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용환-귀주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작품명= 이용환-귀주대첩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사진=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작품명= 이용환-귀주대첩
+
|작품명= 귀주대첩
 
|작가= [[이용환]]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
|소장처=[[전쟁기념관]]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800px|center]]
+
1019년(고려 현종 10)에 일어난 [[귀주대첩]]의 전투 광경을 그린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right|450px]]
 +
[[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고려]]를 공격하였다. 위 작품의 소재인 [[귀주대첩]](龜州大捷)은 [[소배압]](蕭排押)을 총 지휘관으로 한 거란의 3차 침입 당시에 벌어진 전투이다. 상원수(上元帥) '''⑤⑧ [[강감찬]]'''(姜邯贊, 948~1031)과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1021)이 이끄는 고려 군대는 10만 거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거란]]의 무력 지배 야욕을 꺾은 기록적인 승리였다.
 +
이 작품에는 단순하게 그려진 병졸과 군마들 사이로 '''⑤ 붉은 대장기'''가 휘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앙에는 흰 수염에 금빛 갑옷을 입은 '''⑤⑧ [[강감찬]]''' 장군이 눈에 띈다. 이 장면은 북쪽으로 달아나는 '''④ [[거란|거란군]]'''을 [[고려|고려군]]이 맹렬히 추격하는 장면으로, 남쪽으로부터 '''①②③ 휘몰아치는 풍우'''와 '''⑤⑥ 북쪽으로 나부끼는 깃발'''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아래를 보면 '''⑦ 대패한 적군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인 [[귀주]]는 [[발해|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으로 구주(龜州)라고도 한다. [[청천강]] 이북에서 [[압록강]] 입구까지의 강동지방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이다. 그 속현(屬縣)은 밝혀지지 않았다.
  
=='''관련 민족기록화'''==
+
===그림 읽기===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gallery>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imagemap>Image: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center|800px|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poly 462 264 472 261 493 303 487 325 491 355 531 365 567 398 547 440 523 482 507 484 500 475 519 457 491 423 425 409 387 405 396 428 372 453 355 451 363 392 395 385 387 350 407 332 403 302 363 301 363 289 403 280 419 272 439 321 452 316 456 298 444 279 433 261 428 253 435 243 443 253 459 276 463 264 [[강감찬]]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magemap>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추출정보'''==
+
=='''지식 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16/C016.htm "귀주대첩"(이용환) 지식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16/C01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용환-귀주대첩]] || [[이용환]]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용환-귀주대첩]]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이용환-귀주대첩]] || [[강감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이용환-귀주대첩]] || [[귀주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
| [[이용환-귀주대첩]] || [[귀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이용환-귀주대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조헌]]
+
|[[강감찬]] || [[소배압]]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를 소재로 삼다 ||[[금산전투]]
+
|[[강민첨]] || [[소배압]]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강감찬]] || [[귀주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강동6주]] || [[귀주]]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975년 || [[이용환]]이 [[이용환-귀주대첩]]을 그렸다.
 
|-
 
|-
|{{PAGENAME}}||[[감사원]] 대여기간 || 1991.10.20 ~ 1992.10.19
+
|1019년 || [[강감찬]]이 [[귀주]]에서 [[소배압]]과 대립하였다.
|-
 
|{{PAGENAME}}||[[전쟁기념관]] 이전 연도|| 1998년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PAGENAME}} ||소장처|| [[감사원]] ||37.587238|| 126.984968
 
 
|-
 
|-
|{{PAGENAME}} ||소장처|| [[전쟁기념관]] || 37.5369559 || 126.9749353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이용환-귀주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9&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7&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사진===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용환 귀주대첩 우표01.JPG| 민족기록화 '이용환-귀주대첩'으로 제작한 우표 <ref>영혼샘, "[http://blog.daum.net/heenaree/13532453 강감찬의 귀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ref>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전쟁]]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용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043 구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송기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232 귀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3:54 기준 최신판



귀주대첩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019년(고려 현종 10)에 일어난 귀주대첩의 전투 광경을 그린 이용환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고려를 공격하였다. 위 작품의 소재인 귀주대첩(龜州大捷)은 소배압(蕭排押)을 총 지휘관으로 한 거란의 3차 침입 당시에 벌어진 전투이다. 상원수(上元帥) ⑤⑧ 강감찬(姜邯贊, 948~1031)과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1021)이 이끄는 고려 군대는 10만 거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거란의 무력 지배 야욕을 꺾은 기록적인 승리였다. 이 작품에는 단순하게 그려진 병졸과 군마들 사이로 ⑤ 붉은 대장기가 휘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앙에는 흰 수염에 금빛 갑옷을 입은 ⑤⑧ 강감찬 장군이 눈에 띈다. 이 장면은 북쪽으로 달아나는 거란군고려군이 맹렬히 추격하는 장면으로, 남쪽으로부터 ①②③ 휘몰아치는 풍우⑤⑥ 북쪽으로 나부끼는 깃발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왼쪽 아래를 보면 ⑦ 대패한 적군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귀주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으로 구주(龜州)라고도 한다. 청천강 이북에서 압록강 입구까지의 강동지방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이다. 그 속현(屬縣)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림 읽기

강감찬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용환-귀주대첩 이용환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용환-귀주대첩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용환-귀주대첩 강감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용환-귀주대첩 귀주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용환-귀주대첩 귀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이용환-귀주대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강감찬 소배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강민첨 소배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강감찬 귀주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동6주 귀주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이용환이용환-귀주대첩을 그렸다.
1019년 강감찬귀주에서 소배압과 대립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용환-귀주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사진

영상

주석

  1. 영혼샘, "강감찬의 귀주대첩", 『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online,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용범, "구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송기호, "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