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귀
이정귀(李廷龜) | |
대표명칭 | 이정귀 |
---|---|
한자표기 | 李廷龜 |
생몰년 | 1564년-1635년 |
본관 | 연안(延安) |
시호 | 문충(文忠) |
호 | 월사(月沙)ㆍ보만당(保晩堂)ㆍ치암(癡菴)ㆍ추애(秋崖)ㆍ습정(習靜) |
자 | 성징(聖徵)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월사집(月沙集)』 |
대표직함 | 좌의정(左議政)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ㆍ우의정(右議政) |
배우자 | 예조판서 권극지(權克智)의 딸 안동 권씨 |
부 | 이계(李啓) |
모 | 김표(金彪)의 딸 광주 김씨 |
자녀 | 이조판서 이명한(李明漢), 이소한(李昭漢) |
능묘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
성격 | 인물 |
유형 | 백관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영접도감사제청의궤』의 관반(館伴),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仁穆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1] 총호사(總護使)를 역임하였다.
관직
1585년(선조 1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90년(선조 23) 문과에 급제했다.[2] 임진왜란 기간에 병조좌랑(兵曹佐郎)ㆍ병조정랑(兵曹正郎) 등을 역임하여 군무를 보았고, 1598년(선조 31) 동부승지와 승문원 부제조를 겸임했다. 같은 해 정응태(丁應泰)가 양호(楊鎬)를 무함하였는데, 선조가 양호를 변호하려고 사신을 파견할 때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에 가서 변주문(辨奏文)을 올렸다.[3] 1600년(선조 33) 예조판서(禮曹判書)가 되었고,[4] 광해군이 즉위한 뒤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었고,[5] 예조판서ㆍ이조판서ㆍ대제학ㆍ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6] 인목왕후를 폐서인으로 강등할 때 논의에 참여하지 않아 양사(兩司)가 이정귀를 탄핵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 인조반정 이후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인목왕후와 인열왕후를 호종했다.[8] 이후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에 이르렀고 사직을 청한 뒤에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1635년(인조 13) 사망했다.[9] 문집으로 『월사집(月沙集)』이 전해지며 장유(張維)ㆍ송시열(宋時烈) 등과 교유관계가 있었다.[10]
사후
1635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다음해 문집이 간행되었다.[11]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묘가 있고 1984년 9월 12일 경기도기념물 제 79호로 지정되었다.[12]
지식 관계망
- 이항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정귀 | 『영접도감사제청의궤』 | 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혼 | 이정귀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이순장 | 이정귀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이계 | 이정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김표 | 이정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광주 김씨 | 이정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권극지 | 이정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정귀 | 안동 권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이정귀 | 이명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정귀 | 이소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정귀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월사집 | 이정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 | 내용 |
---|---|
1608년 | 이정귀는 『영접도감사제청의궤』를 담당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804080 | 127.331577 | 이정귀 묘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5-1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이정귀 묘역.[13]
주석
- ↑ "규장각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國朝人物考』 卷52, 「牛栗從游親炙人」, <申景禛>.
- ↑ 『月沙集』, 「年譜」 卷1.
- ↑ 『선조실록』 권130, 선조 33년(1600) 10월 5일(을해), 이정귀ㆍ유근ㆍ기자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광해군일기』 권2, 광해 즉위년(1608) 3월 1일(무자), 박진원ㆍ홍방ㆍ임장ㆍ이정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月沙集』 卷1, 「年譜」.
- ↑ 『광해군일기』 권172, 광해 13년(1621) 12월 25일(임진), 양사가 이정귀와 서성을 안치할 것을 청하였으나 따르지 않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인조실록』 권4, 인조 2년(1624) 2월 8일(임진), 우상 신흠ㆍ서평 부원군 한준겸 등에게 자전과 중전의 호종을 명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月沙集』 卷2, 「年譜」.
- ↑ 『月沙集』, 「月沙先生集序」.
- ↑ 『月沙集』 卷2, 「年譜」.
- ↑ "이정귀선생묘",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문화재청(http://www.cha.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월사집』
- 『선조실록』
- 『광해군일기』
- 『인조실록』
- 『국조인물고』
- 『한국계행보』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世子冊封 奏請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7, 한국서지학회, 2016.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戊戌辨誣 陳奏副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8, 한국서지학회, 2016.
- 강순애, 「月沙 李廷龜의 冠服奏請 陳奏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서지학연구』 69, 한국서지학회, 2017.
- 權仁溶, 「明末 ‘朝鮮監護論'에 대한 朝鮮의 辨誣外交 : 李廷龜의 庚申使行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35, 명청사학회, 2011.
- 김우진,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大明 외교활동」, 『朝鮮時代史學報』 61, 조선시대사학회, 2012.
- 안나미, 「17세기초 공안파(公安派) 문인과 조선(朝鮮) 문인의 교유 : 구탄(丘坦)과 허균(許筠),이정귀(李廷龜)의 관계양상」, 『漢文學報』 20, 우리한문학회, 2009.
- 양우뢰, 「이정귀(李廷龜)의 시문(詩文)을 통해서 본 명대(明代) 중(中),한문화교류(韓文化交流)」, 『동방학지』 13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유호석, 「외교활동과 예론을 통해서 본 이정귀의 현실인식」, 『전북사학』 34, 전북사학회, 2009.
- 유권종, 「월사 이정귀의 사상」, 『한국인물사연구』 16, 한국인물사연구소, 2011.
- 이명희, 「月沙(월사) 李廷龜(이정귀)와 白沙(백사) 李恒福(이항복)의 교유 일 고찰」, 『漢文學論集』 37, 근연한문학회, 2013.
더 읽을거리
- "이정귀선생묘",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