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공(眞空)
BHST Monk1.png
대표명칭 진공
영문명칭 Jingong
한자 眞空
생몰년 855(문성왕 17)-937(태조 20)
시호 진공(眞空)
탑호 보법(普法)
성씨 김씨(金氏)
승탑비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정의

고려 초기의 승려.

내용

아버지는 신라의 왕실 출신인 확종(確宗)이고, 어머니는 설씨(薛氏)이다.[1]

일찍이 부모가 죽자 가야산으로 출가하여 선융(善融)의 제자가 되었다. 874년(경문왕 14) 가야산 수도원(修道院)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삼장(三藏)을 공부하여 깊은 뜻을 밝혔다.[2]

다시 선법(禪法)을 배우기 위하여 여러 곳을 탐방하다가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를 찾아가 도의(道義)의 탑에 제자의 예를 올렸다. 그곳에서 수도하여 스승없이 깨달음을 얻었으며, 다시 김해로 옮겨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그 뒤 후백제와 태봉이 일어나자 소백산으로 들어가 절을 중수하고 수도하였다.[3]

937년(태조 20) 태조에게 나아가 후삼국의 통일을 축하하고 열반하였다. 이에 태조는 '진공(眞空)'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로사보법탑비(普法塔碑)를 세우도록 하였다.[4]

지식 관계망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와 진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영주 비로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진공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진공 양양 진전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진공 영주 비로사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선융 진공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이환추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최환규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1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2. 이종익, "진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종익, "진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1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참고문헌

  • 이종익, "진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정동락, 「진공(855-937)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26, 한국중세사학회, 2009, 5-40쪽.
  • "진공",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