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승탑=
 
|승탑=
 
|비문=[[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문]]
 
|비문=[[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문]]
|필드수=13
 
 
}}
 
}}
 +
 
=='''정의'''==
 
=='''정의'''==
강원도 양양군 선림원지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승 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 814-880)의 탑비.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양양 선림원지|선림원지(禪林院址)]]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홍각선사(弘覺禪師, 814-880)]][[탑비]].
  
=='''탑비'''==
+
=='''내용'''==
보물 제446호. 귀부 높이 73㎝, 이수 높이 53.5㎝. 비신은 전하지 않으며 파편 1개가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보관되어 있다. 이수의 장식적인 운룡문이나 용두화한 귀두(龜頭) 및 비좌(碑座)의 안상(眼象) 등이 통일신라 말기 석비 양식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襄陽禪林院址弘覺禪師塔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홍각선사(弘覺禪師)]]를 기리기 위한 탑비로 886년([[신라 정강왕|정강왕]] 원년)에 세워졌다.<ref>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9#none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비문'''==
+
비문은 [[김원(신라)|김원(金薳)]]이 짓고, [[최경|최경(崔瓊)]]이 [제액|전액(篆額)]]을 썼으며, 승려 [[운철|운철(雲澈)]]이 [[왕희지|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승려 [[혜강|혜강(慧江)]]이 새겼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682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러나 조선 중기 이래로 왕희지체(王羲之體)를 숭상하는 풍조가 크게 일어나면서 이 탑비는 탁본의 수난을 겪게 되었고, 이를 견디다 못한 인근 백성들이 결국 비석을 파괴하여 묻어버렸던 것으로 보인다.<ref>최완수, "[http://shindonga.donga.com/3/all/13/101253/1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ref> 이후 비신이 깨져 방치되어 있던 것을 1747년 수습하여 양양부(襄陽府) 창고에 보관해왔으며, 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이 비의 오른쪽 상단 부분의 비편(碑片)을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진열해놓았다가 국립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현재 이 비편은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52cm, 세로 57cm, 두께 19.7cm 정도이다. 또 다른 비편의 일부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f>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9#none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갤러리'''==
+
[[양양 선림원지|선림원지(禪林院址)]]에 남아있던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는 1966년 보물 제4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에 비신을 새로 복원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460000,32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관련항목'''==
+
<ref>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9#none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
===비문===
 +
비문은 [제액|전액(篆額)]], 제목, 비문 찬술자, [[홍각선사|홍각선사(弘覺禪師)]]의 성품과 출가 후의 행적, 입적 내용, 선사의 입적 후 비석 건립 및 비문 찬술 경위, 비명(碑名), 건립시기, 관련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f>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9#none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
=='''지식관계망'''==
 +
"그래프 삽입"
 +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홍각선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양양 선림원지]] || A는 B에 있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김원(신라)|김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최경]]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운철]]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혜강]]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왕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가상현실===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주석'''==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갤러리===
  
==자료 수집중==
+
===영상===
선림원터 홍각선사탑비의 비문글씨(도판 5)는 운철(雲徹)이라는 승려가 왕희지(王羲之, 321∼379년)의 글씨를 집자해 썼다. 그런데 왕희지체가 유행하던 불국시대에 집자된 나 에 비해 글씨 크기도 작고 각법(刻法; 새기는 솜씨)도 졸렬하여 그 품격이 크게 떨어진다. 선종이념을 기반으로 새 사회를 건설하려는 기운이 싹트는 상황에서 보수적인 서체를 그대로 고수하려 하니 이와 같은 노쇠현상이 일어났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왕조 중기 이래로 왕희지체를 숭상하는 풍조가 크게 일어나면서 이 왕희지체 집자비는 그 품격 여하를 떠나 왕희지체 집자비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탁본의 수난을 겪게 되고 이를 견디다 못한 인근 백성들이 결국 비석을 파괴하여 묻어버렸던 듯하다. 이후 그중 한쪽이 영조 51년(1778)에 발견되어 양양군 관아로 옮겨졌다가 1914년 일제에 의해 경복궁으로 옮겨져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보존되고 있다. <ref>최완수, "[http://shindonga.donga.com/3/all/13/101253/1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ref>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8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9#none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최완수, "[http://shindonga.donga.com/3/all/13/101253/1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460000,32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682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작성중]]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2017년 6월 26일 (월) 16:24 판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Master Honggak at Seollimwon Temple Site, Yangyang
한자 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주소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 산89번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446호
문화재 지정일 1966년 09월 21일
찬자 김원(金薳)
서자 운철(雲徹)
각자 최경(崔瓊), 혜강(慧江)
승려 이관(利觀)
건립연대 886년



정의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禪林院址)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弘覺禪師, 814-880)탑비.

내용

개요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弘覺禪師)를 기리기 위한 탑비로 886년(정강왕 원년)에 세워졌다.[1]

비문은 김원(金薳)이 짓고, 최경(崔瓊)이 [제액|전액(篆額)]]을 썼으며, 승려 운철(雲澈)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승려 혜강(慧江)이 새겼다.[2] 그러나 조선 중기 이래로 왕희지체(王羲之體)를 숭상하는 풍조가 크게 일어나면서 이 탑비는 탁본의 수난을 겪게 되었고, 이를 견디다 못한 인근 백성들이 결국 비석을 파괴하여 묻어버렸던 것으로 보인다.[3] 이후 비신이 깨져 방치되어 있던 것을 1747년 수습하여 양양부(襄陽府) 창고에 보관해왔으며, 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이 비의 오른쪽 상단 부분의 비편(碑片)을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진열해놓았다가 국립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현재 이 비편은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52cm, 세로 57cm, 두께 19.7cm 정도이다. 또 다른 비편의 일부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

선림원지(禪林院址)에 남아있던 귀부(龜趺)이수(螭首)는 1966년 보물 제4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에 비신을 새로 복원하였다.[5]

[6]

비문

비문은 [제액|전액(篆額)]], 제목, 비문 찬술자, 홍각선사(弘覺禪師)의 성품과 출가 후의 행적, 입적 내용, 선사의 입적 후 비석 건립 및 비문 찬술 경위, 비명(碑名), 건립시기, 관련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홍각선사 A는 B를 위한 비이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A는 B에 있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김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최경 A는 B가 비문을 썼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운철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혜강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왕희지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2.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완수,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
  4.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5.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7.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