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영문명칭=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영문명칭=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성격= 연구기관
 
|성격= 연구기관
|설립일= 2006년
+
|설립일= 2006년 2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
 
|웹사이트= http://e-kyujanggak.snu.ac.kr
 
|웹사이트= http://e-kyujanggak.snu.ac.kr
15번째 줄: 15번째 줄:
  
 
=='''정의'''==
 
=='''정의'''==
* 규장각 자료의 보존 관리와 한국학 연구를 하는 연구기관.
+
규장각 자료의 보존 관리와 한국학 연구를 하는 연구기관이다.
  
 
=='''내용'''==
 
=='''내용'''==
 +
===연혁<ref>"[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1&siteCd=KYU&topMenuId=201&targetId=21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1776년: [[조선 정조|정조]]의 명으로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 설치
 +
* 1894년: [[궁내부]]로 귀속
 +
* 1895년 4월 2일: 규장원(奎章院)으로 개칭되어 [[궁내부]] 산하 기관으로 격하됨
 +
* 1897년 1월 4일: 다시 규장각으로 환원 개칭
 +
* 1910년 8월: 강제병합으로 규장각이 폐지되고 제실도서는 [[이왕직]]에서 관리함
 +
* 1928년 10월 29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1차 이관(9,551책)
 +
* 1930년 5월 28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2차 이관(15,930책)
 +
* 1930년 10월 29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3차 이관(136,638책)
 +
* 1945년 10월 16일: 경성제국대학이 경성대학으로 개편
 +
* 1946년 8월 22일: 국립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발족(미정리된 규장각 도서 16만여권)
 +
* 1949년 12월 31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개칭
 +
* 1950년 12월: 한국전쟁으로 인해 부산으로 규장각 도서 임시 이송
 +
* 1954년 6월 18일: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복귀
 +
* 1975년 2월 28일: 서울대학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서울대학교 도서관으로 확대 개편
 +
* 1975년 3월: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규장각도서관리실 설치
 +
* 1990년 6월: 규장각 전용 신축 건물로 이전
 +
* 1992년 3월 6일: 서울대학교 설치령 개정으로 규장각도서관리실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으로 독립
 +
* 2006년 2월 1일: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1969년 6월 설립된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를 통합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출범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 책례: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연계자원2= 혼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연계자원3= 국장: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연계자원4= 예장: [[단의빈예장도감의궤|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연계자원5= 회화: [[무신진찬도병|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2006년 2월 1일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설립되었다
 +
|}
  
==관련항목==
+
===공간정보===
===소장처 → 복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37.4621075 || 126.9502654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에 위치한다
| '''{{PAGENAME}}'''  || 복식 || A는 B를 소장한다 ||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
===갤러리===
 +
'''책례'''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책례_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gallery>
 +
 
 +
'''혼례'''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_외규장각.jpg|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_외규장각.jpg|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gallery>
  
 +
'''국장'''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숙종국장도감의궤이_외규장각.jpg|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경종국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일_외규장각.jpg|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외규장각.jpg|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gallery>
  
 +
'''예장'''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단의빈예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단의빈예장도감의궤|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파일: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gallery>
  
==주석==
+
'''회화'''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0_중박.jpg| [[무신진찬도병|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gallery>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소장처]]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더 읽을거리===
 +
 
 +
===유용한 정보===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소장처]]

2017년 9월 17일 (일) 17:08 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章閣韓國學研究院)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자표기 奎章閣韓國學研究院
영문명칭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성격 연구기관
설립일 2006년 2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
웹사이트 http://e-kyujanggak.snu.ac.kr



정의

규장각 자료의 보존 관리와 한국학 연구를 하는 연구기관이다.

내용

연혁[1]

  • 1776년: 정조의 명으로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 설치
  • 1894년: 궁내부로 귀속
  • 1895년 4월 2일: 규장원(奎章院)으로 개칭되어 궁내부 산하 기관으로 격하됨
  • 1897년 1월 4일: 다시 규장각으로 환원 개칭
  • 1910년 8월: 강제병합으로 규장각이 폐지되고 제실도서는 이왕직에서 관리함
  • 1928년 10월 29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1차 이관(9,551책)
  • 1930년 5월 28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2차 이관(15,930책)
  • 1930년 10월 29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으로 규장각 도서 3차 이관(136,638책)
  • 1945년 10월 16일: 경성제국대학이 경성대학으로 개편
  • 1946년 8월 22일: 국립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발족(미정리된 규장각 도서 16만여권)
  • 1949년 12월 31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개칭
  • 1950년 12월: 한국전쟁으로 인해 부산으로 규장각 도서 임시 이송
  • 1954년 6월 18일: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복귀
  • 1975년 2월 28일: 서울대학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서울대학교 도서관으로 확대 개편
  • 1975년 3월: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규장각도서관리실 설치
  • 1990년 6월: 규장각 전용 신축 건물로 이전
  • 1992년 3월 6일: 서울대학교 설치령 개정으로 규장각도서관리실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으로 독립
  • 2006년 2월 1일: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1969년 6월 설립된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를 통합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출범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책례: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혼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국장: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예장: 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회화: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 내용
2006년 2월 1일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설립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621075 126.9502654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동 관악로 1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책례

혼례

국장

예장

회화

주석

  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