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우세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당나라 월주(越州) 여요(餘姚) 사람. 자는 백시(伯施)고, 우세기(虞世基)의 동생이다. 고야왕(顧野王)에게서 10여 년 공부했는데, 게으름을 부리지 않고 집중했다. 문장이 화려하여 서릉(徐陵)의 문풍을 얻었다. 왕희지(王羲之)의 7세손인 승려 지영(智永)에게서 왕희지의 서법을 배워 서체를 묘득(妙得)하자 더욱 명성을 떨쳤다. 구양순(歐陽詢), 저수량(褚遂良), 설직(薛稷) 등과 함께 ‘당초사대서예가(唐初四大書藝家)’로 꼽힌다. 6조(六朝) 진(陳)나라 때부터 알려지기 시작해 수나라의 양제(煬帝)를 받들어 기거사인(起居舍人)이 되었지만 중용되지는 못했다. 당나라 태종의 신임을 받아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가 되어 방현령(房玄齡)과 함께 문한(文翰)을 관장했다. 비서감(秘書監)으로 옮겼고, 영흥현자(永興縣子)에 봉해져 ‘우영흥(虞永興)’으로도 불린다.
+
당나라 월주(越州) 여요(餘姚) 사람. 자는 백시(伯施)고, [[우세기|우세기(虞世基)]]의 동생이다. [[고야왕|고야왕(顧野王)]]에게서 10여 년 공부했는데, 게으름을 부리지 않고 집중했다. 문장이 화려하여 서릉(徐陵)의 문풍을 얻었다. [[왕희지|왕희지(王羲之)]]의 7세손인 승려 [[지영|지영(智永)]]에게서 [[왕희지]]의 서법을 배워 서체를 묘득(妙得)하자 더욱 명성을 떨쳤다. [[구양순|구양순(歐陽詢)]], [[저수량|저수량(褚遂良)]], [[설직|설직(薛稷)]] 등과 함께 ‘[[당초사대서예가|당초사대서예가(唐初四大書藝家)]]’로 꼽힌다. 6조(六朝) 진(陳)나라 때부터 알려지기 시작해 수나라의 [[수 양제|양제(煬帝)]]를 받들어 기거사인(起居舍人)이 되었지만 중용되지는 못했다. 당나라 [[당 태종|태종]]의 신임을 받아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가 되어 방현령(房玄齡)과 함께 문한(文翰)을 관장했다. 비서감(秘書監)으로 옮겼고, 영흥현자(永興縣子)에 봉해져 ‘우영흥(虞永興)’으로도 불린다.<ref>[네이버 지식백과] 우세남 [虞世南]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ref/>
  
정관(貞觀) 12년(638)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가 되었다. 태종이 그의 박식함을 중시해 정무를 보는 여가에 불러 담론을 나누었다. 이때 반드시 시정에 대해 지적했는데, 많이 받아들여졌다. 태종이 일찍이 그에게는 오절(五絶)이 있다면서 덕행과 충직, 박학, 문사(文辭), 서한(書翰)을 들었다. 시호는 문의(文懿)다. 글씨로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가 유명하고, 행서(行書)로는 「여남공주묘지고(汝南公主墓誌稿)」가 있다. 시에서도 당시 궁정시단의 중심을 이루었으며, 시문집 『우비감집(虞秘監集)』과 편저 『북당서초(北堂書鈔)』 등이 있다.<ref>[네이버 지식백과] 우세남 [虞世南]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ref/>
+
정관(貞觀) 12년(638)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가 되었다. [[당 태종|태종]]이 그의 박식함을 중시해 정무를 보는 여가에 불러 담론을 나누었다. 이때 반드시 시정에 대해 지적했는데, 많이 받아들여졌다. [[당 태종|태종]]이 일찍이 그에게는 오절(五絶)이 있다면서 덕행과 충직, 박학, 문사(文辭), 서한(書翰)을 들었다. 시호는 문의(文懿)다. 글씨로 「[[공자묘당비|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가 유명하고, 행서(行書)로는 「[[여남공주묘지고|여남공주묘지고(汝南公主墓誌稿)]]」가 있다. 시에서도 당시 궁정시단의 중심을 이루었으며, 시문집 『[[우비감집|우비감집(虞秘監集)]]』과 편저 『[[북당서초|북당서초(北堂書鈔)]]』 등이 있다.<ref>[네이버 지식백과] 우세남 [虞世南]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9월 17일 (일) 12:29 판

우세남(虞世南)
대표명칭 우세남
한자표기 虞世南
생몰년 558년-638년
시호 문의(文懿)
백시(伯施)
출생지 월주(越州) 여요(餘姚)
시대 당나라
국적 중국
대표직함 비서감(秘書監),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 예부상서(禮部尚書)
구양흘(歐陽紇)
자녀 구양통(歐陽通)
유형 서예가



정의

중국 당(唐)시대의 서예가.

내용

당나라 월주(越州) 여요(餘姚) 사람. 자는 백시(伯施)고, 우세기(虞世基)의 동생이다. 고야왕(顧野王)에게서 10여 년 공부했는데, 게으름을 부리지 않고 집중했다. 문장이 화려하여 서릉(徐陵)의 문풍을 얻었다. 왕희지(王羲之)의 7세손인 승려 지영(智永)에게서 왕희지의 서법을 배워 서체를 묘득(妙得)하자 더욱 명성을 떨쳤다. 구양순(歐陽詢), 저수량(褚遂良), 설직(薛稷) 등과 함께 ‘당초사대서예가(唐初四大書藝家)’로 꼽힌다. 6조(六朝) 진(陳)나라 때부터 알려지기 시작해 수나라의 양제(煬帝)를 받들어 기거사인(起居舍人)이 되었지만 중용되지는 못했다. 당나라 태종의 신임을 받아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가 되어 방현령(房玄齡)과 함께 문한(文翰)을 관장했다. 비서감(秘書監)으로 옮겼고, 영흥현자(永興縣子)에 봉해져 ‘우영흥(虞永興)’으로도 불린다.<ref>[네이버 지식백과] 우세남 [虞世南]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내용이 없는 주석은 이름이 있어야 합니다

정관(貞觀) 12년(638)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가 되었다. 태종이 그의 박식함을 중시해 정무를 보는 여가에 불러 담론을 나누었다. 이때 반드시 시정에 대해 지적했는데, 많이 받아들여졌다. 태종이 일찍이 그에게는 오절(五絶)이 있다면서 덕행과 충직, 박학, 문사(文辭), 서한(書翰)을 들었다. 시호는 문의(文懿)다. 글씨로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가 유명하고, 행서(行書)로는 「여남공주묘지고(汝南公主墓誌稿)」가 있다. 시에서도 당시 궁정시단의 중심을 이루었으며, 시문집 『우비감집(虞秘監集)』과 편저 『북당서초(北堂書鈔)』 등이 있다.<ref>[네이버 지식백과] 우세남 [虞世南]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내용이 없는 주석은 이름이 있어야 합니다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희지 구양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구양통 구양순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Son B
구양순 우세남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구양순 장회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양순 전수결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용필론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팔결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삼십육법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복상첩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장한첩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구양순 구양순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