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찬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px-Disambig grey.svg.png 다른 뜻에 대해서는 찬영(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찬영(粲英)
BHST Monk1.png
대표명칭 찬영
영문명칭 Chanyeong
한자 粲英
생몰년 1328(충숙왕 15)-1390(공양왕 2)
시호 대지국사(大智國師)
목암(木菴)
찬영(粲英)
탑호 지감원명(智鑑圓明)
고저(古樗)
성씨 한씨(韓氏)
본관 양주(楊州)
승탑비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찬영스님의 1328년(충숙왕 15) 1월 8일에 태어났다. 성은 한씨(韓氏), 자는 고저(古樗), 호는 목암(木菴)이다. 경기도 양주 출신이다. 아버의 휘는 적(績)이고, 사복시직장(司僕寺直長)을 역임하였다. 어머니는 선관서승(膳官署丞)인 영번(永潘)의 딸로 청주곽씨(淸州郭氏)이다.[1]

Quote-left.png 스님의 휘는 찬영(粲英)이고 字는 고저(古樗)이며, 호는 목암(木菴)이다. 속성은 한씨(韓氏)이며 아버지의 휘(諱)는 적(績)이니 양주(楊州) 사람으로 사복직장(司僕直長)을 역임하였고, 어머니는 곽씨(郭氏)이니, 청주(淸州) 출신으로 선관서승(膳官署丞)인 영번(永潘)의 딸이다. 태정(泰定) 무진년(戊辰年, 1328) 1월 8일에 탄생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0-11쪽.


출가수행

14세에 삼각산 중흥사(重興寺)로 출가하여 보우(普愚)의 제자가 되었으며, 5년 동안 법을 배워 성취한 바가 있었다. 그 뒤 정혜국사(淨慧國師)의 가르침을 받고 가지산총림(迦智山叢林)에 참여하여 제2좌(第二座)가 되었으며, 다시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의 수자화상(守慈和尙)을 참배하여 선법(禪法)을 익혔다.[2]

Quote-left.png 14살 때 서울로 유람차 왔다가 삼각산(三角山)의 삼봉(三峰)이 우뚝 서서 초연(超然)함을 바라보고, 출가(出家)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리하여 삼각산 중흥사(重興寺) 원증국사(圓證國師)를 은사로 하여 삭발하고 스님이 되어 법(法)을 배웠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1쪽.


1350년(충정왕 2) 구산선과(九山禪科)의 상상과(上上科)에 급제하였고, 3년 후 공부선(工夫選)에서 다시 장원으로 합격하여 대흥사(大興寺) 주지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주지가 그의 본뜻이 아님을 알고 양주 소설산(小雪山)으로 들어가 정진을 계속하였으며, 삼각산에서도 3년 동안 머물렀다.[3]

Quote-left.png 경인년(庚寅年) 구산선문(九山禪門)의 승과고시에 응시하여 상상과(上上科)에 합격하였고, 계사년(癸巳年)에는 또 공부선과(功夫選科)에 으뜸으로 합격하였다. 그 당시 국일지엄존자(國一智嚴尊者)가 스님의 관상을 보고 이르기를 "이 사람은 반드시 왕의 스승인 왕사가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2쪽.


활동

1359년(공민왕 8) 왕명에 의하여 설법하였고, “승록사(僧錄司)의 일이 중대하니 평범한 승려에게는 맡길 수 없다.”는 왕의 뜻에 따라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었다. 그러나 몇 년 후 그 직책을 사양하고 석남사(石南寺)·월남사(月南寺)·신광사(神光寺)·운문사(雲門寺) 등에 머무르며 선법(禪法)을 선양하였다.[4]

Quote-left.png 을해년(乙亥年, 1359) 봄에 공민왕이 궁중으로 초치(招致)하여 스님의 법력(法力)을 공경하고, 그의 용모가 기이함을 찬탄해 마지않고 벽안달마(碧眼達磨)라고 칭하였다. ... (중략) ... 임자년(壬子年) 봄에는 공민왕이 내원(內院, 내불당)으로 맞아들여 정지원명 무애국일선사(淨智圓明 無碍國一禪師)라는 호를 올렸고 또 금란가사(金襴袈裟)와 바리대 및 묘필(妙筆)과 관음대사상(觀音大士象) 등을 선사하여 지극한 정성을 보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3-14쪽.


1377년(우왕 3) 병을 핑계하여 보개산(寶蓋山)으로 은둔하였으나, 이듬해 왕이 다시 가지사로 불렀으며, 1379년에는 태자산(太子山)에 머무르게 하였다. 1382년 다시 청량산(淸凉山)으로 들어갔으나, 1383년 3월 우왕은 왕사(王師)로 봉하고 충주 억정사(億政寺)에 머무르게 하였다. 1384년 스승인 보우화상의 비를 삼각산 중흥사에 세웠으며, 이듬해 왕명에 따라 광명사(廣明寺)로 옮겼다. 1388년(창왕 1) 창왕은 즉위와 함께 왕사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그 해 10월 흥성사(興聖寺)로 옮겨 세 번 사임하였다. 1389년(공양왕 1)에도 공양왕왕사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충주 억정사로 은둔하여 후학들을 지도하였다.[5]

Quote-left.png 계해년(癸亥年, 1383) 3월 을축일에 왕사로 책봉하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정지원명 묘변무애 국일도대선사(大曹溪宗師 禪敎都摠攝 淨智圓明 妙辯無碍 國一都大禪師)”라는 칭호를 드리고, 예를 갖추어 사신을 보내어 충주 억정사(億政寺)로 맞이하였다. ...(중략)... 스님은 또 신왕에게 왕사의 사직서와 인장을 환납하였으나, 혼군인 창왕은 이를 다시 스님에게 돌려 보내고 다시 선왕이 섬기던대로 왕사로 섬겼다. ... (중략)... 공양군이 즉위한 다음해인 경진년(1390)에 겸손한 말로 편지를 써서 사신을 보내어 경성으로 맞이하고 국사로 책봉하려 하였으나, 당시 대간으로부터 이단인 불교인을 국사로 모시는 것은 부당하다고 배척하는 상소가 있었다, 스님은 이 일을 알고 강력히 거절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5-16쪽.


입적

찬영 스님은 1390년에 세상인연이 다한 것을 말하고 열반당(涅槃堂)을 구성하도록 한 뒤, 6월 28일에 문인들을 불러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공양왕은 지감국사(智鑑國師)라는 시호와 함께 혜월원명(慧月圓明)이라는 탑호(塔號)를 내렸다.[6] 1393년(태조 2) 태조는 다시 대지국사(大智國師)라는 시호와 지감원명(智鑑圓明)이라는 탑호를 내리고, 박의중(朴宜中)으로 하여금 비문을 찬하게 하여 충주 억정사에 탑비를 세웠다.

Quote-left.png 어느날 문인(門人)에게 이르기를 "나는 올해 수명이 다 할 것이다. 더이상 머물러 있을 수 없다."라 하고, 곧 방장실(方丈室) 서쪽 중간지점을 가리키면서, "여기가 나와 인연이 있는 곳이니, 마땅히 여기에 나의 수당을 짓되, 급히 서두르라."라고 당부하였다. ...(중략)... 스님은 병을 얻어 그해(1390) 6월 28일 대중에게 이르기를 "오늘 내가 각루자(殼漏子)를 벗어 버리고자 한다"라 하고 드디어 고덕의 송(頌)을 읊어 이르기를 "곧 이 견문이 견문이 아니므로 이것 밖에 어떤 청색으로도 그대에게 보여줄 것이 없다. 이 가운데서 만약 전혀 무사한 이치를 안다면 주관인 정신(體)과 객관인 육체(用)이 나누어지든 나누어지지 않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라면서 "이것이 곧 나의 게송(偈頌)이다."라고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17-18쪽.


지식관계망

  • 대지국사 찬영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찬영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억정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보우(고려) 찬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찬영 고려 공민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조선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공부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박의중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선진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혜공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찬영 고양 중흥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고성 유점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개성 대흥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충주 억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봉화 태자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봉화 청량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찬영 장흥 보림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93년 찬영을 기리는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에 세워졌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지관, "충주 억정사 대지국사 지감원명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2-27쪽.
  • 이종익, "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