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밀양 영원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7번째 줄: 7번째 줄:
 
|지정번호=
 
|지정번호=
 
|지정일=  
 
|지정일=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
|주소=  
|위도= 35.484984
+
|위도=  
|경도= 128.805905
+
|경도=  
 
|소유자=
 
|소유자=
 
|관리자=  
 
|관리자=  

2017년 9월 22일 (금) 13:01 판

밀양 영원사지
(密陽 瑩源寺址)
대표명칭 밀양 영원사지
한자 密陽 瑩源寺址
경내문화재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부도,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묘응탑비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었던 영원사(瑩源寺)의 절터.

내용

‘고려국 천태 불은사 중흥기’에 따르면 의선 스님은 1323년부터 영원사 주지를 하고 있는 동안 원나라에 들어가 1336년 귀국할 때까지 법호에 영원사 주지라는 말이 따라 다녔다. 또 영원사를 ‘연이기사위전대국통하산소(然以其寺爲前代國統下山所)’라고 표현한 것을 볼 때 고려시대 때 교권을 장악하는데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지방사원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선종에 몸담고 있었던 탄연 스님이 광명사로 옮긴 뒤 영원사의 주지는 천태종 스님인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 1108~ 1174)가 맡게 된다. 이 때 선종사찰인 영원사는 천태종 사찰로 바뀌었다.

원각국사는 대각국사가 천태종을 개창한 이후 천태종 계열의 스님으로서는 최초로 왕사가 된 인물이다. 원각국사는 “영원사에 있을 때 일찍이 이르기를 영원사는 선가의 고찰”이라고 했다. 이는 영동 영국사에 있는 원각국사비에 적혀 있다. 이 비는 1180년 고려 문신 한문준(韓文俊, ?~1190)이 썼다고 전한다.

‘국청사금당주불석가여래사리영이기(國淸寺金堂主佛釋迦如來舍利靈異記)’에는 천태종 만덕산 백련사 출신인 무외정오(無畏丁午, ?~1318) 스님이 충선왕의 명에 따라 1310년 영원사에 주석하면서 금당과 낭무를 중수했다.

정오 스님은 1313년 11월 충숙왕으로부터 국통(國統)의 직위를 받아 당시의 교계를 통솔하다 1314년 영원사를 떠났다. 이후 일연 스님의 제자인 보감국사 혼구(寶鑑國師 混丘, 1250~1322)대사가 영원사에 주석하면서 선종사찰로 복구되었다.

영원사의 정확한 폐사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밀주지에 “비석은 지금까지 그 자리에 있다. 절을 폐한 그 터에다 덕성서원을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1567년(조선 명종 22)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현재로선 영원사지의 규모 또한 알 수 없다. 다만 남아있는 유물과 역사사료를 참고할 때 사세가 컸음을 짐작할 뿐이다. 남아있는 유물로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 영원사지보감국사부도와 13호 보감국사묘응탑비, 불상 4구, 광배, 주춧돌, 기와 파편 등이 전부다.[금강신문]

관련 문화재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밀양 영원사지 밀양 영원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묘응탑비 혼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묘응탑비 밀양 영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부도 혼구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부도 밀양 영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