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용환-삼도물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
=='''정의'''==
 +
[[삼도물산]] 직물공장에서 숙련공들이 자켓, 바지 등 봉제품을 만드는 광경<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35쪽.</ref>을 담은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숙련공들이 자켓, 바지 등 봉제품을 만드는 광경<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35쪽.</ref>(경남`울주)
+
===작품 소재===
 +
해당 작품의 소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에 위치했던 [[삼도물산]] 직물공장이다. [[삼도물산]]은 섬유최종제품의 제조 및 수출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체로 1960년에 설립되었다. 창업 초기부터 봉제품 보세가공수출의 길을 개척하여 의류수출의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9955&cid=43167&categoryId=43167 삼도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국내 최초로 의류를 수출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 레저용품·미술품 및 잡화제품 제조·판매업, 해산물 판매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다.<ref>김상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523 삼도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00년 ()에스비파이낸스코리아가 인수하였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삼도물산]] 직물공장이 위치하였던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이다. 현재 직물공장 부지에는 42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건립되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523
+
===그림 읽기===
1960년에 설립된, 섬유최종제품의 제조 및 수출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내용]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창업 초기부터 봉제품 보세가공수출의 길을 개척하여 의류수출의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세확장에 따라 1966년과 1971년 수영공장과 언양공장을 각각 건립하고, 1974년 지퍼사업에도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1976년 경주공장을 신설하고 기업을 공개함과 동시에 카스테레오를 생산하는 삼도전자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1977년 메리야스 전문업체 대신통상(주)을 인수하였고, 지퍼공장을 2배 증설하였으며, 삼도종합개발(주)을 설립하였다. 1978년삼도종합건설(주)을 설립하고, 1979년에는 삼도종합건설을 삼도종합개발에 흡수, 합병하였다. 1980년 (주)서우를 인수하고, 1983년에는 삼양섬유(주)·대흥섬유(주)·동도의류(주)를 삼도물산에 흡수, 합병하고 미국 Engushtown Sportswear Ltd.사로부터 Sergio Valente 기술을 도입하였다. 1987년 자동차부품 Lamp업체인 (주)새론볼을 인수하여 (주)삼도전기로 상호변경하였다. 1987년삼도건설(주) 주식을 처분하고 (주)동해터미날을 인수하였다. 1989년 인도네시아에 P.T Samdonesia를 설립하고, 1990년 스리랑카에 Cosmo Macky Ind를 설립하였다. 1992년 (주)서우를 (주)삼도어패럴로 상호를 변경하고, 시카고 지사를 폐쇄하였다. 1995년 2월 27일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12월 12일 회사정리 개시가 결정되었다.
+
<imagemap>
1996년 9월말 현재 주요사업은 각종 섬유제조·판매업, 국내외 무역업, 위탁판매 및 대리, 지퍼제조·판매 등이다. 관계회사로는 삼도그룹이 있다. 법정관리로 인해 현재 자세한 통계는 알 수 없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다.
+
파일:이용환-삼도물산-1975s.jpg|이용환 「삼도물산」 1975|800px|center
 +
</imagemap>
  
=='''시각적 안내'''==
+
=='''지식 관계망'''==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83/C083.htm "삼도물산(이용환)" 지식관계망]'''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html>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83/C08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용환-삼도물산]] || [[이용환]]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용환-삼도물산]] ||[[삼도물산]]||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1975년 || [[이용환]]이 [[이용환-삼도물산]]을 그렸다
 +
|-
 +
| 1960년 || [[삼도물산]]이 설립되었다
 +
|-
 +
|  1960년-1995년 || [[삼도물산]] 직물공장이 [[울산광역시]]에 위치했다
 +
|}
 +
 
 +
===공간정보===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광공업 소재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43번째 줄: 80번째 줄: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
파일:이용환-삼도물산-1975s.jpg|[[이용환-삼도물산]]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 |[[최영림-대동공업]]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 |[[최영림-대동공업]]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50번째 줄: 88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가상현실===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이용환]]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한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삼도물산]]
 
|}
 
  
=='''시간정보'''==
+
===갤러리===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PAGENAME}}|| [[어린이회관]] 대여연도 ||1979년
 
|}
 
  
=='''공간정보'''==
+
===영상===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Jackey Jin]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게시일: 2015년 6월 16일)'''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html>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zHd9HHRl3T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PAGENAME}} ||소장처|| [[어린이회관]] ||37.5380114 ||127.0820182
+
</html>
|}
 
 
 
=='''참고문헌'''==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광공업]]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9955&cid=43167&categoryId=43167 삼도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
#* 김상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523 삼도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0 기준 최신판


삼도물산
이용환-삼도물산-1975s.jpg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삼도물산 직물공장에서 숙련공들이 자켓, 바지 등 봉제품을 만드는 광경[1]을 담은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해당 작품의 소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에 위치했던 삼도물산 직물공장이다. 삼도물산은 섬유최종제품의 제조 및 수출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체로 1960년에 설립되었다. 창업 초기부터 봉제품 보세가공수출의 길을 개척하여 의류수출의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다.[2] 국내 최초로 의류를 수출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 레저용품·미술품 및 잡화제품 제조·판매업, 해산물 판매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다.[3] 2000년 (주)에스비파이낸스코리아가 인수하였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삼도물산 직물공장이 위치하였던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이다. 현재 직물공장 부지에는 42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건립되었다.

그림 읽기

이용환 「삼도물산」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용환-삼도물산 이용환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용환-삼도물산 삼도물산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이용환이용환-삼도물산을 그렸다
1960년 삼도물산이 설립되었다
1960년-1995년 삼도물산 직물공장이 울산광역시에 위치했다

공간정보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Jackey Jin]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게시일: 2015년 6월 16일)

주석

  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35쪽.
  2. "삼도물산", 『기업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3. 김상헌, "삼도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삼도물산", 『기업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 김상헌, "삼도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