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4번째 줄: 14번째 줄:
 
[[조선]] [[선조]] 25년(1592) [[휴정|서산대사 휴정(休靜)]]이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승군을 지휘하여 [[평양성]]을 향해 진격하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2월 04일.</ref>이다.
 
[[조선]] [[선조]] 25년(1592) [[휴정|서산대사 휴정(休靜)]]이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승군을 지휘하여 [[평양성]]을 향해 진격하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2월 04일.</ref>이다.
  
=='''내용'''==
+
=='''설명'''==
 
+
===작품 소재===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는 [[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는 [[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라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이 작품 왼쪽에서 의승(義僧) 5천명을 인솔하고 있는 [[휴정]]의 모습이 보인다. 작품 오른쪽 상단에 [[평양성]]이 작게 그려져 있다.
+
라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이 작품 왼쪽에서 의승(義僧) 5천명을 인솔하고 있는 [[휴정]]의 모습이 보인다.  
 +
 
 +
===작품 배경===
 +
작품 오른쪽 상단에 [[평양성]]이 작게 그려져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gallery>
  
=='''추출정보'''==
+
=='''관련항목'''==
===작품정보 연결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박광진]]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html>
+
|-
 
+
|{{PAGENAME}}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PAGENAME}}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전쟁기념관]]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현재
 +
|-
 +
|[[세종문화회관]]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
 +
| [[임경업]] || [[백마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633년
 +
|-
 +
| [[강감찬]] || [[백마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014년-1017년
 +
|-
 +
| [[백마산성]] || [[우마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임경업]] || [[이괄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624년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박광진]]  
+
| [[임경업]] || [[정묘호란]]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627년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
|[[임경업]] || [[인조]] || A는 B의 신하이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휴정]]
+
| [[인조]] ||[[남한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636년
 
|-
 
|-
|{{PAGENAME}} || ~를 배경으로 한다 ||[[평양전투]]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1976년 || [[박광진]]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세종문화회관]]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
|1014년-1017년 || [[강감찬]]이 [[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
|-
 +
|1624년 || [[임경업]]이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
 +
|-
 +
|1627년 || [[임경업]]이 [[정묘호란]]에 참가하였다  @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633년 || [[임경업]]이 [[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
 
|-
|{{PAGENAME}}||[[세종문화회관]] 대여기간 || 1991.01.12 ~ 1992.01.11
+
|1636년 || [[임경업]]이 [[병자호란]]에 참가하였다  @
 
|-
 
|-
|{{PAGENAME}}||[[전쟁기념관]] 작품 이전|| 1998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세종문화회관]] ||37.572729 || 126.975621
+
|37.572729 || 126.975621||{{PAGENAME}}[[세종문화회관]]에 대여되었다.
 +
|-
 +
|37.532103|| 126.914133||{{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PAGENAME}} ||소장처|| [[전쟁기념관]] || 37.5369559 || 126.9749353
 
 
|}
 
|}
 +
 +
=='''그래프'''==
  
 
=='''참고문헌'''==
 
=='''참고문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365 임경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6일 확인)
 
*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6일 확인)
  

2017년 4월 12일 (수) 02:59 판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작가 박광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조선 선조 25년(1592) 서산대사 휴정(休靜)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승군을 지휘하여 평양성을 향해 진격하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1]이다.

설명

작품 소재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라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이 작품 왼쪽에서 의승(義僧) 5천명을 인솔하고 있는 휴정의 모습이 보인다.

작품 배경

작품 오른쪽 상단에 평양성이 작게 그려져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광진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A는 B를 그렸다 1976년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기념관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현재
세종문화회관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임경업 백마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1633년
강감찬 백마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1014년-1017년
백마산성 우마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임경업 이괄의 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1624년
임경업 정묘호란 A는 B에 참가하였다 1627년
임경업 인조 A는 B의 신하이다
인조 남한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1636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광진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세종문화회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1014년-1017년 강감찬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1624년 임경업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
1627년 임경업정묘호란에 참가하였다 @
1633년 임경업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1636년 임경업병자호란에 참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2729 126.975621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이 세종문화회관에 대여되었다.
37.532103 126.914133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2월 0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