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임성주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성주(任聖周)
대표명칭 임성주
한자표기 任聖周
생몰년 1711년-1788년
본관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녹문(鹿門)
중사(仲思)
시대 조선
대표저서 녹문집(鹿門集)
적(適)
윤부(尹扶)의 딸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중사(仲思)이며 호는 녹문(鹿門)이다. 충청북도 청풍 출신으로 아버지는 함흥판관 적(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윤부(尹扶)의 딸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1]

생애

1733년(영조 9) 어머니의 명으로 형과 함께 사마시에 합격하여, 이듬해에 서울로 이사하고 1750년 익위사 세마(翊衛司洗馬)ㆍ시직(侍直) 등 벼슬에 올랐으나 형제를 여의자 벼슬을 버리고 1758년 공주의 녹문(鹿門)으로 내려갔다. 1777년 정조가 즉위하자 부름을 받아 동궁(東宮)의 보도에 힘썼고, 여러 부(府)ㆍ군(郡)의 원을 역임하고 만년에 다시 녹문에 들어가 후진올 가르쳤다. 문장이 선명하고 학덕(學德)이 높았다. [2]

호락논쟁(湖洛論爭)이 일어났을 때 처음에는 스승인 이재(李縡)와 같이 낙론(洛論)을 표방하였으나 후에 호론(湖論)으로 기울어졌고, 기일원론(氣一元論)을 발전시켜 조선 성리학(性理學) 육대가(六大家)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3] 1845년(헌종 11) 대사헌에 추증(追贈)되었다. 저서로 『녹문집(鹿門集)』이 있다. [4]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재 임성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임성주 호락논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최영진, "임성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권영민, "임성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권영민, "임성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 웹 자원
    • "임성주", 『두산백과』online.
    • 최영진, "임성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논문
    • 강순애,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자필 서간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Vol.64, 한국서지학회, 2015, 49-79.
    • 김승영, 「녹문 임성주 수양론 체계와 특징」, 『동서철학연구』Vol83, 한국동서철학회, 2017. 171-191.
    • 최복희, 「녹문 임성주의 생의(生意)로서의 기(氣)와 마음의 개념」, 『생명연구』, Vol16,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0, 113-137.
    • 정덕희,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인간형성이론」, 『敎育學硏究』Vol.42 No.1, 한국교육학회, 2004. 1-27.
    • 이장희,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의 한 경향성-녹문(塵門) 임성주(任聖周)의 일원적(一元的) 철학-」, 『동양철학』Vol21, 한국동양철학회, 2004, 73-93.
  • 단행본
    • 김현, 『임성주의 생의철학:기철학의 한국적 전개와 귀결』, 한길사, 1995.
    • 홍정근, 『호락논쟁의 본질과 임성주의 철학사상』, 한국연구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