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태자비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복식구성==
 
==복식구성==
 
[[대수|대수(大首)]], [[적의 |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왕실여성)|중단(中單)]], [[대대(왕실여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여성)|옥대(玉帶)]], [[폐슬(왕실여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여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여성) | 후수(後綬)]], [[하피 | 하피(霞帔)]], [[청석|청석(靑舃)]], [[청말|청말(靑襪)]], [[규(왕실여성) |규(圭)]]
 
[[대수|대수(大首)]], [[적의 |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왕실여성)|중단(中單)]], [[대대(왕실여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여성)|옥대(玉帶)]], [[폐슬(왕실여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여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여성) | 후수(後綬)]], [[하피 | 하피(霞帔)]], [[청석|청석(靑舃)]], [[청말|청말(靑襪)]], [[규(왕실여성) |규(圭)]]
 
===착장 과정===
 
분홍색 [[저고리]]와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고 [[적말]]을 신는다. 분홍색 [[저고리]] 위에 송화색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송화색 [[저고리]]를 입는다. [[중단]]을 입고 [[전행웃치마]]를 두른다. [[적의]]를 입고, [[대대(왕실여성)|대대]]를 두른다. [[옥대(왕실여성)|옥대]]와 [[폐슬(왕실여성)|폐슬]]을 두르고, [[하피]]를 걸친다. [[대수]]를 머리에 쓰고, [[규]]를 든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1 김아람.png|분홍 저고리와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2 김아람.png|분홍 저고리 위에 송화색 저고리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3 김아람.png|송화색 저고리 위에 회장 저고리를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4 김아람.png|중단을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5 김아람.png|전행웃치마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6 김아람.png|적의를 입은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7 김아람.png|대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8 김아람.png|옥대를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9 김아람.png|폐슬을 두른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착장10 김아람.png|하피을 걸친 모습.<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왕비의 대례복 김아람.png|대수을 쓰고, 규를 들어 황태자비의 대례복 착장 완성.<ref>궁중기록화팀 ⓒ김아람.</ref>
 
</gallery>
 
 
===착장 동영상===
 
* '''황태자비의 대례복 착장 과정'''(ⓒ 김아람)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dh.aks.ac.kr/Encyves/Video/B056/B056.mp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9월 25일 (월) 18:02 판


황태자비의 대례복
(皇太子妃의 大禮服)
대표명칭 황태자비의 대례복
한자표기 皇太子妃의 大禮服
이칭별칭 적의(翟衣)
분류 예복
착용신분 황태자비
착용성별 여성



정의

대한제국의 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가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을 때 대수와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왕실 여성의 대례복도 이에 합당한 의복제도를 정하기 위해 『대명회전』에 근거하여 적의 제도를 새로 마련했다. 적의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等]에 차등을 두었는데, 황태자비왕비와 같은 9등(等)이다.[2]

복식구성

대수(大首),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하피(霞帔), 청석(靑舃), 청말(靑襪), 규(圭)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태자비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의 대례복 대수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대란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스란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중단(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전행웃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옥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폐슬(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패옥(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후수(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청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청석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하피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7850 126.989909 창덕궁 돈화문 근처 상의원에서 황태자비의 대례복을 제작했다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아름다운 시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朴聖實, 「翟衣制度의 變遷 硏究」, 『服飾』 9권, 1985.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