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정귀(李廷龜)
대표명칭 이정귀
한자표기 李廷龜
생몰년 1564년-1635년
본관 연안(延安)
시호 문충(文忠)
월사(月沙)ㆍ보만당(保晩堂)ㆍ치암(癡菴)ㆍ추애(秋崖)ㆍ습정(習靜)
성징(聖徵)
시대 조선
대표저서 『월사집(月沙集)』
대표직함 좌의정(左議政)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ㆍ우의정(右議政)
배우자 예조판서 권극지(權克智)의 딸 안동 권씨
이계(李啓)
김표(金彪)의 딸 광주 김씨
자녀 이조판서 이명한(李明漢), 이소한(李昭漢)
능묘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영접도감사제청의궤』의 관반(館伴),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仁穆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1] 총호사(總護使)를 역임하였다.

관직

1585년(선조 1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90년(선조 23) 문과에 급제했다.[2] 임진왜란 기간에 병조좌랑(兵曹佐郎)ㆍ병조정랑(兵曹正郎) 등을 역임하여 군무를 보았고, 1598년(선조 31) 동부승지와 승문원 부제조를 겸임했다. 같은 해 정응태(丁應泰)양호(楊鎬)를 무함하였는데, 선조가 양호를 변호하려고 사신을 파견할 때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에 가서 변주문(辨奏文)을 올렸다.[3] 1600년(선조 33) 예조판서(禮曹判書)가 되었고,[4] 광해군이 즉위한 뒤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었고,[5] 예조판서ㆍ이조판서ㆍ대제학ㆍ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6] 인목왕후를 폐서인으로 강등할 때 논의에 참여하지 않아 양사(兩司)이정귀를 탄핵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 인조반정 이후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인목왕후인열왕후를 호종했다.[8] 이후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에 이르렀고 사직을 청한 뒤에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1635년(인조 13) 사망했다.[9] 문집으로 『월사집(月沙集)』이 전해지며 장유(張維)송시열(宋時烈) 등과 교유관계가 있었다.[10]

사후

1635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다음해 문집이 간행되었다.[11]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묘가 있고 1984년 9월 12일 경기도기념물 제 79호로 지정되었다.[12]

지식 관계망

  • 이항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정귀 『영접도감사제청의궤』 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이혼 이정귀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순장 이정귀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계 이정귀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표 이정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광주 김씨 이정귀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권극지 이정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정귀 안동 권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이정귀 이명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정귀 이소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정귀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월사집 이정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 내용
1608년 이정귀는 『영접도감사제청의궤』를 담당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804080 127.331577 이정귀 묘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5-1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규장각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國朝人物考』 卷52, 「牛栗從游親炙人」, <申景禛>.
  3. 『月沙集』, 「年譜」 卷1.
  4. 『선조실록』 권130, 선조 33년(1600) 10월 5일(을해), 이정귀ㆍ유근ㆍ기자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광해군일기』 권2, 광해 즉위년(1608) 3월 1일(무자), 박진원ㆍ홍방ㆍ임장ㆍ이정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月沙集』 卷1, 「年譜」.
  7. 『광해군일기』 권172, 광해 13년(1621) 12월 25일(임진), 양사가 이정귀와 서성을 안치할 것을 청하였으나 따르지 않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인조실록』 권4, 인조 2년(1624) 2월 8일(임진), 우상 신흠ㆍ서평 부원군 한준겸 등에게 자전과 중전의 호종을 명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月沙集』 卷2, 「年譜」.
  10. 『月沙集』, 「月沙先生集序」.
  11. 『月沙集』 卷2, 「年譜」.
  12. "이정귀선생묘",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13. 문화재청(http://www.cha.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월사집』
  • 『선조실록』
  • 『광해군일기』
  • 『인조실록』
  • 『국조인물고』
  • 『한국계행보』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世子冊封 奏請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7, 한국서지학회, 2016.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戊戌辨誣 陳奏副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8, 한국서지학회, 2016.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冠服奏請 陳奏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9, 한국서지학회, 2017.
  • 權仁溶,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辨誣外交 : 李廷龜의 庚申使行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35, 명청사학회, 2011.
  • 김우진,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大明 외교활동」, 『朝鮮時代史學報』 61, 조선시대사학회, 2012.
  • 안나미, 「17세기초 공안파(公安派) 문인과 조선(朝鮮) 문인의 교유 : 구탄(丘坦)과 허균(許筠),이정귀(李廷龜)의 관계양상」, 『漢文學報』 20, 우리한문학회, 2009.
  • 양우뢰, 「이정귀(李廷龜)의 시문(詩文)을 통해서 본 명대(明代) 중(中),한문화교류(韓文化交流)」, 『동방학지』 13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유호석, 「외교활동과 예론을 통해서 본 이정귀의 현실인식」, 『전북사학』 34, 전북사학회, 2009.
  • 유권종, 「월사 이정귀의 사상」, 『한국인물사연구』 16, 한국인물사연구소, 2011.
  • 이명희, 「月沙(월사) 李廷龜(이정귀)와 白沙(백사) 李恒福(이항복)의 교유 일 고찰」, 『漢文學論集』 37, 근연한문학회, 2013.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