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진-쌍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설명)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br/> |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br/> | ||
− | [[유인우]] 앞에 갈색말을 타고 있는 장군은 [[ | + | [[유인우]] 앞에 갈색말을 타고 있는 장군은 [[조선 환조]](이자춘)으로 추정된다. [[유인우]]는 [[조선 환조]]의 협력으로 [[쌍성총관부]]를 탈환 및 폐지하고 화주목(和州牧)을 설치<ref>"유인우는...화주목을 설치" : "쌍성총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중세사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사사전편찬회.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664&cid=42957&categoryId=42957 쌍성총관부]",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했는데, 이후 [[조선 환조]]는 동북면병마사에 임명되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시켰고, 이것이 그의 아들인 [[이성계|조선 태조]]가 뒷날 조선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세력기반이 되었다.<ref>"이후...세력기반이 되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41 쌍성총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2017년 9월 2일 (토) 17:41 판
쌍성수복 | |
작가 | 문학진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1356년(공민왕 5)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유인우(柳仁雨) 장군이 원(元)에게 빼앗겼던 쌍성총관부(현재의 함경북도 영흥군)를 수복하였던 모습을 담은[1] 문학진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 용이 그려진 군기(軍旗)를 들고 있는 병사 오른편에 백마를 타고 있는 장군이 유인우로, 병사들을 이끌고 쌍성을 탈환하고 있다.
유인우 앞에 갈색말을 타고 있는 장군은 조선 환조(이자춘)으로 추정된다. 유인우는 조선 환조의 협력으로 쌍성총관부를 탈환 및 폐지하고 화주목(和州牧)을 설치[2] 했는데, 이후 조선 환조는 동북면병마사에 임명되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시켰고, 이것이 그의 아들인 조선 태조가 뒷날 조선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세력기반이 되었다.[3]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고려 후기(1258~1356) 원나라가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군) 이북의 고려영토를 차지하고 설치했던 통치기관인 쌍성총관부이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해당 작품은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4]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문학진-쌍성수복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학진-쌍성수복 | 문학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학진-쌍성수복 | 유인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쌍성총관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문학진-쌍성수복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학진-쌍성수복 | 제11기계화보병사단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유인우 | 쌍성총관부 | A는 B를 공격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자춘 | 쌍성총관부 수복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자춘 | 조선 태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쌍성총관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문학진이 문학진-쌍성수복을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문학진-쌍성수복을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1356년 | 유인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1356년 | 이자춘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6959064 | 127.853384 |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문학진-쌍성수복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문학진-쌍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 ↑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고려의 쌍성수복",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유인우는...화주목을 설치" : "쌍성총관부,
『한국고중세사사전』online , 한국사사전편찬회. 온라인 참조: "쌍성총관부",한국고중세사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후...세력기반이 되었다." :"쌍성총관부",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