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중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37번째 줄: 37번째 줄:
 
135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2) [[문과|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우왕]] 때 [[정당문학|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어 [[문하찬성사|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다. 1390년([[고려 공양왕|공양왕]] 2) [[윤이 이초의 옥사|이초(彛初)의 옥(獄)]]에 연루되었다 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문하찬성사·[[상의찬성사|상의찬성사(商議贊成事)]]를 역임하였다. 1392년 조선개국 후 판문하부사(判門下部事)에 올라 1396년([[조선 태조|태조]] 5)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7년 [[영의정|영의정(領議政)]]에 임명되었으며, 이어 예천백(醴泉伯)에 봉해진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281&cid=40942&categoryId=33382 권중화]",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35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2) [[문과|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우왕]] 때 [[정당문학|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어 [[문하찬성사|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다. 1390년([[고려 공양왕|공양왕]] 2) [[윤이 이초의 옥사|이초(彛初)의 옥(獄)]]에 연루되었다 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문하찬성사·[[상의찬성사|상의찬성사(商議贊成事)]]를 역임하였다. 1392년 조선개국 후 판문하부사(判門下部事)에 올라 1396년([[조선 태조|태조]] 5)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7년 [[영의정|영의정(領議政)]]에 임명되었으며, 이어 예천백(醴泉伯)에 봉해진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281&cid=40942&categoryId=33382 권중화]",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의약에 정통해 조선 초에 고려 말경에 전해온 『[[삼화자향약방|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이 너무 간요하다 하여 [[서찬|서찬(徐贊)]] 등과 함께 다시 『[[향약간이방|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을 편집하였다. 그리고 1399년([[조선 정종|정종]] 1)에 [[조준|조준(趙浚)]]·[[김사형|김사형(金士衡)]]의 명령에 따라 [[한상경|한상경(韓尙敬)]]과 함께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을 새로 편집하기도 하였다. 또한, 고사(故事)를 비롯해 의약·지리·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전서(篆書)]]에도 능하였다. 작품으로는 양주에 있는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회암사나옹화상비(檜巖寺懶翁和尙碑)]]와 개성에 있는 [[광통보제선사비|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師碑)]]의 [[제액|전액(篆額)]]의 글씨를 남겼다.<ref>신해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85 권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한편 권중화는 1395년([[조선 태조|태조]] 4) [[조선 태조|태조]]가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권근|권근(權近])]], [[유방택|유방택(柳方澤)]] 등 11명의 천문학자들에게 명을 내려 제작하게 한 [[천상열차분야지도|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작업에도 참여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280000,11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권중화는 의약에 정통하여 고려 말기에 유행한 의학서인 『[[삼화자향약방|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을 보충하는 성격의 『[[향약간이방|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을 [[서찬|서찬(徐贊)]] 등과 편집하였으며, 78세때인 1399년([[조선 정종|정종]] 1년)에는 [[한상경|한상경(韓尙敬)]]과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새로 편집하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1&cp_code=cp0436&index_id=cp04360010&content_id=cp043600100001&search_left_menu= 권중화]",
 +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ref>
 +
 
 +
또한, 고사(故事)를 비롯해 의약·지리·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전서(篆書)]]에도 능하였다. 작품으로는 양주에 있는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회암사나옹화상비(檜巖寺懶翁和尙碑)]]와 개성에 있는 [[광통보제선사비|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師碑)]]의 [[제액|전액(篆額)]]의 글씨를 남겼다.<ref>신해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85 권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한편 권중화는 1395년([[조선 태조|태조]] 4) [[조선 태조|태조]]가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권근|권근(權近])]], [[유방택|유방택(柳方澤)]] 등 11명의 천문학자들에게 명을 내려 제작하게 한 [[천상열차분야지도|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작업에도 참여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280000,11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7월 22일 (토) 20:14 판

권중화(權仲和)
대표명칭 권중화
한자표기 權仲和
생몰년 1322년-1408년
본관 안동(安東)
시호 문절(文節)
동고(東皐)
용부(容夫)
시대 고려
권한공(權漢功)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이자 문신.

내용

1353년(공민왕 2)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우왕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어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다. 1390년(공양왕 2) 이초(彛初)의 옥(獄)에 연루되었다 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문하찬성사·상의찬성사(商議贊成事)를 역임하였다. 1392년 조선개국 후 판문하부사(判門下部事)에 올라 1396년(태조 5)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7년 영의정(領議政)에 임명되었으며, 이어 예천백(醴泉伯)에 봉해진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1]

권중화는 의약에 정통하여 고려 말기에 유행한 의학서인 『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을 보충하는 성격의 『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을 서찬(徐贊) 등과 편집하였으며, 78세때인 1399년(정종 1년)에는 한상경(韓尙敬)과 『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을 새로 편집하였다.[2]

또한, 고사(故事)를 비롯해 의약·지리·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하였다. 작품으로는 양주에 있는 회암사나옹화상비(檜巖寺懶翁和尙碑)와 개성에 있는 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師碑)전액(篆額)의 글씨를 남겼다.[3] 한편 권중화는 1395년(태조 4) 태조가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권근(權近]), 유방택(柳方澤) 등 11명의 천문학자들에게 명을 내려 제작하게 한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작업에도 참여하였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권중화 윤이 이초의 옥사 A는 B와 관련있다
권중화 향약간이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권중화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권중화 A는 B가 비문을 썼다
광통보제선사비 권중화 A는 B가 비문을 썼다

주석

  1. "권중화",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권중화",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3. 신해순, "권중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신해순, "권중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중화",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권중화", 과거 및 취재,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