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정의'''==
 +
정경세는 조선 후기 학자로서 [[이황]]-[[유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맥의 거두이다.
 +
 
=='''정경세와 영남학파'''==
 
=='''정경세와 영남학파'''==
 
정경세의 호는 우복이며 진주정씨 정여관의 아들이다. 정경세는 [[유성룡]]의 고제로서 이황-유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통의 적전이었다. 그는 주자학 전반에 조예가 깊었지만 특히 예학에 정통하였으며 영남남인으로서는 드물게 인조조에 이조판서에 올라 일국의 전형을 담당하고 양관대제학으로서 한 시대의 문병을잡았던 매우 현달한 인물이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尙州 晉州鄭氏 愚伏宗宅 山水軒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성격」, 『晉州鄭氏 愚伏宗宅 寄託典籍』,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73쪽. </ref>
 
정경세의 호는 우복이며 진주정씨 정여관의 아들이다. 정경세는 [[유성룡]]의 고제로서 이황-유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통의 적전이었다. 그는 주자학 전반에 조예가 깊었지만 특히 예학에 정통하였으며 영남남인으로서는 드물게 인조조에 이조판서에 올라 일국의 전형을 담당하고 양관대제학으로서 한 시대의 문병을잡았던 매우 현달한 인물이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尙州 晉州鄭氏 愚伏宗宅 山水軒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성격」, 『晉州鄭氏 愚伏宗宅 寄託典籍』,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73쪽. </ref>

2017년 7월 18일 (화) 04:53 판

정의

정경세는 조선 후기 학자로서 이황-유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맥의 거두이다.

정경세와 영남학파

정경세의 호는 우복이며 진주정씨 정여관의 아들이다. 정경세는 유성룡의 고제로서 이황-유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통의 적전이었다. 그는 주자학 전반에 조예가 깊었지만 특히 예학에 정통하였으며 영남남인으로서는 드물게 인조조에 이조판서에 올라 일국의 전형을 담당하고 양관대제학으로서 한 시대의 문병을잡았던 매우 현달한 인물이었다. [1] 정경세는 사회적, 학문적 지위에 반해 경제적으로는 그다지 안정적이지 못했으며 만년에는 각종 옥사에 연루된 나머지 제반 여건이 불안정했ㅇ며 거처도 일정하지 않았다.[2]

평가

17세기 초반 중앙 정계와 영남학파에 미친 우복의 영향력은 대단했다. 그는 학식, 문장과 풍부한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유성룡의 사후에는 영남남인의 구심점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이황-유성룡으로 이어지는 학통의 정맥으로서 흔히 이황의 3고제로 불리는 유성룡, 김성일, 정구 3인이 모두 사망하는 1620년 이후에는 장현광과 더불어 영남학파의 대들보 역할을 하였다. .[3]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尙州 晉州鄭氏 愚伏宗宅 山水軒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성격」, 『晉州鄭氏 愚伏宗宅 寄託典籍』,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73쪽.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尙州 晉州鄭氏 愚伏宗宅 山水軒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성격」, 『晉州鄭氏 愚伏宗宅 寄託典籍』,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74쪽.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尙州 晉州鄭氏 愚伏宗宅 山水軒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성격」, 『晉州鄭氏 愚伏宗宅 寄託典籍』,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7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