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유신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표준영정에 묘사된 김유신의 모습)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형태 : 초상화_인물명_유형명_하위구분명(지정 or 제작연도, 소장처, 작가 등).jpg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예1 : 초상화_강감찬_표준영정_1974.jpg
 
예2 : 초상화_고종_어진_국립중앙박물관.jpg
 
예3 : 초상화_지눌_진영_송광사.jpg
 
사진 크기 : 세로 기준 최소 500픽셀 이상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이미지=초상화 김유신 표준영정.pn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김유신_표준영정.jpg
 +
|사진출처= 이석미, "[http://www.sisa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65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영정 초본 展’]", <html><online style="color:purple">『시사이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8월 08일.
 
|대표명칭=김유신 표준영정
 
|대표명칭=김유신 표준영정
 
|한자명칭= 金庾信 標準影幀
 
|한자명칭= 金庾信 標準影幀
 
|영문명칭=  
 
|영문명칭=  
 
|작가=[[장우성]]
 
|작가=[[장우성]]
|제작시기=1976년
+
|제작시기=1972년
 +
|지정연도=1977년
 
|소장처=[[진천 길상사]]
 
|소장처=[[진천 길상사]]
 
|문화재지정사항=  
 
|문화재지정사항=  
19번째 줄: 16번째 줄:
 
}}
 
}}
 
=='''정의'''==
 
=='''정의'''==
신라의 명장 [[김유신|김유신(金庾信, 595-673년)]]의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국가표준영정]].
+
신라의 명장 [[김유신|김유신(金庾信, 595-673년)]]의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국가표준영정]]이다.
  
 
=='''내용'''==
 
=='''내용'''==
===김유신 표준영정 제작===
+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김유신 표준영정은 1972년 월전 [[장우성]]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김유신]]의 탄생지인 충북 [[진천 길상사]] 정화작업과 동시에 관련 영정 제작이 추진되었다. 현재 [[진천 길상사]] 홍무전에 모셔져 있다.<br/>
 
김유신 표준영정은 1972년 월전 [[장우성]]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김유신]]의 탄생지인 충북 [[진천 길상사]] 정화작업과 동시에 관련 영정 제작이 추진되었다. 현재 [[진천 길상사]] 홍무전에 모셔져 있다.<br/>
김유신 표준영정은 [[월전미술관]]에 초본이 남아 있어 제작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본은 작은 종이에 얼굴을 그린 후 다시 큰 종이에 옮겨 붙여 몸을 완성했으며, 얼굴과 갑옷 등 전체적인 모습을 연필로 그린후 얼굴을 제외한 갑주부분은 먹을 사용하여 다시 그렸다. 초본에는 흉부에 방울이 세 개 달려있으나, 실제 표준영정에는 없어 영정심의과정에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ref>
+
김유신 표준영정은 [[월전미술관]]에 초본이 남아 있어 제작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본은 작은 종이에 얼굴을 그린 후 다시 큰 종이에 옮겨 붙여 몸을 완성했으며, 얼굴과 갑옷 등 전체적인 모습을 연필로 그린후 얼굴을 제외한 갑주부분은 먹을 사용하여 다시 그렸다. 초본에는 흉부에 방울이 세 개 달려있으나, 실제 표준영정에는 없어 영정심의과정에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ref>"월전미술관에...알 수 있다."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ref><br/>
 +
[[장우성]]은 [[진천 길상사]] 외에 1976년에 [[경주 통일전]]에 김유신 영정을 제작했는데, [[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은 은 제관과 은제띠를 착용하고 홍포를 입은 전신 좌상으로, [[진천 길상사]]의 영정과 달리, 문관복장을 하고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8쪽.</ref>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초본.jpg|김유신 표준영정 초본<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통일전.jpg|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gallery>
  
===김유신의 외모에 대한 기록===
+
===문헌에 기록된 외모===
[[삼국유사|『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진평왕]] 17년에 칠요(七曜, 태양·달·수성·화성·목성·금성·토성)의 정기를 품고 태어났기 때문에 등에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ref>『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levelId=sy_001r_0020_0350_0010&types=r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br/>
+
[[삼국유사|『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유신]]은 [[신라 진평왕|진평왕]] 17년에 칠요(七曜, 태양·달·수성·화성·목성·금성·토성)의 정기를 품고 태어났기 때문에 등에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ref>『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levelId=sy_001r_0020_0350_0010&types=r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br/>
 
또한, [[화랑세기|『화랑세기』]]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 재임한 역대 풍월주 32명 중 15명의 외모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제15대 풍월주인 [[김유신]]의 외모에 대해서는 "태양과 같았다"고 묘사되어 있다.<ref>김종성,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1784&brdType=R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ref>
 
또한, [[화랑세기|『화랑세기』]]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 재임한 역대 풍월주 32명 중 15명의 외모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제15대 풍월주인 [[김유신]]의 외모에 대해서는 "태양과 같았다"고 묘사되어 있다.<ref>김종성,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1784&brdType=R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ref>
  
===표준영정에 묘사된 김유신의 모습===
+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김유신 영정은 전신 입상으로서 얼굴은 우안 7분면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왼손에 칼을 잡고 서 있다. 갑주의 하반신은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반신은 양쪽으로 뿔이 달린 투구와 갑주의 비늘 등의 모습이 [[김경승]]의 <[[김유신 동상]]>과 비슷하다.<br/>
 
김유신 영정은 전신 입상으로서 얼굴은 우안 7분면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왼손에 칼을 잡고 서 있다. 갑주의 하반신은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반신은 양쪽으로 뿔이 달린 투구와 갑주의 비늘 등의 모습이 [[김경승]]의 <[[김유신 동상]]>과 비슷하다.<br/>
 
[[김유신]]의 얼굴은 반백의 수염에 이마와 볼에 주름살이 그려져 있으며, 약간 아래로 내려온 눈에 꾹 다문 입술을 하고 있어 용맹스럽다기 보다는 온화하며 노년의 평온함을 가진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삼국통일이라는 성업을 완수한 직후인 60대의 모습으로 그리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ref><br/>
 
[[김유신]]의 얼굴은 반백의 수염에 이마와 볼에 주름살이 그려져 있으며, 약간 아래로 내려온 눈에 꾹 다문 입술을 하고 있어 용맹스럽다기 보다는 온화하며 노년의 평온함을 가진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삼국통일이라는 성업을 완수한 직후인 60대의 모습으로 그리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ref><br/>
 
[[장우성]] 화백이 김유신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명의 얼굴을 합성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
 
[[장우성]] 화백이 김유신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명의 얼굴을 합성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김유신 동상1.jpg|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김유신 동상2.jpg|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gallery>
  
 +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E015/E015.htm 김유신과 무열왕과 문무왕 그래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E015/E0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화랑도의 수련"(정창섭) 지식관계망]
  
http://chogabje.com/board/view.asp?C_IDX=12102&C_CC=BJ
 
장우성은 충북 길상사 외에 1976년에 경주 통일전에 <김유신 영정>(도 112)을 제작했다. 경주 통일전의 <김유신 영정>은무열왕, 문무왕과 함께 삼국통일을 기리는 경주 통일전 봉안을 위해 제작되었다. <김유신 영정>은 푸른색 비단 방석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으로 은 제관과 은제띠를 착용하고 홍포를 입은 채 공수자세를 하고 있다. 얼굴은 충북 길상사의 영정과 비슷하나 경주 통일전의 김유신의 모습이 눈매가 약간 올라가 있으며 입가와 눈가의 주름이 충북 길상사의 것보다 다소 젊어보인다.
 
<<<118
 
 
표준영정제도가 제정된 이래 70년대와 80년대 초까지 이순신, 강감찬, 을지문덕, 김유신 등 무인들이 다수 제작되었음에도 무구에 대한 고증은 작가에 일임되었다. 이 때문에 고증이 쉽지 않았다. 1986년 11월에는 영정동상심의위원으로 무구전문가를 추가하여 장군 등의 동상이나 영정을 제작할 때 무구에 대한 고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짧은 제작 기간에 인문학적 지식이 부족한 작가가 전적으로 고증을 했기 때문에 표준영정 및 동상에 고증 논란이 늘 뒤따랐으며 이중 무구, 갑옷 등에 논란이 많았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4쪽.</ref>
 
 
탈이데올로기 시대라 할 수 있는 최근까지 무인의 영정이 갑주를 착용한 모습으로 제작되고 있다는 것은 무인들도 관복을 입고 그려졌던 조선시대 초상화 전통과 비교해보면 흥미로운 점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것은 김은호의 <충무공 영정>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갑주를 착용한 무신상의 전통은 왕이나 사대부의 무덤 앞에 서 있는 석인상에서도 볼 수 있다.212)(도 108) 이들 영정에서 갑주와 투구 등은 주로 고구려 벽화나 출토유물을 토대로 제작되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6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유신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
| [[김유신 표준영정]] || [[표준영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
 
| [[김유신 표준영정]] || [[김유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
| [[김유신 표준영정]] || [[진천 길상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김유신 표준영정]] || [[김유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김유신 표준영정]] || [[장우성]] ||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 1972년
+
| [[김유신 표준영정]] || [[진천 길상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유신 표준영정]] || [[ ]] || A는 B에 의해 모작되었다 ||
+
| [[김유신 표준영정]] || [[장우성]]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김유신 표준영정]] ||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72번째 줄: 73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E002/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E00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김유신_표준영정.jpg|[[김유신 표준영정]]<ref>이석미, "[http://www.sisa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65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영정 초본 展’]", <html><online style="color:purple">『시사이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8월 08일.</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초본.jpg|김유신 표준영정 초본<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통일전.jpg|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김유신 동상1.jpg|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파일:초상화_김유신_표준영정_김유신 동상2.jpg|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ref>
 +
</gallery>
 +
 +
===영상===
 +
*'''20150704 흥무대왕 김유신장군 영정을 모신 사당(게시일: 2015년 8월 18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nl9RxikASu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80번째 줄: 101번째 줄:
 
# 기사
 
# 기사
 
#* 全敬雄, "[http://chogabje.com/board/view.asp?C_IDX=12102&C_CC=BJ 신라통일의 발자취를 따라(3) 吉祥祠], 『조갑제닷컴』, 2006년 02월 18일.
 
#* 全敬雄, "[http://chogabje.com/board/view.asp?C_IDX=12102&C_CC=BJ 신라통일의 발자취를 따라(3) 吉祥祠], 『조갑제닷컴』, 2006년 02월 18일.
 +
#* 김종성,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1784&brdType=R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
 +
# 논문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
# 웹 자원
 +
#* 『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levelId=sy_001r_0020_0350_0010&types=r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 강감찬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10 김유신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http://theme.archives.go.kr/next/gazette/viewGazetteDetail.do?gazetteEventId=0028065370&actionType=keyword 강감찬장군표준영정지정(문화공보부공고제226호)-관보제6785호(1974년6월26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관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
# "[http://theme.archives.go.kr/next/gazette/viewGazetteDetail.do?gazetteEventId=0028088734&actionType=keyword 김유신장군표준영정지정(문화공보부공고제314호)-관보제7607호(1977년3월25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관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96번째 줄: 121번째 줄: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표준영정]]
임금 어진의 경우, 기사 제목에 어진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고승 진영의 경우, 기사 제목에 진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공신 초상의 경우, 기사 제목에 도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현대에 제작된 표준영정의 경우, 기사 제목에 표준영정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기타 사항의 경우, 기사 제목에 초상이라는 명칭을
 

2024년 3월 14일 (목) 13:50 기준 최신판


김유신 표준영정
이석미,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영정 초본 展’", 『시사이천』online, 작성일: 2014년 08월 08일.
한자명칭 金庾信 標準影幀
작가 장우성
제작시기 1972년
지정연도 1977년
소장처 진천 길상사
유형 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 187×98㎝


정의

신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 595-673년)의 모습을 그린 국가표준영정이다.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김유신 표준영정은 1972년 월전 장우성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김유신의 탄생지인 충북 진천 길상사 정화작업과 동시에 관련 영정 제작이 추진되었다. 현재 진천 길상사 홍무전에 모셔져 있다.
김유신 표준영정은 월전미술관에 초본이 남아 있어 제작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본은 작은 종이에 얼굴을 그린 후 다시 큰 종이에 옮겨 붙여 몸을 완성했으며, 얼굴과 갑옷 등 전체적인 모습을 연필로 그린후 얼굴을 제외한 갑주부분은 먹을 사용하여 다시 그렸다. 초본에는 흉부에 방울이 세 개 달려있으나, 실제 표준영정에는 없어 영정심의과정에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1]
장우성진천 길상사 외에 1976년에 경주 통일전에 김유신 영정을 제작했는데, 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은 은 제관과 은제띠를 착용하고 홍포를 입은 전신 좌상으로, 진천 길상사의 영정과 달리, 문관복장을 하고 있다.[2]

문헌에 기록된 외모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유신진평왕 17년에 칠요(七曜, 태양·달·수성·화성·목성·금성·토성)의 정기를 품고 태어났기 때문에 등에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5]
또한, 『화랑세기』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 재임한 역대 풍월주 32명 중 15명의 외모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제15대 풍월주인 김유신의 외모에 대해서는 "태양과 같았다"고 묘사되어 있다.[6]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김유신 영정은 전신 입상으로서 얼굴은 우안 7분면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왼손에 칼을 잡고 서 있다. 갑주의 하반신은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반신은 양쪽으로 뿔이 달린 투구와 갑주의 비늘 등의 모습이 김경승의 <김유신 동상>과 비슷하다.
김유신의 얼굴은 반백의 수염에 이마와 볼에 주름살이 그려져 있으며, 약간 아래로 내려온 눈에 꾹 다문 입술을 하고 있어 용맹스럽다기 보다는 온화하며 노년의 평온함을 가진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삼국통일이라는 성업을 완수한 직후인 60대의 모습으로 그리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7]
장우성 화백이 김유신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명의 얼굴을 합성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유신 표준영정 표준영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김유신 표준영정 김유신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유신 표준영정 진천 길상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유신 표준영정 장우성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7년 김유신 표준영정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20150704 흥무대왕 김유신장군 영정을 모신 사당(게시일: 2015년 8월 18일)

주석

  1. "월전미술관에...알 수 있다."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2.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8쪽.
  3.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4.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5. 『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김종성,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
  7.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8.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9.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10. 이석미,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영정 초본 展’", 『시사이천』online, 작성일: 2014년 08월 08일.
  11.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12.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13.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14.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기사
  2. 논문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3. 웹 자원

유용한 정보

  1. "김유신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2. "김유신장군표준영정지정(문화공보부공고제314호)-관보제7607호(1977년3월25일)", 『관보』online, 국가기록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