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초상화 이황 표준영정.pn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황 표준영정.jpg
|사진출처=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4 이황]",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황
 
|대표명칭= 이황
 
|한자표기= 李滉
 
|한자표기= 李滉
7번째 줄: 8번째 줄:
 
|본관= 진보(眞寶)
 
|본관= 진보(眞寶)
 
|이칭=
 
|이칭=
|시호=  
+
|시호= 문순(文純)
 
|호= 퇴계(退溪), 퇴도(退陶)
 
|호= 퇴계(退溪), 퇴도(退陶)
|자= 문순(文純)
+
|자= 경호(景浩)  
 
|생년=1501
 
|생년=1501
 
|몰년=1570
 
|몰년=1570
16번째 줄: 17번째 줄:
 
|시대=조선
 
|시대=조선
 
|국적=
 
|국적=
|대표저서= [[성학십도]], [[심경후론]], [[주자서절요]]
+
|대표저서= [[성학십도]], [[심경후론]], [[주자서절요]], [[도산십이곡]]
 
|대표직함=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단양군수, 대제학
 
|대표직함=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단양군수, 대제학
|배우자=
+
|배우자= [[이황 처 김해 허씨]]<br/>[[이황 처 안동 권씨]]
 
|부= [[이식]]
 
|부= [[이식]]
|모=  
+
|모= 이식 처 춘천 박씨
 
|자녀=  
 
|자녀=  
 
|전임자=
 
|전임자=
31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조선 연산군|연산군]]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인물이다.
+
[[조선 연산군|연산군]]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문신·학자이다.
  
 
==내용==
 
==내용==
===성장배경과 가족관계===
+
===이황의 어린시절===
채제공(1720~1799)은 18세기 후반 남인의 영수로 알려진 정치가이다. 충청도 홍주에서 [[채응일|채응일(蔡膺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연안 이씨 [[이만성|이만성(李萬成)]]의 딸이다.
+
[[이황]]은 1501년 11월 25일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에서 태어났다. 이황이 태어난지 7개월 만에 아버지 [[이식]]이 세상을 떠났다. [[이황]]은 12살 때 [[이우]]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23살 때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2달 만에 성균관을 떠나게 되나, 이 때 [[김인후]]와 친분을 쌓는다. [[이황]]은 1533년(33세)에 다시 [[성균관]]에서 공부하였고 이 때 [[김안국]]과 친분을 쌓는다.  
채제공이 태어나 성장할 무렵의 정치 상황이 그의 가문이 속한 남인들에게 매우 좋지 않았다. [[조선 숙종|숙종]]대의 [[갑술환국]], [[조선 영조|영조]] 초반에 있었던 무신란의 여파로 남인 계열의 주요 인물들이 사사되거나 연루되어 벼슬에 나가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당대 남인 문장가로 알려진 [[강박|강박(姜樸)]]과 영조대 남인 세력의 구심을 이루었던 [[오광운|오광운(吳光運)]]등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강박]]은 [[오광원]]의 형 [[오필운]]의 딸과 채제공의 혼인을 주선하여, 채제공이 [[오광운]]의 뒤를 이어 남인 정파를 주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김지영,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5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채제공의 정계활동===
 
====영조대의 정계활동====
 
채제공은 1743년(영조 19)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조의 눈에 들어 주요 관직을 역임하고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753년에 호서암행어사로 [[균역법]]에 대한 백성의 여론을 파악하였고, [[홍문관]]의 관리로 경연에 참여하였다. 1758년  『[[열성지장|열성지장(列聖誌狀)]]』과 『[[어제상훈보편|어제상훈보편(御製常訓補篇)]]』의 교정 및 편차에 참여한 공로로 [[도승지]]에 임명되었다. 1768년에는 『[[어제속집경당편집]]』의 편찬을 담당하였다. 체제공은 1770년 병조판서에 제수된 후 수년 간 호조판서와 병조판서에 번갈아 제수되었다. 이 때에는 약방제조의 일도 겸하여 영조의 건강을 살폈다.  
 
<ref>김지영,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5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정조대의 정계활동====
+
===이황의 정계활동===
1776년 국장도감제조로서 영조의 [[행장]]·[[시장]]·[[어제]]·[[어필]]의 편찬 작업과 영조실록 편찬사업에 참여하였다. 사도세자의 일이나 세손 시절 왕위 계승 또는 추숭 문제에 개입했던 [[김상로|김상로(金尙魯)]], [[이덕사]], [[조재한]] 등을 처단할 때 형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로서 옥사를 처결하였다. 1780년(정조 4) [[홍국영|홍국영(洪國榮)]]의 세도가 무너지고  소론계 공신인 [[서명선|서명선(徐命善)]]이 주도하는 정권이 들어섰다. 채제공은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의 추숭을 주장하는 무리들과 연계되어 있다는 죄목 등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788년(정조 12)정조가 친필로 채제공을 우의정에 발탁하였다. 1789년 좌의정이 되어 [[사도세자(장조)]]의 묘소를 옮겨 [[현륭원]]으로 봉하는 일을 주도하여 처리하였다. 우의정 [[김종수|김종수(金鍾秀)]]와 함께 탕평정국을 주도했다. <ref>김지영,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5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황]]은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이황]]은 1527년 아내 허씨가 세상을 떠나자 1529년 [[권질]]의 딸 안동 권씨에게 다시 장가를 갔다. 1535년에 여주 목사로 있던 [[이순|이순(李純)]][[여주 신륵사|신륵사(神勒寺)]]에을 방문하였다. 1549년에 [[영주 소수서원|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줄 것을 청하였다.<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793년에 잠깐 영의정에 임명되었을 때는, 전일의 영남만인소에서와 같이 사도세자를 위한 단호한 토역(討逆)을 주장하여 이후 노론계의 집요한 공격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그 뒤는 주로 [[화성행궁]]의 건설을 담당하다가 1798년 사직하였다.
 
<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46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채제공의 교유관계===
+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
채제공은 남인들이 참여하는 시회를 열어 친목을 도모하였다. [[목만중]], [[유하원]], [[이정운]], [[이익운]], [[정약용]] 등이 여기에 참석하였다. 1788년 정조가 특명으로 채제공을 우의정에 임명한 후에는 때때로 용산의 [[시안정]]에서 모여 지인들과 시를 지으며 회포를 풀었다. 채제공이 남인들의 화합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승훈]], [[이가환]], [[정약종]] 등이 [[서학]]에 기울면서 균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채제공은 서학에 대해 비판적이었지만 정학(正學)을 올바로 세우고 남인들의 불우한 처지가 개선된다면 저절로 서학에 기울었던 젊은이들의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1799년 채제공, 1800년 [[조선 정조|정조]]가 세상을 떠나고,  [[목만중]][[채홍리]] 등은 [[조선 순조|순조]] 초년 서학과 관련된 문인들에 대한 대대적인 처벌에 앞장서게 된다. 채제공도 이들 서학과 관련된 문인들을 양성한 이로 지목되어 생전의 관작을 모두 빼앗겼고 후손들도 영락하게 되었다.
+
[[이황]]은 말년에 고향에 은거하면서 제자를 길렀다. 1550년에는 신진학자 [[기대승]]에게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해 논변하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것이 바로 ‘[[사단칠정논쟁]]’이다.
<ref>김지영,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5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채제공의 학문활동===
+
 
채제공은 문숙(文肅)이라는 시호가 보여주듯이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이자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고 문학에 뛰어났던 다섯 명의 남인 중 하나로 일컬어졌다. [[이황]]-[[정구]]-[[허목]]-[[이익]]으로 이어지는 남인 학맥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정통 주자학의 입장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18세기 조선의 여러 적체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힘썼고 특히 부세 제도 운영상의 문제를 개선하고, 국가 재정을 충실하게 하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사족 중심의 신분질서와 적서의 차별 등 기왕의 질서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했다. 순조 때 채제공과 정조대 진출했던 남인 대부분이 축출된 후 후손들이 영락하면서 채제공이나 그의 문인들의 기록들이 유실될 위기에 처했다. 그나마 채제공의 문집인 [[번암집]] 59권이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되어 채제공 뿐 아니라 영조와 정조시대 주요 남인 지식인, 정치가들의 활동을 전할 수 있었다. 순조대 [[유태좌|유태좌(柳台佐)]]가 청양(靑陽)에 영각(影閣)을 세워 채제공을 기념하기도 했다. 1965년 충청남도 부여에 [[홍가신|홍가신(洪可臣)]]·[[허목]]·[[체제공]]을 모시는 [[도강영당|도강영당(道江影堂)]]이 세워졌다.  
+
===[[성학십도]]===
<ref>김지영,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5 채제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 명종|명종]][[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이황은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조선 선조|선조]] 또한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마찬가지였다. 대신 그는 1568년에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로 정리한 『[[성학십도|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은퇴와 [[도산서원]]===
 +
1550년 [[이황]]은 퇴계(退溪) 서쪽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에 [[도산서원|도산서당(陶山書堂)]]짓고 강학에 본격적으로 힘쓰기 시작하였다. 1570년 지병이 악화되어 세상을 떠났다. 1572년 이황의 위패가 [[안동 상덕사]]에 모셔졌다. 도산서당은 [[안동 도산서원]]으로 확대되었고 1575년에 [[한호|한호(韓濩)]]가 쓴 ‘ [[도산서원|도산서원(陶山書院)]]’이란 편액을 하사받았다.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이황의 학문의 영향과 계승===
 +
당대의 [[이황]]의 문인은 [[류성룡|유성룡(柳成龍)]]·[[정구|정구(鄭逑)]]·[[김성일|김성일(金誠一)]]·[[조목]]·[[이덕홍]]·[[기대승]]·등 260여 인에 이른다. 나아가 [[이황]]의 학문은  [[성혼|성혼(成渾)]]·[[이현일|이현일(李玄逸)]]·[[이재|이재(李栽)]]·[[이익|이익(李瀷)]]·[[이상정|이상정(李象靖)]]·등 영남학파로 이어졌다.
 +
<ref>전두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6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임진왜란]] 후 [[이황]]의 학문은 일본에 전해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ref>전두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6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2/E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3/A123.htm 도산십이곡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고산구곡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채응일]] || {{PAGENAME}} || A는 B의 어버이다 ||  
+
| [[이황]] || [[이식]]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이만성]] || [[채응일 연안이씨]]} || A는 B의 어버이다 ||  
+
| [[이황]] || [[이식 춘천 박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 [[채응일 연안이씨]] || [[채응일]] || A는 B의 아내이다 ||  
+
| [[이식 춘천 박씨]] || [[이식]]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강박]] || {{PAGENAME}} || A는 B의 스승이다 ||
+
| [[이우]] || [[이식]]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오광운]] || {{PAGENAME}} || A는 B의 스승이다 ||
+
| [[이우]] || [[이황]]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오필운]] || [[오광운]] || A는 B의 형제이다 ||
+
| [[성균관]] || [[이황]]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채제공 처 동복오씨]] || {{PAGENAME}} || A는 B의 아내이다 ||
+
| [[이황]] || [[김인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오필운]] || [[채제공 동복오씨]] || A는 B의 어버이다 ||
+
| [[이황]] || [[이황 김해 허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오필운]] || [[강박]]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이황 처 안동 권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PAGENAME}} || [[승문원]] || A는 B에 소속된다 || 1743년
+
| [[이황 처 안동 권씨]] || [[권질]]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PAGENAME}} || [[홍문관]] || A는 B에 소속된다 || 1753년
+
| [[이황]] || [[이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열성지장]]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58년
+
| [[이황]] || [[여주 신륵사]]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어제상훈보편]]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58년
+
| [[이황]]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어제속집경당편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1768년
+
| [[이황]] || [[기대승]]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국장도감]] || A는 B에 소속된다 || 1776년
+
| [[성학십도]]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영조실록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1776년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현륭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789년
+
| [[이황]]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PAGENAME}} || [[화성행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이황]] || [[상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목만중]]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류성룡]]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유하원]]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정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이정운]]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김성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이익운]]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이산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정약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기대승]]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이승훈]]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황]] || [[성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이가환]]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PAGENAME}} || [[정약종]]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1521년 || {{PAGENAME}}[[이황 처 김해 허씨]]와 혼인하였다.
 
|-
 
|-
| {{PAGENAME}} || [[채홍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1529년 || {{PAGENAME}}[[이황 처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
 
|-
| {{PAGENAME}} || [[번암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1549년 || {{PAGENAME}}[[소수서원|백운동서원]]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 줄 것을 청하였다.
 
|-
 
|-
| {{PAGENAME}}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1559년 || {{PAGENAME}}[[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
 
|-
| {{PAGENAME}} || [[가체신금사목]] || A는 B에 언급된다 ||
+
| 1569년 || {{PAGENAME}}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
|-
 +
| 1572년 || {{PAGENAME}}의 위패가 [[상덕사]]에 봉안되었다.
 +
|-
 +
| 1575년 || [[한호]]가 [[도산서원]] 편액을 제작하였다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황 표준영정.jpg |이황 표준영정
 +
파일:한글팀 도산서원 전경 01.jpg|도산사원
 +
</gallery>
  
 
==주석==
 
==주석==
126번째 줄: 15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유용한 정보===
*논문
+
*박기현,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3829&brdType=R 조선에 무욕의 리더십을 펼친 퇴계]",  명사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3년 01월 16일.
**백승호,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의 시사(詩社)활동과 그 정치적 활용」, 『漢文學報』26, 우리한문학회, 2012.
+
*정창권,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08/2015040803267.html 지적장애 아내를 평생 사랑으로 보살핀 퇴계 이황]", 『조선일보』, 작성일: 2015년 04월 09일.
 +
*김현용, "[http://www.asiac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93 퇴계(退溪)이황(李滉)과 일본]", 『아시아씨이뉴스』, 작성일: 2017년 04월 04일.
 +
*박구재,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509251001101&code=920100 지폐인물열전(34) 퇴계 이황…성리학의 큰 산]", 『경향신문』, 작성일: 2015년 09월 25일.
  
*단행본
 
**수원화성박물관, 『번암 채제공의 생애와 활동』, 수원화성박물관, 2013.
 
 
===유용한 정보===
 
*박기현,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4114&brdType=R 채제공, 성군 정조를 지킨 보디가드]",  명사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2013년 03월 27일.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이혜영]]
+
[[분류:역사인물]]
[[분류:초상화]]
 

2017년 11월 30일 (목) 15:40 기준 최신판


이황(李滉)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황 표준영정.jpg
대표명칭 이황
한자표기 李滉
생몰년 1501-1570
본관 진보(眞寶)
시호 문순(文純)
퇴계(退溪), 퇴도(退陶)
경호(景浩)
시대 조선
대표저서 성학십도, 심경후론, 주자서절요, 도산십이곡
대표직함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단양군수, 대제학
배우자 이황 처 김해 허씨
이황 처 안동 권씨
이식
이식 처 춘천 박씨



정의

연산군선조대의 문신·학자이다.

내용

이황의 어린시절

이황은 1501년 11월 25일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에서 태어났다. 이황이 태어난지 7개월 만에 아버지 이식이 세상을 떠났다. 이황은 12살 때 이우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23살 때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2달 만에 성균관을 떠나게 되나, 이 때 김인후와 친분을 쌓는다. 이황은 1533년(33세)에 다시 성균관에서 공부하였고 이 때 김안국과 친분을 쌓는다. [1]

이황의 정계활동

이황은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이황은 1527년 아내 허씨가 세상을 떠나자 1529년 권질의 딸 안동 권씨에게 다시 장가를 갔다. 1535년에 여주 목사로 있던 이순(李純)신륵사(神勒寺)에을 방문하였다. 1549년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줄 것을 청하였다.[2]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

이황은 말년에 고향에 은거하면서 제자를 길렀다. 1550년에는 신진학자 기대승에게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해 논변하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것이 바로 ‘사단칠정논쟁’이다. [3]

성학십도

명종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이황은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선조 또한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마찬가지였다. 대신 그는 1568년에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로 정리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4]

은퇴와 도산서원

1550년 이황은 퇴계(退溪) 서쪽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강학에 본격적으로 힘쓰기 시작하였다. 1570년 지병이 악화되어 세상을 떠났다. 1572년 이황의 위패가 안동 상덕사에 모셔졌다. 도산서당은 안동 도산서원으로 확대되었고 1575년에 한호(韓濩)가 쓴 ‘ 도산서원(陶山書院)’이란 편액을 하사받았다. [5]

이황의 학문의 영향과 계승

당대의 이황의 문인은 유성룡(柳成龍)·정구(鄭逑)·김성일(金誠一)·조목·이덕홍·기대승·등 260여 인에 이른다. 나아가 이황의 학문은 성혼(成渾)·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익(李瀷)·이상정(李象靖)·등 영남학파로 이어졌다. [6] 임진왜란이황의 학문은 일본에 전해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7]

지식 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황 이식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황 이식 처 춘천 박씨 A는 어머니 B가 있다 A ekc:hasMother B
이식 처 춘천 박씨 이식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우 이식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이우 이황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성균관 이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황 김인후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황 이황 처 김해 허씨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황 이황 처 안동 권씨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황 처 안동 권씨 권질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황 이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황 여주 신륵사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황 영주 소수서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황 기대승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성학십도 이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도산십이곡 이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황 안동 도산서원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이황 상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황 류성룡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황 정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황 김성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황 이산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황 기대승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황 성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521년 이황이 이황 처 김해 허씨와 혼인하였다.
1529년 이황이 이황 처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1549년 이황이 백운동서원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 줄 것을 청하였다.
1559년 이황이 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1569년 이황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1572년 이황의 위패가 상덕사에 봉안되었다.
1575년 한호도산서원 편액을 제작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