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Encyves Wiki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淸道 雲門寺 雪松大師碑) |
|
대표명칭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Seolsong at Unmunsa Temple, Cheongdo |
한자 | 淸道 雲門寺 雪松大師碑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
찬자 | 이천보(李天輔) |
서자 | 이정보(李鼎輔), 이익보(李益輔) |
각자 | 미상 |
서체 | 전서(篆書), 해서(階書) |
승려 | 연초(演初) |
건립연대 | 1754년 |
|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雲門寺)에 있는 설송대사 연초(雪松大師 演初, 1676-1750)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임진왜란 이후 운문사(雲門寺)를 크게 중창한 설송대사(雪松大師)를 기념하기 위해 1754년(영조 30)에 세워졌다.[1] 높이 190㎝, 너비 87㎝, 두께 33㎝이며, 윗부분이 둥근 호패 모양의 비신(碑身)[2]이 네모 모양의 비 받침 위에 고정되어 있다.[3]
비문
비신의 앞면에는 설송대사(雪松大師)의 비를 제작한 이유와 휴정(休靜)의 문도(門徒)를 하나로 통합한 내용 등 대사의 생애와 행적이 실려있다. 대사가 입적한 후 사리 8과를 운문사(雲門寺)와 통도사(通度寺)에 나누어 간직한 내용도 실려 있다.[4] 뒷면에는 설송대사 제자들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다.[5]
비문 보러가기 |
• "운문사설송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비문의 찬자와 서자
이 비의 비문은 이천보(李天輔)가 짓고, 이정보(李鼎輔)가 본문을 썼으며,[6] 이익보(李益輔)가 "설송대사비명(雪松大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을 썼다.[7]
이들은 모두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이정구(李廷龜)의 현손들이며, 한 집안의 종형제 셋이 비문 하나를 짓고 쓰고 제액을 하는 일은 기이하고 드문 일이다.[8] 이천보는 비문의 서문에서 자신의 조상대부터 4대에 걸쳐 휴정(休靜)의 법맥을 이은 승려들의 비문을 지었으며, 자신이 설송대사의 제자인 남붕(南鵬) 등의 요청으로 비문을 짓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9]
전에 우리 5대조 월사공(月沙公: 이정구)께서는 휴정대사(休靜大師: 서산대사)의 비명(碑銘)을 썼고, 고조 백주공(白洲公: 이명한(李明漢))께서는 언기대사(彦機大師)의 비명을, 종증조 정관공(静觀公: 이단상(李端相))께서는 의심대사(義諶大師)의 비명을, 종조 지촌공(芝村公: 이희조(李喜朝))께서는 설제대사(雪霽大師)의 비명을 쓰셨다. 휴정으로부터 설제까지는 4대인데 그 비명이 모두 우리 집안에서 4대째 나왔으니 매우 기이한 일이다. 영남(嶺南)의 승려 남붕(南鵬)이 그의 스승 연초대사(演初大師: 설송대사)의 비명 때문에 와서 나를 만났다. ...(중략)... 나는 본래 불교의 문자를 좋아하지는 않으나 대사와는 5대의 정의가 있으니 어찌 사양하겠는가? 그러므로 마침내 명을 썼다. | ||
출처: "운문사설송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청도 운문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연초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754년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이천보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이정보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이익보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6쪽.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바탕돌
- ↑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6쪽.
- ↑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5쪽.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4-99쪽.
-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운문사설송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