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은고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물품정보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은고첨_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은고첨_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은고첨
 
|한자표기= 銀孤尖
 
|한자표기= 銀孤尖
 
|영문명칭=
 
|영문명칭=
18번째 줄: 18번째 줄:
  
 
=='''정의'''==
 
=='''정의'''==
은으로 만든 기물이다.
+
조선시대 왕실 가례에서 사용하는 은으로 만든 기물(器物)이다.
  
 
=='''내용'''==
 
=='''내용'''==
31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은고첨(銀孤尖)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PAGENAME}}'''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은고첨(銀孤尖)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53번째 줄: 53번째 줄:
 
* 이정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0982&code1=3&code2=0 은고첨(銀孤尖)]",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이정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0982&code1=3&code2=0 은고첨(銀孤尖)]",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8일 (토) 17:17 기준 최신판


은고첨(銀孤尖)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은고첨
한자표기 銀孤尖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혼례(婚禮), 책례(冊禮)에 사용



정의

조선시대 왕실 가례에서 사용하는 은으로 만든 기물(器物)이다.

내용

가례(嘉禮)의 동뢰(同牢)책례(冊禮)에서 사용되었다.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미상이다.
은초아(銀召兒)와 함께 나타나고 수라간이나 혹은 평상시에 사용한 물건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음식의 조리나 섭취와 관련되었으며, 형태상으로 꽂아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재질에 따라 금고첨(金孤尖), 은고첨이 있는데, 은고첨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은고첨(銀孤尖)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은고첨(銀孤尖)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2.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은고첨(銀孤尖)",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정민, "은고첨(銀孤尖)",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