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간정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5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조선]] [[선조]] 25년(1592) [[휴정|서산대사 휴정(休靜)]]이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승군을 지휘하여 [[평양성]]을 향해 진격하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2월 04일.</ref>이다.
+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 12월, [[휴정|서산대사 휴정]]이 [[4차 평양전투]]때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ref>"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그린 [[박광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는 [[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right|450px]]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는 [[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직접 전쟁터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라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작품 왼쪽에서 의승(義僧) 5천명을 인솔하고 있는 [[휴정]]의 모습이 보인다.  
+
{{Blockquote|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내가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그리하여 그는 제자인 [[유정|유정(惟政, 1520~1604)]]과 함께 의승(義僧)<ref>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봉기한 승병(僧兵)에서 유래함. 이들 승병들은 임진왜란 이후, 국가에 의해 상설화하여 의승군(義僧軍)으로 불리웠음.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의승군(義僧軍)과 전라좌수영 산하의 의승수군(義僧水軍)이 대표적이었음. -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58&cid=41826&categoryId=41826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천오백명을 인솔하고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성]]의 서북면을 포위하였다. 해당 작품은 '''①④ [[휴정]]'''이 [[4차 평양전투]]때 [[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평양]]에 위치한 [[평양성]]으로, 작품 오른쪽 상단에 작게 그려진 [[평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작품의 배경은 [[평양]]에 위치한 '''③ [[평양성|평양성(平壤城)]]'''으로, 작품 오른쪽 상단에 작게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1번째 줄: 34번째 줄:
 
circle 731 65 19 [[평양성]]  
 
circle 731 65 19 [[평양성]]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박광진) 지식관계망]'''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html>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html>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관계정보===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gallery>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박광진]]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박광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전쟁기념관]]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현재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세종문화회관]]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세종문화회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휴정]] || [[평양전투]] || A는 B를 지휘하였다    || 1593년 2월 6일-9일
+
| [[휴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휴정]] || [[이향견문록]] || A는 B에 언급된다  ||  
+
| [[유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임진왜란]] ||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유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휴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휴정]] || [[영규대사]] || A는 B의 스승이다  ||  
+
| [[휴정]] || [[영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휴정]] || [[정여립 모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영규]]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여립 모반사건]] || [[기축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헌]] ||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여립]] || [[정여립 모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영규]]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여립]] || [[기축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조헌]]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6년 || [[박광진]]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6년 || [[박광진]]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그렸다
 
|-
 
|-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세종문화회관]]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 [[세종문화회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
 
|-
|1593년 2월 6일-9일 || [[휴정]]이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1593년 2월 6일-9일 || [[휴정]]이 [[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572729 || 126.975621|| [[세종문화회관]]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37.572729 || 126.975621|| [[세종문화회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
 
|-
|39.042832 || 125.759015 || {{PAGENAME}}이 [[평양성]]을 배경으로 한다
+
|39.042832 || 125.759015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은 [[평양성]]을 배경으로 한다
 
|}
 
|}
  
=='''그래프'''==
+
*'''임진왜란 승병 활동'''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5/C025.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참고문헌'''==
+
=='''시각자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 center>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4&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58&cid=41826&categoryId=41826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0 기준 최신판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작가 박광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592년(선조 25) 12월, 서산대사 휴정4차 평양전투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1]을 그린 박광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한 선조휴정에게 나라를 구할 방법을 물었고, 휴정은 직접 전쟁터로 나가겠다고 하였다.

Quote-left.png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아가지 못할 승려는 절을 지키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내가 통솔하여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 Quote-right.png
출처: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하여 그는 제자인 유정(惟政, 1520~1604)과 함께 의승(義僧)[2] 천오백명을 인솔하고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성의 서북면을 포위하였다. 해당 작품은 ①④ 휴정4차 평양전투평양성을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해 진격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평양에 위치한 평양성(平壤城)으로, 작품 오른쪽 상단에 작게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휴정평양성박광진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박광진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휴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평양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세종문화회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휴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유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평양전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니시 유키나가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영규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광진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그렸다
1991년 1월 12일-1992년 1월 11일 세종문화회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1593년 2월 6일-9일 휴정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2729 126.975621 세종문화회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을 소장하고 있다
39.042832 125.759015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평양성을 배경으로 한다
  • 임진왜란 승병 활동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봉기한 승병(僧兵)에서 유래함. 이들 승병들은 임진왜란 이후, 국가에 의해 상설화하여 의승군(義僧軍)으로 불리웠음.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의승군(義僧軍)과 전라좌수영 산하의 의승수군(義僧水軍)이 대표적이었음. -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목정배,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의승",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