줄: 83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제 27집, 2001
+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 Vol.27, No.-, 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1, 77-113쪽.
*웹자원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031&cid=41884&categoryId=55597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031&cid=41884&categoryId=55597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 : 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 : 인물]]
+
[[분류:인물]]

2017년 11월 25일 (토) 00:20 기준 최신판

변계량(卞季良)
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대표명칭 변계량
한자표기 卞季良
생몰년 1369-1430
본관 초계(草溪)
시호 문숙(文肅)
춘정(春亭)
거경(巨卿)
시대 고려-조선
국적 조선
변옥란(卞玉蘭)
자녀 변영수(卞英壽)


정의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거경(巨卿), 호는 춘정(春亭)이다. 이색(李穡)권근(權近)의 문인으로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가 되었다가 1430년(세종 12)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숙(文叔)이었으며, 후에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형인 변중량과 함께 배향되었다. [1]

활동사항

1385년에 열일곱 살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태종-세종대를 대표하는 관료로서, 당대의 주요한 글들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다수의 주요 도서들을 편찬하였으며, 과거제를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 참여하였다. 또 태종이 대마도를 토벌한 기해동정(己亥東征)을 결행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

저술활동

무학대사 비명, 문묘중수비문, 돈화문루종명, 태종의 신도비명, 낙천정기, 기자묘비명 등이 모두 변계량의 손에서 나왔으며 『열성후비지문』을 언해하기도 했다. 『삼강행실도』를 비롯해 당대의 주요 편찬사업에도 빠짐없이 관여하였다. 실록의 경우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의 편찬을 주도하였으며 ,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태종대 부터 세종 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고려사』의 개수에도 관여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악장 가사를 여럿 지었는데, 『하성명가』 , 『화산별곡(華山別曲)』 등이 대표적이며, 『청구영언』에 시조 2수가 전하기도 한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색 변계량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권근 변계량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집현전 변계량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변계량 거창 병암서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종 기해동정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변계량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계량 기해동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문묘중수비문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태종 신도비명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조선왕조실록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국조보감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변계량 고려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 Vol.27, No.-, 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1, 77-1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