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후-여진정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 | 파일: | +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800px|center]] |
+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
+ | =='''내용'''==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았다.<br/> |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았다.<br/> | ||
− | |||
− | =='' | + | |
− | + | 1356년(공민왕 5) 고려의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유인우(柳仁雨) 장군이 원(元)에게 빼앗겼던 쌍성(雙城 : 현재의 영흥)을 수복하였던 모습을 담은 기록화(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1&cid=51293&categoryId=51293) | |
− | +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3쪽.</ref>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 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 |
<gallery> | <gallery> | ||
− | 파일: | +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
− | 파일: | +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
− | 파일: | +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 | +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
− | 파일: | +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
− | +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
− | |||
− | 파일: | ||
− | |||
−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46번째 줄: | 42번째 줄: | ||
</html> | </html>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 | |- | ||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 |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안재후]] |
|- | |- |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 ]]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
|- | |- |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유인우]] |
|- | |- | ||
− | |{{PAGENAME}} || ~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여진정벌]] |
|} | |} | ||
63번째 줄: | 58번째 줄: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 |- | ||
− | |{{PAGENAME}}||제작연도|| |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 | |- | ||
+ | |{{PAGENAME}}||[[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여기간 || 1991.11.30 ~ 1992.11.29 | ||
+ | |- | ||
+ | |{{PAGENAME}}||[[전쟁기념관]] 이전 연도|| 1998년 | ||
|} | |} | ||
70번째 줄: | 69번째 줄: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 | ||
− | |{{PAGENAME}} ||소장처|| [[ | + | |{{PAGENAME}} ||소장처|| [[제11기계화보병사단]] ||37.6959064|| 127.853384 |
+ | |- | ||
+ | |{{PAGENAME}} ||소장처|| [[전쟁기념관]] || 37.5369559 || 126.9749353 | ||
|} | |} | ||
82번째 줄: | 83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려]][[분류:전쟁]] |
2017년 2월 4일 (토) 16:34 판
김지선
여진정벌 | |
작가 | 안재후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290.9x197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개요
내용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았다.
1356년(공민왕 5) 고려의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유인우(柳仁雨) 장군이 원(元)에게 빼앗겼던 쌍성(雙城 : 현재의 영흥)을 수복하였던 모습을 담은 기록화(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1&cid=51293&categoryId=51293)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1]
관련 민족기록화
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노드 | 관계 | 노드 |
---|---|---|
안재후-여진정벌 | ~에 의해 그려지다 | 안재후 |
안재후-여진정벌 | ~에 소장되어 있다 | 전쟁기념관 |
안재후-여진정벌 | ~을 소재로 삼다 | 유인우 |
안재후-여진정벌 | ~을 소재로 삼다 | 여진정벌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안재후-여진정벌 | 제작연도 | 1975년 |
안재후-여진정벌 |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여기간 | 1991.11.30 ~ 1992.11.29 |
안재후-여진정벌 | 전쟁기념관 이전 연도 | 1998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안재후-여진정벌 | 소장처 | 제11기계화보병사단 | 37.6959064 | 127.853384 |
안재후-여진정벌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37.5369559 | 126.9749353 |
참고문헌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주석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