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영규대사.jpg|400px
+
|사진= 민족기록화_인물_영규_영정.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243 영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영규
 
|대표명칭= 영규
 
|한자표기= 靈圭
 
|한자표기= 靈圭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승려이자 승병장.
+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싸우다 전사한 조선시대 승려이다.
  
=='''설명'''==
+
=='''내용'''==
===생애===
+
===가계와 탄생===
영규의 출가 전 속성(俗姓)은 [[밀양_박씨]]로 전해진다. 공주시 유평리에서 태어났으며, 집안 형편이 어려워 [[공주 갑사]]에서 [[불목하니]]를 하였다고 전해진다.<ref>"공주 갑사에서.....전해진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777&cid=50223&categoryId=51051 영규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출가한 뒤 [[휴정]]의 제자가 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이에 대한 연유는 확실하지 않다.<br/>
+
영규의 출가 전 속성(俗姓)은 [[밀양 박씨]]로 전해진다. 공주시 유평리에서 태어났으며, 집안 형편이 어려워 [[공주 갑사]]에서 [[불목하니]]<ref>절에서 밥을 짓고 물을 긷는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ref>를 하였다고 전해진다.<ref>"공주 갑사에서.....전해진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777&cid=50223&categoryId=51051 영규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공주 갑사]] [[청련암]]에서 불법을 닦으면서 함께 무예를 익혔는데 그 재능을 따를 자가 없었으며,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분을 이기지 못하고 3일 동안 통곡하고 스스로 승병장이 되었다고 전해진다.<br/>
 
승병 1천명을 모집하여 [[옥천 가산사]]에서 승병을 훈련시켰고, 이후 의병장 [[조헌]] 선생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청주성]]의 수복은 청주지역을 회복한 것일뿐만 아니라 왜군이 호남지역과 충청지역으로 진출하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을 빼앗았다는 측면에서 일대의 쾌거라고 할 수 있었다.<br/>
 
[[청주성 전투]]를 통해 영규는 [[조헌]] 선생과 인연을 맺고, 2차 금산전투에 참전하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영규와 [[조헌]] 선생을 포함한 700명 모두가 그 자리에서 싸우다 순절하는 결과를 맞게 된다.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조선 선조]] 임금은 청주성에서의 승전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는데, 하사한 선물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br/>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조직하여 봉기한 것은 영규가 최초로, 이를 바탕으로 이후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봉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선조|조선 선조]] 임금은 영규의 높은 공적을 인정해 사후 종2품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직위를 하사하였다.
 
  
===승려로서의 모습===
+
===출가수행===
승려로서 [[영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자료는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다.
+
출가한 뒤 [[휴정]]의 제자가 되었다고 전해지나, 승려로서 [[영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은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다.<br/>
 +
[[공주 갑사]] [[청련암]]에서 불법을 닦으면서 무예를 익혔는데 그 재능을 따를 자가 없었으며,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분을 삭이지 못하여 3일 동안 통곡하고 스스로 승병장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의병으로서의 모습===
 
===의병으로서의 모습===
1592년 8월 1일 [[청주성 전투]]에서의 승리는 임진왜란 발발 4개월여만의 첫 지상전 승리로 알려져 있다.<br/>
+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정은 승병 1천명을 모집하여 [[옥천 가산사]]에서 훈련시켰고, 이후 의병장 [[조헌]] 선생과 함께 1592년 8월 1일 [[청주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청주성]]의 수복은 청주지역을 회복한 것일뿐만 아니라 왜군이 호남지역과 충청지역으로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거점을 빼앗았다는 측면에서 일대의 쾌거라고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발발 4개월여 만에 거둔 첫 지상전 승리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br/>
이어 8월 18일 [[조헌]]이 이끄는 700명의 의병과 영규가 이끄는 800명의 승병이 [[금산전투]]에 참전해 모두 순절하였으며, 이로부터 4일 뒤 [[조헌]]의 제자들이 시체를 거두어 커다란 하나의 무덤을 만들었으니 그것이 현재의 [[금산 칠백의총]]에 해당한다.<br/>
+
이어 8월 18일 [[조헌]]이 이끄는 700명의 의병과 영규가 이끄는 800명의 승병이 [[2차 금산전투]]에 참전하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영규와 [[조헌]] 선생을 포함한 모두가 그 자리에서 싸우다 순절하는 결과를 맞게 된다.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조선 선조]] 임금은 [[청주성]]의 승전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는데, 선물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br/>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불교계에서는 조선 시대 뿌리 깊은 배불(排佛)정책으로 인해 승장 영규와 8백 명의 승군은 [[금산 칠백의총]]에 함께 묻히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br/>
+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조직하여 봉기한 것은 영규가 최초로, 이를 바탕으로 이후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봉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 선조]] 임금은 영규의 높은 공적을 인정해 사후 종2품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직위를 하사하였다.<br/>
실제 선조수정실록은 [[조헌]]이 [[금산전투]]에 의병 700명을 이끌고 참전하자 영규가 [[조헌]]을 혼자 죽게 할 수 없다며 승병 800명을 데리고 함께 싸워 모두 전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br/>
+
 
[[임진왜란]] 이후 전투에서의 공적이 왜곡되거나 승병들의 활약상이 공적에서 누락되는 일이 흔하게 발생하였음을 고려할 때 그와 같은 맥락을 온전히 부정하기도 어렵다.<br/>
+
===금산 칠백의총 관련 논란===
 +
[[2차 금산전투]]로부터 4일 뒤 [[조헌]]의 제자들이 시체를 거두어 커다란 하나의 무덤을 만들었으니 그것이 현재의 [[금산 칠백의총]]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불교계에서는 조선 시대 뿌리 깊은 배불(排佛)정책으로 인해 승장 영규와 8백 명의 승군은 [[금산 칠백의총]]에 함께 묻히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br/>
 +
실제 선조수정실록은 [[조헌]]이 [[2차 금산전투]]에 의병 700명을 이끌고 참전하자 영규가 [[조헌]]을 혼자 죽게 할 수 없다며 승병 800명을 데리고 함께 싸워 모두 전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승병들이 참전하여 활약한 공적이 왜곡되거나 누락되는 일이 흔하였음을 고려할 때 그와 같은 맥락을 온전히 부정하기도 어렵다.<br/>
 
현재 [[공주 갑사]]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으로서 [[영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영규대사대제]]를 개최하고 있다.
 
현재 [[공주 갑사]]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으로서 [[영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영규대사대제]]를 개최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영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영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영규]]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규]]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금산 칠백의총]] || [[영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규]]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조헌]] || [[영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영규]] ||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592년 8월
+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갑사 표충원]] || [[영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 칠백의총]] || [[영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의승당 영규대사 기적비]] || [[갑사 표충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영규]]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의승당 영규대사 기적비]] || [[영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
 
 
|}
 
|}
  
73번째 줄: 89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592년 8월 || [[영규]]가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
| 1592년 8월 1일 || [[영규]]가 [[청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1592년 9월 23일-24일 || [[영규]]가 [[2차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
|-
 +
|1592년 9월 24일 || [[영규]]가 [[2차 금산전투]]에서 사망하였다
 
|-
 
|-
 
|}
 
|}
89번째 줄: 109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영규_영정.jpg|영규대사 영정<ref>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243 영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 칠백의총 기념관.jpg|[[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금산 칠백의총]]
 +
</gallery>
 +
 
===영상===
 
===영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 대제"(2012.09.04)'''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호국불교의 기상을 세운 승려 사명당 유정(게시일: 2015년 4월 12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pt5h9_Zism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 대제"(게시일: 2012년 9월 4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_tNv04qr3l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_tNv04qr3l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전장기적비"(2012.10.04)'''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전장기적비"(게시일: 2012년 10월 4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Y1okSRWwc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Y1okSRWwc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118번째 줄: 153번째 줄:
 
#* 조인스 블로그 pts47, "[http://article.joins.com/news/blognews/article.asp?listid=12381613 임진왜란 최초의 僧將(승장) 靈圭(영규) 대사 묘]", 『중앙일보』, 작성일: 2011년 09월 17일.
 
#* 조인스 블로그 pts47, "[http://article.joins.com/news/blognews/article.asp?listid=12381613 임진왜란 최초의 僧將(승장) 靈圭(영규) 대사 묘]", 『중앙일보』, 작성일: 2011년 09월 17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민족기록화 인물]]
+
===유용한 정보===
 +
#  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243 영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2월 22일 (금) 15:03 기준 최신판

영규(靈圭)
김영길, "영규",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영규
한자표기 靈圭
생몰년 미상-1592년
본관 밀양(密陽)
기허(騎虛)
출생지 충청남도 공주
시대 조선
국적 대한민국
성격 승려, 승장


정의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싸우다 전사한 조선시대 승려이다.

내용

가계와 탄생

영규의 출가 전 속성(俗姓)은 밀양 박씨로 전해진다. 공주시 유평리에서 태어났으며, 집안 형편이 어려워 공주 갑사에서 불목하니[1]를 하였다고 전해진다.[2]

출가수행

출가한 뒤 휴정의 제자가 되었다고 전해지나, 승려로서 영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은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다.
공주 갑사 청련암에서 불법을 닦으면서 무예를 익혔는데 그 재능을 따를 자가 없었으며,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분을 삭이지 못하여 3일 동안 통곡하고 스스로 승병장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의병으로서의 모습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정은 승병 1천명을 모집하여 옥천 가산사에서 훈련시켰고, 이후 의병장 조헌 선생과 함께 1592년 8월 1일 청주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청주성의 수복은 청주지역을 회복한 것일뿐만 아니라 왜군이 호남지역과 충청지역으로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거점을 빼앗았다는 측면에서 일대의 쾌거라고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발발 4개월여 만에 거둔 첫 지상전 승리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어 8월 18일 조헌이 이끄는 700명의 의병과 영규가 이끄는 800명의 승병이 2차 금산전투에 참전하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영규와 조헌 선생을 포함한 모두가 그 자리에서 싸우다 순절하는 결과를 맞게 된다.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조선 선조 임금은 청주성의 승전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는데, 선물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조직하여 봉기한 것은 영규가 최초로, 이를 바탕으로 이후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봉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 선조 임금은 영규의 높은 공적을 인정해 사후 종2품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직위를 하사하였다.

금산 칠백의총 관련 논란

2차 금산전투로부터 4일 뒤 조헌의 제자들이 시체를 거두어 커다란 하나의 무덤을 만들었으니 그것이 현재의 금산 칠백의총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불교계에서는 조선 시대 뿌리 깊은 배불(排佛)정책으로 인해 승장 영규와 8백 명의 승군은 금산 칠백의총에 함께 묻히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
실제 선조수정실록은 조헌2차 금산전투에 의병 700명을 이끌고 참전하자 영규가 조헌을 혼자 죽게 할 수 없다며 승병 800명을 데리고 함께 싸워 모두 전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승병들이 참전하여 활약한 공적이 왜곡되거나 누락되는 일이 흔하였음을 고려할 때 그와 같은 맥락을 온전히 부정하기도 어렵다.
현재 공주 갑사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으로서 영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영규대사대제를 개최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영규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금산 칠백의총 영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영규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성 유점사 유정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갑사 표충원 영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승당 영규대사 기적비 갑사 표충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의승당 영규대사 기적비 영규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92년 8월 1일 영규청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9월 23일-24일 영규2차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9월 24일 영규2차 금산전투에서 사망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30603 127.4907873 금산 칠백의총은 영규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호국불교의 기상을 세운 승려 사명당 유정(게시일: 2015년 4월 12일)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 대제"(게시일: 2012년 9월 4일)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영규대사전장기적비"(게시일: 2012년 10월 4일)

주석

  1. 절에서 밥을 짓고 물을 긷는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
  2. "공주 갑사에서.....전해진다" : "영규대사",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3. 김영길, "영규",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2. 웹 자원
  3. 기사

유용한 정보

  1. 김영길, "영규",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