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장보고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형태 : 초상화_인물명_유형명_하위구분명(지정 or 제작연도, 소장처, 작가 등).jpg 예1 : 초상화_강감찬_표준영정_1974.jpg 예2 : 초상화_고종_어...)
 
(유용한 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형태 : 초상화_인물명_유형명_하위구분명(지정 or 제작연도, 소장처, 작가 등).jpg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예1 : 초상화_강감찬_표준영정_1974.jpg
 
예2 : 초상화_고종_어진_국립중앙박물관.jpg
 
예3 : 초상화_지눌_진영_송광사.jpg
 
사진 크기 : 세로 기준 최소 500픽셀 이상
 
@ 표준영정 지정년도 1977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이미지=초상화 장보고 표준영정.pn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장보고_표준영정.jpg
|대표명칭=장보고 표준영정
+
|사진출처=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22 장보고]",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한자명칭= 金庾信 標準影幀
+
|대표명칭 =장보고 표준영정
 +
|한자명칭= 張保臯 標準影幀
 
|영문명칭=  
 
|영문명칭=  
|작가=[[장우성]]
+
|작가=[[이종상]]
|제작시기=1972년
+
|제작시기= 1979년
|소장처=[[진천 길상사]]
+
|지정연도= 1979년
 +
|소장처=[[국립현대미술관]]
 
|문화재지정사항=  
 
|문화재지정사항=  
 
|유형=[[표준영정]]
 
|유형=[[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 187×98㎝
+
|크기(세로×가로)= 116.5 x 91cm
 
|필드수=7
 
|필드수=7
 
}}
 
}}
 
=='''정의'''==
 
=='''정의'''==
고려의 명장 [[강감찬|강감찬(姜邯贊, 948-1031년)]]의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국가표준영정]].
+
신라의 명장 [[장보고|장보고(張保皐, 미상-846년)]]의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국가표준영정]].
  
 
=='''내용'''==
 
=='''내용'''==
===김유신 표준영정===
+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누가 그렸고(작가), 언제 그려졌으며(제작 시기), 어디서 보관하고 있고(소장 사항), 어떻게 그려졌으며 어떻게 전승되어 왔고(제작 맥락과 전승 내력), 현 시점에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훼손이나 보존처리 상태와 문화재로서의 가치 및 원본/이모본 여부)
+
장보고 표준영정은 1979년 일랑 [[이종상]]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비단에 채색된 가로 116.5cm, 세로 91cm의 규모 영정화이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보고]]의 경우, 참고로 할 수 있는 이전의 초상화나 외모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은 인물이기 때문에 [[이종상]] 작가의 상상력으로 그려졌다.<ref>"장보고의 경우...그려졌다." : "[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329 소장품-장보고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문헌에 기록된 외모===
 +
[[장보고]]의 얼굴 모습은 한중일마다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br/>
 +
====일본====
 +
교토 동쪽 시가현에 위치한 [[온조지|온조지(園城寺)]] [[신라선신당|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에 일본 국보로 지정된 '[[신라명신상|신라명신상(新羅明神像)]]'이 안치되어 있다.<br/>
 +
[[신라명신상]]은 높이 78cm의 노송나무 조각상으로 [[온조지]]의 수호신이다. 858년 당 유학을 마친 승려 [[엔친|엔친(圓珍)]]이 귀국할 때 배 안에 신라명신이 나타나 [[엔친]]의 호법신이 되어주겠다고 하였고, [[엔친]]은 그 모습을 명신상으로 조각하였다고 한다.<ref>"858년...조각하였다고 한다." : 이병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554 신라명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그러나 일각에서는 일본 귀국길에 동해에서 풍랑을 만난 [[엔친]]을 [[장보고]]가 도와주었고, 그 인연으로 [[엔친]]이 [[온조지]]에 [[신라선신당]]을 세우고, [[장보고]]의 생전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여 [[신라명신상]]을 만들었다고 보고있다. [[신라명신상]]으로 조각된 [[장보고]]의 얼굴 모습은 갑옷 차림이 아니며, 턱이 길고 콧수염과 턱수염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눈썹은 반달모양에 귀는 큰 편이며 입술은 두텁고 입은 크지 않게 조각되어 있다.<br/>
 +
====중국====
 +
중국 산둥성 룽청시 석도진(石島鎭) 북부의 적산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는 [[적산 법화원]]은 823년 [[장보고|장보고대사]]가 당나라에 머물던 시절에 세운 불교 사찰로, 경내에 위치한 장보고기념관에는 [[장보고|장보고대사]] 영정은 갑옷차림에 왼손에 칼을 들고 있다. 얼굴 모양과 턱은 일본 [[신라명신상]]과 같은 모습이다.<ref>"일본 귀국길에...모습이다." : 완도신문,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492 장보고대사 얼굴, "한·일·중 어떤 것이 맞나요?"]", 『완도신문』, 작성일: 2013년 05월 01일.</ref>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일본.jpg | 일본 온조지 신라명신상 정면<ref>배한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775072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ref>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일본측면.jpg | 일본 온조지 신라명신상 측면<ref>배한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775072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ref>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중국.jpg|법화원 장보고 초상화<ref>"[http://up3.co.kr/home/m8.php?mid=49&r=view&uid=152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유피트레킹여행사』<sup>online</sup></online></html>, (주)유피트레킹.</ref>
 +
</gallery>
  
 +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
장보고 영정은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있는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으로,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쪽.</ref>
  
현재 강감찬 표준영정은 서울 관악구 [[낙성대|낙성대(落星垈)]]에 있는 [[안국사|안국사(安國祠)]]에 모셔져 있다. 그리고 현재 모셔져 있는 영정은 1974년 월전 [[장우성]]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이 아니라 [[금광복]] 화가의 작품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1998년 [[낙성대]]에서 소장하고 있던 [[장우성]] 화백의 표준영정을 도난당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와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의 한겨레신문 기사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39/E039.htm 장보고 지식관계망]'''
관악구청쪽은 영정을 도둑맞은 뒤 1974년 낙성대 준공에 맞춰 이 영정을 그린 한국화가 월전 [[장우성]] 화백에게 부탁해 다시 그려줄 것을 요구했으나, 장 화백이 "나이가 들어 힘이 부친다"며 사양하자 다른 화가에게 부탁해 새로 영정을 그려 모셔 놓았다. 도둑맞은 영정은 높이 212cm, 너비 121cm 크기로, 이를 그린 [[장우성|장 화백]]이 서울대 미대 초대학장과 국전심사위원장을 지낸 대표적인 한국화가여서 상당히 값이 나가리라 미술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충남 [[현충사]]의 [[이순신]] 장군과 [[독립기념관]] [[유관순]] 열사의 영정도 [[장우성|장 화백]]의 작품이다.<ref>김태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2000289123001&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07-20&officeId=00028&pageNo=23&printNo=3249&publishType=00010# 장우성 화백의 강감찬 장군 영정 도난 모작 대체하고 '시치미'"], 『한겨레신문』, 1998년 07월 20일.</ref>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장군 영정을 도둑 맞은 때는 1998년 1월 11일 밤과 12일 새벽 사이로, 누군가 사당에 침입해 면도칼로 영정을 도려내 훔쳐간 것을 숙직을 끝낸 관리직원이 발견했다. 구청쪽은 곧바로 [[장우성|장 화백]]에게 영정을 다시 그려 달라고 요청했으나 나이를 이유로 거절하자, 화가 [[금광복]](40, 관악구 신림동)씨에게 160만원과 함께 영정 사진을 건네주며 그대로 그려 달라고 부탁해 새 영정을 마련했다. 금씨는 "그림을 다 그리고 표구점에 맡겼더니 구청쪽에서 나도 몰래 영정을 찾아갔다"며 "새로 영정을 모실 때에는 제(祭)로 예를 갖춰야 하는데도 지난 3월 그냥 걸어 놓았다"고 말했다. 주영근 관악구청 공원녹지과장은 "장 화백의 영정은 장군을 모시는 무속인이 훔쳐갔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해마다 음력 8월에 [[인헌제|인헌제(仁憲祭)]]를 하는데 두 번씩이나 경비를 지출할 필요가 없어 제를 지내지 않았다"고 해명했다.<ref>김태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2000289123001&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07-20&officeId=00028&pageNo=23&printNo=3249&publishType=00010# 장우성 화백의 강감찬 장군 영정 도난 모작 대체하고 '시치미'"], 『한겨레신문』, 1998년 07월 20일.</ref>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9/E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악경찰서는 "도난당한 영정이 월전 선생 작품이라는 말을 듣지 못해 무명 화가가 그린 것으로 알았다"며 "그때 작품 가치가 없다고 보고 수사를 종결했다"고 말했다.<ref>김태경,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2000289123001&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07-20&officeId=00028&pageNo=23&printNo=3249&publishType=00010# 장우성 화백의 강감찬 장군 영정 도난 모작 대체하고 '시치미'"], 『한겨레신문』, 1998년 07월 20일.</ref>
+
</html>
 
 
 
 
 
 
http://chogabje.com/board/view.asp?C_IDX=12102&C_CC=BJ
 
우리 대한민국에 김유신 장군을 모신 주요 사당이 열두 군데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진천에 있는 영정을 표준 영정이라고 해서 김유신 장군 영정을 그릴 때 여기 것을 기준으로 해서 그린다고 합니다. 영정은 1972년 월전 장우성 화백께서 그리셨는데 1976년도에 사적 정리사업을 하면서 이쪽으로 모셨습니다. 당시 300만원 정도의 사업비를 들였다고 하는데 지금 가치로는 약 3억 원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여기 사당의 위치는 네 번째 옮기면서 자리한 곳입니다. 당초에는 김유신 장군 탄생지인 상계리 뒷산인 길상산에 사당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거기에서 관리가 안돼 옮기고 옮기다가 이쪽으로 옮긴 것은 1926년입니다. 한 50년 후인 1976년, 사적지 정리사업을 함으로써 지금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유신 장군께서 태어나신 곳은 사적으로 지적된 곳입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동국여지승람과 같은 곳에서 김유신 장군의 탄생지에 대해서는 아주 정확하게 기록이 돼 있습니다. 그런데 그 부분이 왜 잘못 알려졌느냐 하면 지금 남아있는 고전 중에서 三國史記 列傳 제일 앞 부분에 써있는 글 때문입니다. 거기에 뭐라고 써 있느냐 하면 ‘김유신은 경주 사람이다’라고 기록돼 있기 때문에 잘못 알려지게 된 겁니다. 그러다보니까 김유신 장군께서 경주에서 태어났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김유신 장군께서는 사후 160년 후 흥덕왕 10년(835년)에 흥무대왕으로 追贈(추증)되셨습니다. 김유신 장군처럼 죽어서 왕으로 追贈된 신하는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고대 사회에서 왕은 神과 같은 존재로 백성하고 신은 분류됐기 때문에 추증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死後 160년 후에 追贈되신 겁니다.
 
 
 
 
 
===김유신의 외모에 대한 기록===
 
[[삼국유사|『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진평왕]] 17년에 칠요(七曜, 태양·달·수성·화성·목성·금성·토성)의 정기를 품고 태어났기 때문에 등에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ref>『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levelId=sy_001r_0020_0350_0010&types=r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br/>
 
또한, [[화랑세기|『화랑세기』]]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 재임한 역대 풍월주 32명 중 15명의 외모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제15대 풍월주인 [[김유신]]의 외모에 대해서는 "태양과 같았다"고 묘사되어 있다.<ref>김종성,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1784&brdType=R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ref>
 
 
 
===표준영정에 묘사된 김유신의 모습===
 
초상화에 묘사된 모습의 특징 : 학술논문에서 언급되는 초상화(진영, 어진, 공신 초상)의 기초 형식을 참고하여 작성자가 직접 서술하는 것 가능
 
 
 
 
 
충청북도 진천군(김유신이 태어난 만노군이 바로 오늘날의 진천군이다.)의 김유신 사당인 길상사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 역시 장우성 화백 작품. 이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여 명의 얼굴을 보고 이를 기준으로 그렸다고 한다. https://namu.wiki/w/%EA%B9%80%EC%9C%A0%EC%8B%A0#fn-1
 
 
 
김유신 장군의 影幀(영정)에 대해서도 재미있는 사연이 있습니다. 이 영정을 그릴 당시 김유신 장군의 원래 모습이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 후손들의 생긴 모습 중 특징 부분을 합성해서 그렸다고 합니다. 1972년에 그린 작품입니다.http://chogabje.com/board/view.asp?C_IDX=12102&C_CC=BJ
 
 
 
표준 영정은 김해김씨 50명의 얼굴을 인터넷으로 집자하듯이 그려서 제작했다고 들었습니다.
 
 
 
 
 
강감찬 영정은 전신 입상으로서 얼굴은 좌안 9분면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갑주를 착용하고 투구를 썼으며 허리에 찬 칼을 왼손으로 잡고 호피 위에 서 있다. 치켜 올라간 눈과 검은 구레나룻과 수염이 용맹과 위엄을 갖춘 무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장우성은 고려시대 노국대장공주 정릉의 왼쪽 무인상을 토대로 강감찬의 갑주와 투구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갑주의 경우,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ref>
 
 
 
 
 
 
 
 
 
표준영정제도가 제정된 이래 70년대와 80년대 초까지 이순신, 강감찬, 을지문덕, 김유신 등 무인들이 다수 제작되었음에도 무구에 대한 고증은 작가에 일임되었다. 이 때문에 고증이 쉽지 않았다. 1986년 11월에는 영정동상심의위원으로 무구전문가를 추가하여 장군 등의 동상이나 영정을 제작할 때 무구에 대한 고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짧은 제작 기간에 인문학적 지식이 부족한 작가가 전적으로 고증을 했기 때문에 표준영정 및 동상에 고증 논란이 늘 뒤따랐으며 이중 무구, 갑옷 등에 논란이 많았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4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
| [[장보고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강감찬]]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낙성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장보고 표준영정]] || [[장보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장우성]] ||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
+
| [[장보고 표준영정]] || [[국립현대미술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금광복]] || A는 B에 의해 모작되었다 ||
+
| [[장보고 표준영정]] || [[이종상]]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강감찬 표준영정(1974)]] || [[강감찬 표준영정 도난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90번째 줄: 65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974년 || [[강감찬 표준영정(1974)]]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 1979년 || [[이종상]]이 [[장보고 표준영정]]을 그렸다
 +
|-
 +
| 1979년 || [[장보고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장보고_표준영정.jpg | 장보고 표준영정<ref>"[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22 장보고]",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ref>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일본.jpg | 일본 온조지 신라명신상 정면<ref>배한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775072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ref>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일본측면.jpg | 일본 온조지 신라명신상 측면<ref>배한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775072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ref>
 +
파일:초상화_장보고_표준영정_중국.jpg|법화원 장보고 초상화<ref>"[http://up3.co.kr/home/m8.php?mid=49&r=view&uid=152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유피트레킹여행사』<sup>online</sup></online></html>, (주)유피트레킹.</ref>
 +
</gallery>
  
 
=='''주석'''==
 
=='''주석'''==
99번째 줄: 8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인용 및 참조===
*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 강감찬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 기사
* "[http://theme.archives.go.kr/next/gazette/viewGazetteDetail.do?gazetteEventId=0028065370&actionType=keyword 강감찬장군표준영정지정(문화공보부공고제226호)-관보제6785호(1974년6월26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관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
#* 완도신문,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492 장보고대사 얼굴, "한·일·중 어떤 것이 맞나요?"]", 『완도신문』, 작성일: 2013년 05월 01일.
 +
#* 배한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775072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
# 논문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
# 웹 자원
 +
#* "[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329 소장품-장보고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
 +
#* 이병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554 신라명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up3.co.kr/home/m8.php?mid=49&r=view&uid=152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유피트레킹여행사』<sup>online</sup></online></html>, (주)유피트레킹.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전시도록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
 
  
 +
===유용한 정보===
 +
# 배한철, "[http://premium.mk.co.kr/view.php?no=14185 日사찰의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6년 03월 30일.
  
임금 어진의 경우, 기사 제목에 어진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표준영정]]
고승 진영의 경우, 기사 제목에 진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공신 초상의 경우, 기사 제목에 도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현대에 제작된 표준영정의 경우, 기사 제목에 표준영정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기타 사항의 경우, 기사 제목에 초상이라는 명칭을
 

2018년 9월 6일 (목) 21:40 기준 최신판


장보고 표준영정
"장보고",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한자명칭 張保臯 標準影幀
작가 이종상
제작시기 1979년
지정연도 1979년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유형 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 116.5 x 91cm


정의

신라의 명장 장보고(張保皐, 미상-846년)의 모습을 그린 국가표준영정.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장보고 표준영정은 1979년 일랑 이종상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비단에 채색된 가로 116.5cm, 세로 91cm의 규모 영정화이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보고의 경우, 참고로 할 수 있는 이전의 초상화나 외모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은 인물이기 때문에 이종상 작가의 상상력으로 그려졌다.[1]

문헌에 기록된 외모

장보고의 얼굴 모습은 한중일마다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일본

교토 동쪽 시가현에 위치한 온조지(園城寺) 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에 일본 국보로 지정된 '신라명신상(新羅明神像)'이 안치되어 있다.
신라명신상은 높이 78cm의 노송나무 조각상으로 온조지의 수호신이다. 858년 당 유학을 마친 승려 엔친(圓珍)이 귀국할 때 배 안에 신라명신이 나타나 엔친의 호법신이 되어주겠다고 하였고, 엔친은 그 모습을 명신상으로 조각하였다고 한다.[2]
그러나 일각에서는 일본 귀국길에 동해에서 풍랑을 만난 엔친장보고가 도와주었고, 그 인연으로 엔친온조지신라선신당을 세우고, 장보고의 생전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여 신라명신상을 만들었다고 보고있다. 신라명신상으로 조각된 장보고의 얼굴 모습은 갑옷 차림이 아니며, 턱이 길고 콧수염과 턱수염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눈썹은 반달모양에 귀는 큰 편이며 입술은 두텁고 입은 크지 않게 조각되어 있다.

중국

중국 산둥성 룽청시 석도진(石島鎭) 북부의 적산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는 적산 법화원은 823년 장보고대사가 당나라에 머물던 시절에 세운 불교 사찰로, 경내에 위치한 장보고기념관에는 장보고대사 영정은 갑옷차림에 왼손에 칼을 들고 있다. 얼굴 모양과 턱은 일본 신라명신상과 같은 모습이다.[3]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장보고 영정은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있는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으로,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보고 표준영정 표준영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장보고 표준영정 장보고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장보고 표준영정 국립현대미술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장보고 표준영정 이종상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이종상장보고 표준영정을 그렸다
1979년 장보고 표준영정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장보고의 경우...그려졌다." : "소장품-장보고 표준영정",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858년...조각하였다고 한다." : 이병로, "신라명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일본 귀국길에...모습이다." : 완도신문, "장보고대사 얼굴, "한·일·중 어떤 것이 맞나요?"", 『완도신문』, 작성일: 2013년 05월 01일.
  4.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5.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6.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유피트레킹여행사』online, (주)유피트레킹.
  7.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쪽.
  8. "장보고",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9.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10.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11.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유피트레킹여행사』online, (주)유피트레킹.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기사
  2. 논문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3. 웹 자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유용한 정보

  1. 배한철, "日사찰의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매경프리미엄』, 작성일: 2016년 03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