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구영언
한글팀 청구영언.png
한자명칭 靑丘永言
영문명칭 Collection of Korean songs compiled by Kim Cheontaek
작자 김천택
간행시기 1728년
소장처 국립한글박물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6.5×18.0㎝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728년(영조 4) 김천택이 편찬한 가집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해동가요(海東歌謠), 가곡원류(歌曲源流)와 함께 3대 시조집 중 하나이다. '청구'는 본래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이고,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 김천택(金天澤)은 우리 노래가 구전으로만 읊어지다가 없어짐을 한탄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이 책을 편찬했다고 한다. '청구영언'이란 제목을 가진 책이 여러 권 존재하는데 이름은 '청구영언'으로 동일하지만, 제각기 특색을 지니며 내용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원전으로 추정되는 진본에 수록된 작품 수는 580수이다. 정윤경(鄭潤卿, 1681~1757)이 쓴 서문에 이어 본편에는 작가의 연대와 신분, 작품의 내용, 곡목 등의 기준에 따라 13항으로 나누어 작품을 수록하였다. 악조별 6수, 고려말 6수, 조선왕조 203수, 임금의 시 5수, 여항(閭巷) 6인의 65수, 규수(閨秀) 3인의 5수 등 580수의 시조를 실었다. 뒤에는 김천택 자신의 자서와 마악노초(磨嶽老樵) 이정섭(李廷燮)의 발문이 실려 있다.[1]

청구영언의 작자 김천택에 대하여

김천택(?-?)은 자가 백함(伯涵) 또는 이숙(履叔), 호가 남파(南坡)이다. 본관과 생몰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680년대 말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근거는 『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나열 순서로 보아 김수장(金壽長)보다 몇 살 연장자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김수장의 출생년이 1690년(숙종 16)이므로, 김천택의 출생년은 1680년대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김천택의 가계와 신분도 확실하지 않다. 『해동가요』의 작가제씨(作歌諸氏)에는 숙종 때의 포교(捕校)라 소개되어 있다. 당시 가객(歌客)이라는 신분이 중인계층으로, 관직생활은 젊었을 때 잠시 지냈고 거의 대부분의 시간은 가인 가객으로 지낸 것으로 추정될 뿐 가계와 신분을 확실히 알 수 없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천택 청구영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고금창가제씨 김천택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고금창가제씨 김수장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청구영언 정윤경 서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영언 마악노초 발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선 3대 시조집 해동가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선 3대 시조집 가곡원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선 3대 시조집 청구영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28년 청구영언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1185 126.98094 청구영언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7쪽.
  2. 최동원, 청구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權斗煥, 「金天澤의 身分에 대하여」, 『靑坡文學』, Vol 13, 숙명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1980, 106-114쪽 .
    • 김선기, 「김수장의 김천택 시조 수용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Vol 83, 한국언어문학회, 2012, 145-179쪽.
    • 강혜정, 「김천택의 교유와 《청구영언》의 편찬 과정 검토」,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 26,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5-3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