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
정구(鄭逑) | |
대표명칭 | 정구 |
---|---|
한자표기 | 鄭逑 |
생몰년 | 1543년-1620년 |
본관 | 청주(淸州) |
시호 | 문목(文穆 |
호 | 한강(寒岡 |
자 | 자는 도가(道可) |
시대 | 조선시대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가례집람보주, 창산지, 심경발휘, 역대기년 등 다수 |
대표직함 | 형조참판 |
부 | 정사중(鄭思中) |
모 | 정사충 처 성주이씨 |
성격 | 문신 |
유형 | 인물 |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및 학자이다.
내용
정구 가계에 대애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철산군수 정윤증(鄭胤曾)의 종손이다.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고, 아버지는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충좌위(忠佐衛) 부사맹(副司孟) 정사중(鄭思中)이다. 어머니는 성주 이씨(星州 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1]
성리학 공부에 매진
5세에 이미 신동으로 불렸으며 10세에 『대학』과 『논어』의 대의를 이해하였다. 13세인 1555년 성주향교 교수인 오건(吳健)에게 역학을 배웠는데 건(乾)·곤(坤) 두 괘(卦)만 배우고 나머지 괘는 유추해 스스로 깨달았다 한다. 1563년에 이황(李滉)을, 1566년에 조식(曺植)을 만나서 스승으로 삼았으며, 그 무렵 성운(成運)을 찾아가기도 하였다. 1563년 향시(鄕試)에 합격했으나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2]
관직 생활 및 의병 활동
1573년(선조 6) 김우옹(金宇顒)이 추천해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는 등 여러 번 관직에 임명되어도 사양하다가 1580년 비로소 창녕현감(昌寧縣監)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584년 동복현감(同福縣監)을 거쳐, 이듬해 교정청낭청(校正廳郎廳)으로 『소학언해』와 『사서언해』 등의 교정에 참여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통천군수(通川郡守)로 재직하면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다. 1593년 선조의 형인 하릉군(河陵君)의 시체를 찾아 장사를 지낸 공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한 뒤 우부승지, 장례원판결사·강원도관찰사·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전체적으로 중앙 관직보다는 지방의 수령으로 더 많이 활약하였다.[3]
정치•사상적 입장
1603년(선조 36) 『남명집(南冥集)』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정인홍(鄭仁弘)이 이황과 이언적(李彦迪)을 배척하자 그와 절교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임해군(臨海君)의 역모사건이 있자 관련자를 모두 용서하라는 소를 올리고 대사헌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구하려 했으며, 1617년 폐모론(廢母論) 때에도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인(庶人)으로 쫓아내지 말 것을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만년에 정치적으로 남인으로 처신하지만 서경덕(徐敬德)·조식 문인들과 관계를 끊지 않았기 때문에 사상적으로는 영남 남인과 다른 요소들이 많았으며, 뒤에 근기남인 실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문인으로는 서사원(徐思遠)·송원기(宋遠器)·허목(許穆)·황종해(黃宗海) 등이 있다.[4]
상훈과 추모
인조반정 직후인 1623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1625년 문목(文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성주회연서원(檜淵書院)·천곡서원(川谷書院), 칠곡의 사양서원(泗陽書院), 창녕의 관산서원(冠山書院), 충주의 운곡서원(雲谷書院), 현풍의 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사중 | 정구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정사중 처 성주 이씨 | 정구 | A는 B의 어머니이다 | A ekc:hasSon B |
이황 | 정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조식 | 정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성운 | 정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우옹 | 정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구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구 | 남명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구 | 정인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해군 역모사건 | 정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폐모론 | 정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폐모론 | 인목대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계축옥사 | 정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계축옥사 | 영창대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구 | 서경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구 | 서사원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구 | 송원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구 | 허목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구 | 황종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학봉 행장 | 정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학봉 행장 언해 | 학봉 행장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92년 |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구는 통천군수로 재직하면서 의병을 일으켰다 |
1608년 | 임해군 역모사건이 일어나자 정구는 관련자를 모두 용서하라는 소를 올렸다 |
1613년 |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정구는 영창대군을 구하려 하였다 |
1617년 | 폐모론이 일어나자 정구는 인목대비를 서인(庶人)으로 쫓아내지 말 것을 주장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정재훈,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 회고와 전망」, 『발행서』 25,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187-207쪽.
- 전재동·손진원, 「정구(鄭逑)의 저술(著述)·출판(出版) 활동(活動)과 무흘정사(武屹精舍) 장서각(藏書閣)의 장서(藏書) 경향(傾向)」, 『嶺南學』 60,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207-239쪽.
- 웹자원
- 고영진, "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영진, "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