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7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김지선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6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박광진]]
 
|작가= [[박광진]]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12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800px|center]]
+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 12월, [[휴정|서산대사 휴정]]이 [[4차 평양전투]]때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그린 [[박광진]]의 민족기록화이다.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조선]] [[선조]] 25년(1592) [[휴정|서산대사 휴정(休靜)]][[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승군을 지휘하여 [[평양성]]을 향해 진격하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e뮤지엄 온라인 서비스](2017년 2월 4일 확인)</ref>이다.<br/>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right|450px]]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직접 전쟁터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
{{Blockquote|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내가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1592년]] [[임진왜란]] 의주에서 선조께 뵙고 각지의 노약자로 하여금 기도케 하고 나머지 승려들을 데리고 적군을 몰아내겠다고 하여 8도 16종 도총섭(都摠攝)이 되었다. 의승(義僧) 5천을 모집하여 인솔하고 관군을 도와 공을 세우고 왕을 모시고.
+
그리하여 그는 제자인 [[유정|유정(惟政, 1520~1604)]]과 함께 의승(義僧)<ref>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봉기한 승병(僧兵)에서 유래함. 이들 승병들은 임진왜란 이후, 국가에 의해 상설화하여 의승군(義僧軍)으로 불리웠음.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의승군(義僧軍)과 전라좌수영 산하의 의승수군(義僧水軍)이 대표적이었음. -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58&cid=41826&categoryId=41826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천오백명을 인솔하고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성]]의 서북면을 포위하였다. 해당 작품은 '''①④ [[휴정]]'''이 [[4차 평양전투]]때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으로 피난하였다가 다시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 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휴정을 불렀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평양]]에 위치한 '''③ [[평양성|평양성(平壤城)]]'''으로, 작품 오른쪽 상단에 작게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노구를 무릅쓰고 달려온 휴정에게 선조는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고 하였다.
+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리고 곧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그는 문도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스스로 의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네이버 지식백과] 휴정 [休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imagemap>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박광진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976|800px|center
=='''관련 민족기록화'''==
+
poly 173 112 150 124 154 134 163 141 162 151 163 160 157 172 144 195 140 206 161 226 167 249 167 271 165 296 160 319 164 341 169 361 172 381 172 393 171 406 189 410 195 398 194 381 202 374 209 347 215 312 218 305 261 288 259 271 257 247 272 245 280 246 279 268 285 264 290 244 296 241 291 208 291 181 293 166 301 163 312 163 322 158 329 149 327 142 320 140 309 140 305 139 297 143 291 149 276 151 249 151 229 159 205 161 192 161 201 152 197 144 204 139 199 138 197 129 190 119 182 113 175 111 168 111 [[휴정]]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
circle 731 65 19 [[평양성]]  
<gallery>
+
</imagemap>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gallery>
  
=='''추출정보'''==
+
=='''지식 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박광진) 지식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박광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세종문화회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휴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유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유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휴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휴정]] ||  [[영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영규]]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박광진]]  
+
| [[조헌]] ||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
| [[영규]]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휴정]]
+
| [[조헌]]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평양성 전투]]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976년 || [[박광진]]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그렸다
 
|-
 
|-
|{{PAGENAME}}||[[세종문화회관]] 대여기간 || 1991.01.12 ~ 1992.01.11
+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세종문화회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
|-
 +
|1593년 2월 6일-9일 || [[휴정]]이 [[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
|{{PAGENAME}}||[[전쟁기념관]] 작품 이전|| 1998년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세종문화회관]] ||37.572729 || 126.975621
+
|37.572729 || 126.975621|| [[세종문화회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
 
|-
|{{PAGENAME}} ||소장처|| [[전쟁기념관]] || 37.5369559 || 126.9749353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
|-
 +
|39.042832 || 125.759015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은 [[평양성]]을 배경으로 한다
 
|}
 
|}
  
=='''참고문헌'''==
+
*'''임진왜란 승병 활동'''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html>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9&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7&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5/C025.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 center>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58&cid=41826&categoryId=41826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0 기준 최신판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작가 박광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592년(선조 25) 12월, 서산대사 휴정4차 평양전투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1]을 그린 박광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직접 전쟁터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Quote-left.png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내가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Quote-right.png
출처: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하여 그는 제자인 유정(惟政, 1520~1604)과 함께 의승(義僧)[2] 천오백명을 인솔하고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성의 서북면을 포위하였다. 해당 작품은 ①④ 휴정4차 평양전투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평양에 위치한 평양성(平壤城)으로, 작품 오른쪽 상단에 작게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휴정평양성박광진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박광진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세종문화회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휴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유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평양전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니시 유키나가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영규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광진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그렸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세종문화회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1593년 2월 6일-9일 휴정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2729 126.975621 세종문화회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39.042832 125.759015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평양성을 배경으로 한다
  • 임진왜란 승병 활동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봉기한 승병(僧兵)에서 유래함. 이들 승병들은 임진왜란 이후, 국가에 의해 상설화하여 의승군(義僧軍)으로 불리웠음.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의승군(義僧軍)과 전라좌수영 산하의 의승수군(義僧水軍)이 대표적이었음. -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목정배,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