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선경직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7번째 줄: 17번째 줄: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선경직물은 SK그룹의 모태로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10월 폐허가 된 수원시 평동의 자그마한 직물회사로 시작하였다. 고 최종건 회장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선경직물 공장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직원들과 함께 돌과 자갈을 직접 나르고 공장 내 고철을 팔아 첫 생산을 시작하였다. 1955년 인조견 생산으로 부통령상을 수상, 1962년 4월 국내 직물업계 최초로 홍콩에 인조견 10만 마 수출을 시작으로, 1962년 일년 동안 선경직물은 46,000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린다. 1968년 아세테이트 원사공장 준공, 1969년 폴레에스터 원사공장 준공으로 대한민국 원사 생산 48톤 중 선경직물의 생산량은 26%를 담당하게 된다. <ref>[http://blog.skenergy.com/822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2017년2월22일 확인]</ref><br/>
+
[[선경직물]]은 [[SK그룹]]의 모태로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10월 폐허가 된 수원시 평동의 자그마한 직물회사로 시작하였다. 고 [[최종건]] 회장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선경직물]] 공장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직원들과 함께 돌과 자갈을 직접 나르고 공장내 고철을 팔아 첫 생산을 시작하였다. 1955년 인조견 생산으로 부통령상을 수상, 1962년 4월 국내 직물업계 최초로 홍콩에 인조견 10만 마 수출을 시작으로, 1962년 일년 동안 선경직물은 46,000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린다. 1968년 아세테이트 원사공장 준공, 1969년 폴레에스터 원사공장 준공으로 대한민국 원사 생산 48톤 중 선경직물의 생산량은 26%를 담당하게 된다. <ref>SK에너지, "[http://blog.skenergy.com/822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f><br/>
선경직물 수원공장은 1970년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을 대표한 곳으로 1972년 11월 북한 적십자 대표단이 이곳을 시찰하기도 하였다.<ref>[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20090700&mediadtl=35289&gbn=DK&quality=M e-영상 역사관, 북한 적십자 대표단 선경 직물 시찰]</ref>
+
 
 +
===작품 배경===
 +
선경직물 수원 평동공장은 1970년대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을 대표하는 곳으로 1972년 11월 23일 북한적십자대표단이 이곳을 시찰하기도 하였다.<ref>대한뉴스_KC 제 907호,
 +
"[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20090700&mediadtl=35289&gbn=DK&quality=M 북한 적십자 대표단 선경 직물 시찰]" (제작일 : 1972.11.25),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 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br/>
 
<br/>
  
28번째 줄: 31번째 줄:
 
rect 217 281 358 415 [[선경모직]]
 
rect 217 281 358 415 [[선경모직]]
 
</imagemap>
 
</imagemap>
 +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58번째 줄: 62번째 줄:
 
|-
 
|-
 
|[[박창돈]]  || {{PAGENAME}} || A은 B을 그렸다 || 1975년
 
|[[박창돈]]  || {{PAGENAME}} || A은 B을 그렸다 || 1975년
 +
|-
 +
|{{PAGENAME}} || [[섬유산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 [[선경직물]]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최종건]] || [[선경직물]] || A은 B을 설립하였다. ||
 +
|-
 +
|[[선경직물]] || [[인조견]] || A은 B을 생산하였다. ||
 +
|-
 +
|[[선경직물]] || [[SK네트웤스]] || A는 B의 전신이다.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박창돈]]이 {{PAGENAME}}을 제작하였다.
 +
|-
 +
|1979년 || [[어린이회관]]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36.163451 || 127.767747 || [[어린이회관]]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어린이회관||소장처|| 1979년
+
|37.260252 || 126.992927 || [[SK수원직물공장]]은 수원시 권선구 평동에 위치한다.
 
|}
 
|}
  

2017년 4월 24일 (월) 17:43 판


선경(모직)
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작가 박창돈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선경직물 수원 평동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원사를 직조하는 광경.

설명

작품 소재

선경직물은 현 SK그룹의 모태로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10월 폐허가 된 수원시 평동의 자그마한 직물회사로 시작하였다. 고 최종건 회장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선경직물 공장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직원들과 함께 돌과 자갈을 직접 나르고 공장내 고철을 팔아 첫 생산을 시작하였다. 1955년 인조견 생산으로 부통령상을 수상, 1962년 4월 국내 직물업계 최초로 홍콩에 인조견 10만 마 수출을 시작으로, 1962년 일년 동안 선경직물은 46,000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린다. 1968년 아세테이트 원사공장 준공, 1969년 폴레에스터 원사공장 준공으로 대한민국 원사 생산 48톤 중 선경직물의 생산량은 26%를 담당하게 된다. [1]

작품 배경

선경직물 수원 평동공장은 1970년대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을 대표하는 곳으로 1972년 11월 23일 북한적십자대표단이 이곳을 시찰하기도 하였다.[2]

시각적 안내

선경모직박창돈 「선경모직」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 박창돈-선경직물 A은 B을 그렸다 1975년
박창돈-선경직물 섬유산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창돈-선경직물 선경직물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최종건 선경직물 A은 B을 설립하였다.
선경직물 인조견 A은 B을 생산하였다.
선경직물 SK네트웤스 A는 B의 전신이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창돈이 박창돈-선경직물을 제작하였다.
1979년 어린이회관이 박창돈-선경직물을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63451 127.767747 어린이회관가 박창돈-선경직물를 대여하였다.
37.260252 126.992927 SK수원직물공장은 수원시 권선구 평동에 위치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주석

  1.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
  2. 대한뉴스_KC 제 907호, "북한 적십자 대표단 선경 직물 시찰" (제작일 : 1972.11.25), 『e-영상 역사관』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