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정약용과 저술'을 통해 본 정약용의 삶의 세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제작 의도==
+
{{clickable button|[[Encyves 기사 표준 형식 예시|Back to Menu]]}}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은 제목에서 드러나듯, 1808년에서 1818년동안 다산이 다산초당에 유배하였던 것을
+
=='''개요'''==
다산초당을 소재로 하고있으나, 그의 저술은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다.
 
  
정약용이 다산초당에 있으면서 저술하였던 문헌들과 교우한 인물들, 그리고 다산의 행적이 묻은 장소들(문헌, 인물, 장소)을 보여주고자 한다.
+
[[정창섭]] 화백의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은 [[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 [[다산초당]]에 머물면서 사색과 저술에 몰두하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초당 마당에서 사색하고 있는 정약용의 모습을 실마리로 삼아, 그의 저작, 교유하였던 인물, 행적을 남긴 장소 등으로 시야를 넓혀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정약용]]의 삶의 세계를 조망해 본다.
매화, 하피첩을 통해서는 다산초당에서 가족들을 생각했던 다산의 인간적인 면모와
+
 
경세유표, 흠흠, 목민심서를 통해서는 다산의 유학자적인 면모
+
=='''내용'''==
백련사를 통해 다산과 교유하였던
+
 
백운동 별서정원을 토대로 다산의 문필, 다도법, 차사랑, 그리고 뭐씨일가와의 인연
+
1801년(순조 1년)의 [[신유박해]] 때 유배 형을 받은 다산은 18년간의 강진 유배생활 가운데  11년 동안(1808~1818) 다산초당에 기거하였다. 그 기간 동안 육경사서(六經四書)의 주석을 비롯하여 그 시대 사회의 문제에 대한 연구와 저술에 집중한 정약용은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길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br/>
나아가 설록다원강진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접점까지도.
+
 
 +
정약용의 많은 저술 가운데 유배 만년에 저술한 이른바 일표이서(一表二書,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를 통해서 실학자로서의 다산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또한 백운동 별서정원의 아름다움을 시로 담아낸 [[백운첩]]을 통해서는 문인으로서의 다산을, 그리고 부인 홍혜완의 빛바랜 치마폭을 잘라 만든 [[매화병제도]]와 [[하피첩]]을 통해 아버지로서의 다산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다.<br/>
 +
 
 +
강진 지역에 남은 정약용의 공간적 자취는 [[다산초당]]에 머물지 않는다. 인근의 [[강진 백련사]]에서는 다산과 [[혜장|혜장선사]]의 우정을, [[백운동 별서정원]]에서는 다산과 원주이씨가의 인연을 살필 수 있다. 강진의 명소가 된 녹차밭 [[설록다원강진|설록다원 강진]]에서도 정약용의 호 '다산(茶山)'이 지닌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br/>
 +
 
 +
=='''지식 관계망'''==
  
백련사, 백운동, 다산초당의 파빌리온을 통해 실제 다산이 기거했던 공간, 그가 교우했던 인물들과 그의 장소들을 따라 다산의 유배생활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흠흠 등을 소장한 장서각 전시를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으며
 
해당 작품의 소장처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을 파빌리온을 통해 실감나게 보여줄 수 있다.
 
===그래프===
 
*[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작성기사===
 
*중심기사 
 
**작품_[[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작가_[[정창섭]]
 
  
*중심문맥기사(작품의 소재 및 배경)
+
=='''시각자료'''==
**인물_[[정약용]]  
+
 
**장소_[[다산초당]] <font color="crimson">파빌리온</font>
+
===가상 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정약용의 자취가 남은 문화 공간: [[다산초당#가상현실|다산초당]], [[강진 백련사#가상현실|백련사]], [[설록다원강진#가상현실|설록다원강진]], [[백운동 별서정원#가상현실|백운동 별서정원]]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다산 문적 특별전시: [[다산 정약용, 원본으로 다시 만나다#가상현실|다산 정약용, 원본으로 다시 만나다]]
 +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정약용과 저술': [[한국학중앙연구원#가상현실|한국학중앙연구원]]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대표 이미지"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유적_다산초당_다산초당01.jpg|[[다산초당]]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다산초당백련사숲길 01.jpg|[[강진 다산초당~백련사 간 숲길]]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백련사 01.jpg|[[강진 백련사]]
 +
파일:민족기록화_유적_백운동 별서정원_01.jpg|[[백운동 별서정원]]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설록다원강진_01.jpg | [[설록다원강진]]
 +
</gallery>
 +
 
 +
=='''관련 기사'''==
 +
===중심 기사=== 
 +
*<font color="red"><small>'''작품'''</small></font>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font color="orange"><small>'''작가'''</small></font>  [[정창섭]]
 +
 
 +
===중심문맥기사(작품의 소재 및 배경)===
 +
*<font color="purple"><small>'''문화유산'''</small></font> [[다산초당]]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정약용]]
 +
 
 +
===문맥 기사===
 +
*<font color="grey"><small>'''소장처'''</small></font>  [[한국학중앙연구원]]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의순]]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혜장]]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윤이후]]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윤두서]]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이덕휘]]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이시헌]]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정학연]]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정학유]]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홍혜완]]
 +
*<font color="green"><small>'''인물'''</small></font> [[의순]]
 +
*<font color="purple"><small>'''문화유산'''</small></font> [[강진 백련사]] 
 +
*<font color="purple"><small>'''장소'''</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 
 +
*<font color="magenta"><small>'''장소'''</small></font> [[강진 다산초당~백련사 간 숲길]] 
 +
*<font color="magenta"><small>'''장소'''</small></font> [[설록다원강진]]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목민심서]]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흠흠신서]]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경세유표]]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백운첩]]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하피첩]]
 +
*<font color="blue"><small>'''문헌'''</small></font> [[매화병제도]]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 단행본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문맥기사
+
[[분류:프로젝트관리]]
*소장처_[[한국학중앙연구원]] <font color="crimson">파빌리온</font>
 
*인물_[[의순]]
 
*인물_[[혜장]] 
 
*인물_[[이덕휘]] 
 
*인물_[[이시헌]] 
 
*인물_[[정학연]] 
 
*인물_[[정학유]](작성X)
 
*인물_[[홍혜완]](작성X)
 
*장소_[[백운동 별서정원]] <font color="crimson">4/27 촬영예정</font>
 
*장소_[[백련사]] <font color="crimson">4월 27일 촬영예정</font>
 
*장소_[[강진 다산초당~백련사 간 숲길]] 
 
*장소_[[설록다원강진]] <font color="crimson">4월 27일 촬영예정</font>
 
*기관_[[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궁중팀 작성)
 
*문헌_[[목민심서]] 
 
*문헌_[[흠흠신서]]
 
*문헌_[[경세유표]]
 
*문헌_[[백운첩]] 
 
*문헌_[[하피첩]] 
 
*문헌_[[매화병제도]]
 
*사건_[[다산 정약용, 원본으로 다시 만나다]] <font color="crimson">파빌리온</font>
 

2017년 11월 2일 (목) 23:00 기준 최신판

Back to Menu

개요

정창섭 화백의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 다산초당에 머물면서 사색과 저술에 몰두하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초당 마당에서 사색하고 있는 정약용의 모습을 실마리로 삼아, 그의 저작, 교유하였던 인물, 행적을 남긴 장소 등으로 시야를 넓혀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정약용의 삶의 세계를 조망해 본다.

내용

1801년(순조 1년)의 신유박해 때 유배 형을 받은 다산은 18년간의 강진 유배생활 가운데 11년 동안(1808~1818) 다산초당에 기거하였다. 그 기간 동안 육경사서(六經四書)의 주석을 비롯하여 그 시대 사회의 문제에 대한 연구와 저술에 집중한 정약용은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길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정약용의 많은 저술 가운데 유배 만년에 저술한 이른바 일표이서(一表二書,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를 통해서 실학자로서의 다산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또한 백운동 별서정원의 아름다움을 시로 담아낸 백운첩을 통해서는 문인으로서의 다산을, 그리고 부인 홍혜완의 빛바랜 치마폭을 잘라 만든 매화병제도하피첩을 통해 아버지로서의 다산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다.

강진 지역에 남은 정약용의 공간적 자취는 다산초당에 머물지 않는다. 인근의 강진 백련사에서는 다산과 혜장선사의 우정을, 백운동 별서정원에서는 다산과 원주이씨가의 인연을 살필 수 있다. 강진의 명소가 된 녹차밭 설록다원 강진에서도 정약용의 호 '다산(茶山)'이 지닌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가상 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관련 기사

중심 기사

중심문맥기사(작품의 소재 및 배경)

문맥 기사

주석


참고문헌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