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
  
=='''개요'''==
+
=='''정의'''==
고려 성종 12년(993년) 거란의 소손녕이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입하였을 때 거란 군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담판하는 서희.
+
고려 성종 12년(993년) [[거란]]의 [[소손녕]]이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입하였을 때 거란 군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담판하는 [[서희]]를 그린 [[이인영]]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993년 고려의 북진정책과 친송외교에 불안을 느낀 거란은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으로 하여금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항복하자는 견해와 서경(西京 : 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할지론(割地論)이 우세하였으나 서희는 할지론을 반대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소손녕]]은 [[안융진]](安戎鎭 : 평남 안주일대)을 공격하다가 고려군에 패해 고려의 사신과 면대하기를 청해왔으므로 여기에 응하게 되었다. 그 결과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귀주(歸州)·흥화진(興化鎭) 등에 [[강동6주]](江東六州)의 기초가 되는 성을 쌓고 고려의 영토를 압록강까지 넓히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1 서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2월 22일.</ref><br/>
+
993년 고려의 북진정책과 친송외교에 불안을 느낀 거란은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으로 하여금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항복하자는 견해와 서경(西京 : 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할지론(割地論)이 우세하였으나 [[서희]]는 할지론을 반대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소손녕]]은 [[안융진]](安戎鎭 : 평남 안주일대)을 공격하다가 고려군에 패해 고려의 사신과 면대하기를 청해왔으므로 여기에 응하게 되었다. 그 결과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귀주(歸州)·흥화진(興化鎭)등에 [[강동6주]](江東六州)의 기초가 되는 성을 쌓고 고려의 영토를 압록강까지 넓히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1 서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작품 구도===
 
===작품 구도===
거란 진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대등한 예로서 회견의 절차를 밟아 담판을 하고 있는 [[서희]] 앞에는 한 장의 지도가 놓여 있고, 거란 장수 [[소손녕]]은 호피가 덮여진 의자에 위압적인 자세로 앉아 회담에 임하고 있다. 그 주위를 포범 가죽위에 갑옷을 입고 무장을 한 거란군 장수들이 에워싸고 회담장 밖에도 거란군의 막사가 보이고 무장한 군사들이 대기하고 있다. 문신 복장으로 침착하게 [[소손녕]]을 설득하고 있는 서희의 당당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
거란 진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대등한 예로서 회견의 절차를 밟아 담판을 하고 있는 [[서희]]. 두 사람 앞에는 한 장의 지도가 놓여 있고 거란 장수 [[소손녕]]은 호피가 덮여진 의자에 위압적인 자세로 앉아 회담에 임하고 있다. 그 주위를 포범 가죽위에 갑옷을 입고 무장을 한 거란군 장수들이 에워싸고 회담장 밖에도 거란군의 막사에 무장한 군사들이 대기하고 있다. 문신 복장으로 침착하게 [[소손녕]]을 설득하고 있는 [[서희]]의 당당한 모습이 돋보인다.
 
<br/>
 
<br/>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1번째 줄: 31번째 줄:
 
rect 478 121 632 383 [[소손녕]]  
 
rect 478 121 632 383 [[소손녕]]  
 
</imagemap>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스케치 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스케치 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html>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안융진담판.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html>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gallery>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이인영]]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이인영]]  || {{PAGENAME}} || A은 B를 그렸다 || 1976년
 
|-
 
|-
 
|{{PAGENAME}}  ||[[서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942년-998년
 
|{{PAGENAME}}  ||[[서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942년-998년
 
|-
 
|-
|{{PAGENAME}}  ||[[소손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PAGENAME}}  ||[[소손녕]]|| A는 B을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안융진]]|| A는 B을 배경으로 한다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6년 || [[이인영]]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1976년 || [[이인영]]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1979년 || [[한국방송공사]]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1979년 || [[한국방송공사]]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PAGENAME}}를 임대하였다.
+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1998년- || [[전쟁기념관]]{{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26603 || 126.915617 ||{{PAGENAME}}이 [[한국방송공사]]에 대여되었다.
+
| 37.526603 || 126.915617 || [[한국방송공사]]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35.425372 || 126.824168 ||{{PAGENAME}}이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에 대여되었다.
+
| 35.425372 || 126.824168 ||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37.537190 || 126.977113 ||{{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37.537190 || 126.977113 || [[전쟁기념관]]은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gallery>
  
=='''그래프'''==
+
=='''시각자료'''==
<html>
+
===가상현실===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안융진담판.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갤러리===
  
=='''참고문헌'''==
+
===영상===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23-27쪽.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qh6UvOKuUO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담판<ref>EBS 5분사탐 한국사, ''Youtube'', 작성일: 2014년 06월 12일</ref>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군사]][[분류:고려]]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군사]][[분류:고려]]

2017년 7월 2일 (일) 20:28 판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
작가 이인영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고려 성종 12년(993년) 거란소손녕이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입하였을 때 거란 군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담판하는 서희를 그린 이인영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993년 고려의 북진정책과 친송외교에 불안을 느낀 거란은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으로 하여금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항복하자는 견해와 서경(西京 : 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할지론(割地論)이 우세하였으나 서희는 할지론을 반대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소손녕안융진(安戎鎭 : 평남 안주일대)을 공격하다가 고려군에 패해 고려의 사신과 면대하기를 청해왔으므로 여기에 응하게 되었다. 그 결과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귀주(歸州)·흥화진(興化鎭)등에 강동6주(江東六州)의 기초가 되는 성을 쌓고 고려의 영토를 압록강까지 넓히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1]

작품 구도

거란 진영에 들어가 소손녕과 대등한 예로서 회견의 절차를 밟아 담판을 하고 있는 서희. 두 사람 앞에는 한 장의 지도가 놓여 있고 거란 장수 소손녕은 호피가 덮여진 의자에 위압적인 자세로 앉아 회담에 임하고 있다. 그 주위를 포범 가죽위에 갑옷을 입고 무장을 한 거란군 장수들이 에워싸고 회담장 밖에도 거란군의 막사에 무장한 군사들이 대기하고 있다. 문신 복장으로 침착하게 소손녕을 설득하고 있는 서희의 당당한 모습이 돋보인다.

그림 읽기

서희소손녕이인영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담판[4]

주석

  1. "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족기록화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EBS 5분사탐 한국사, Youtube, 작성일: 2014년 06월 1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