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산 보현사
향산 보현사 (海州 神光寺) |
|
대표명칭 | 향산 보현사 |
---|---|
한자 | 海州 神光寺 |
주소 | 평북 향산군 향암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40호 |
건립시기 | 고려시대 |
경내문화재 | 향산 수충사, 향산 보현사 구층탑, 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
|
정의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사찰.
내용
한국 5대 사찰 중의 하나로 꼽힌다. 968년(광종 19)에 창건되었다.[1]
1028년(현종 19) 연주산에 들어가 살았던 탐밀(探密)과 그의 제자 굉확(宏廓)이 모여드는 학승들을 수용할 절을 짓기 위해, 기존의 보현사 동남쪽 100여 보 되는 장소에 243칸의 정사(精舍)를 이룩함에 따라 보현사는 묘향산을 대표하는 절이 되었다.[2]
1067년(문종 21)에 문종은 땅과 밭을 하사하였고, 1160년(고려 의종 14) 10월 12일 왕은 이 절에 행차하여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하고 30근의 은병(銀甁) 10개를 만들게 하였는데, 각각에 다섯 가지 향(香)과 다섯 가지 약을 담아서 불전(佛前)에 바쳤다.[3]
보현사는 그 뒤 다섯 번의 중창 사실이 나타난다. 1096년(숙종 1)에는 달보(達寶)가 재창하였고, 1361년(공민왕 10)에는 나옹(懶翁)이 3창하였으며, 1449년(세종 31)에는 해정(海正)이 4창하였다.[4]
1634년(인조 12) 화재로 건물들이 불타자 명조(明照)와 각성(覺性)이 중창하였으며, 1761년(영조 37) 9월에 다시 실화(失火)하여 절이 모두 불타버리자 4년 동안에 걸쳐 남파(南坡)·향악(香岳) 등이 여섯번째로 중창하였다.[5]
1818년(순조 18)에는 이 절에 머물고 있던 한월(漢月)에 의하여 개금불사(改金佛事)가 이루어졌고, 1912년 12월 23일에는 ‘선교양종대본산묘향산보현사(禪敎兩宗大本山妙香山普賢寺)’라는 공식 절 이름 아래 30본산 중의 하나로 등장하였다.[6]
보현사는 아름다운 경치에서 뛰어날 뿐 특히 임진왜란시기에 이름을 떨친 애국적인 중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사적이 있어서 그 이름이 높다. 묘향산어구의 향산천 기슭에 웅장하게 들어앉은 본사인 보현사와 골짜기와 봉우리들에 널려 있는 말사와 암자들에는 뛰어난 건축술이 깃들어 있다.[7]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향산 보현사와 관련된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향산 보현사 | 향산 수충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향산 보현사 구층탑 | 향산 보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 향산 보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향산 보현사 | 탐밀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향산 보현사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향산 보현사 | 해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향산 보현사 | 달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향산 보현사 | 혜근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향산 보현사 | 각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휴정 | 향산 보현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향산 보현사 | 유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보현사",
『두산백과』online . - ↑ 김위석,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사)평화문제연구소, 2008. 온라인참조:"보현사",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보현사",
『두산백과』online . - "보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사)평화문제연구소, 2008. 온라인참조:"보현사",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