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용환-귀주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1019년 [[귀주대첩]]의 광경을 그린 [[이용환]]의 민족기록화.
+
고려 현종 10년(1019)에 일어난 [[귀주대첩]]의 광경을 그린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right|450px]]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right|450px]]
[[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고려]]를 공격하였다. 위 작품의 소재인 [[귀주대첩]]은 [[소배압]]을 총 지휘관으로 한 거란의 3차 침입 당시에 벌어진 전투이다. 상원수 '''⑤⑧ [[강감찬]]'''과 부원수 [[강민첨]]이 이끄는 고려 군대는 10만 거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거란]]의 무력 지배 야욕을 꺾은 기록적인 승리였다.
+
[[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고려]]를 공격하였다. 위 작품의 소재인 [[귀주대첩]](龜州大捷)은 [[소배압]](蕭排押)을 총 지휘관으로 한 거란의 3차 침입 당시에 벌어진 전투이다. 상원수(上元帥) '''⑤⑧ [[강감찬]]'''(姜邯贊, 948~1031)과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1021)이 이끄는 고려 군대는 10만 거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거란]]의 무력 지배 야욕을 꺾은 기록적인 승리였다.
이 작품에는 단순화된 병졸과 군마들 사이로 '''⑤ 붉은 대장기'''가 휘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중앙에 흰 수염에 금빛 갑옷을 입은 '''⑤⑧ [[강감찬]]''' 장군이 눈에 띈다. 이 장면은 북쪽으로 달아나는 '''④ [[거란|거란군]]'''을 [[고려|고려군]]이 맹렬히 추격하는 장면으로, 남쪽으로부터 '''①②③ 휘몰아치는 풍우'''와 '''⑤⑥ 북으로 나부끼는 깃발'''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아래를 보면 '''⑦ 적군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 작품에는 단순하게 그려진 병졸과 군마들 사이로 '''⑤ 붉은 대장기'''가 휘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앙에는 흰 수염에 금빛 갑옷을 입은 '''⑤⑧ [[강감찬]]''' 장군이 눈에 띈다. 이 장면은 북쪽으로 달아나는 '''④ [[거란|거란군]]'''을 [[고려|고려군]]이 맹렬히 추격하는 장면으로, 남쪽으로부터 '''①②③ 휘몰아치는 풍우'''와 '''⑤⑥ 북쪽으로 나부끼는 깃발'''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아래를 보면 '''⑦ 대패한 적군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귀주]]는 [[발해|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으로 구주(龜州)라고도 한다. [[청천강]] 이북에서 [[압록강]] 입구까지의 강동지방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강동육주]]의 하나이다. 그 속현(屬縣)은 밝혀지지 않았다.  
+
작품의 배경인 [[귀주]]는 [[발해|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으로 구주(龜州)라고도 한다. [[청천강]] 이북에서 [[압록강]] 입구까지의 강동지방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이다. 그 속현(屬縣)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109번째 줄: 109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민족/교열완료]][[분류:문헌]]

2017년 10월 17일 (화) 23:00 판


귀주대첩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고려 현종 10년(1019)에 일어난 귀주대첩의 광경을 그린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고려를 공격하였다. 위 작품의 소재인 귀주대첩(龜州大捷)은 소배압(蕭排押)을 총 지휘관으로 한 거란의 3차 침입 당시에 벌어진 전투이다. 상원수(上元帥) ⑤⑧ 강감찬(姜邯贊, 948~1031)과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1021)이 이끄는 고려 군대는 10만 거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거란의 무력 지배 야욕을 꺾은 기록적인 승리였다. 이 작품에는 단순하게 그려진 병졸과 군마들 사이로 ⑤ 붉은 대장기가 휘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앙에는 흰 수염에 금빛 갑옷을 입은 ⑤⑧ 강감찬 장군이 눈에 띈다. 이 장면은 북쪽으로 달아나는 거란군고려군이 맹렬히 추격하는 장면으로, 남쪽으로부터 ①②③ 휘몰아치는 풍우⑤⑥ 북쪽으로 나부끼는 깃발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아래를 보면 ⑦ 대패한 적군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귀주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으로 구주(龜州)라고도 한다. 청천강 이북에서 압록강 입구까지의 강동지방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이다. 그 속현(屬縣)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림 읽기

강감찬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용환-귀주대첩 이용환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용환-귀주대첩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용환-귀주대첩 강감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용환-귀주대첩 귀주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용환-귀주대첩 귀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강감찬 소배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강민첨 소배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강감찬 귀주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동6주 귀주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이용환이용환-귀주대첩을 그렸다.
1019년 강감찬귀주에서 소배압과 대립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용환-귀주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1. 영혼샘, "강감찬의 귀주대첩", 『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online,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이용범, "구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송기호, "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