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색 초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색 초상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李穡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654년
소장처 예산 누산영당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215-1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43.0×85.2㎝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인 이색(1328~139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색의 초상은 관복차림을 한 전신상 넉 점(누산영당본, 목은영당본, 영모영당본, 대전영당본)과 반신상 한 점(목은영당 소장)이 전해진다. 이색 생전의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후대의 작품들이다. 모두 사모에 담홍색 단령을 입고 우안구분면을 자세로 복식과 자세가 같고 모두 화면에 권근찬문이 적혀져 있다. 보물 제1215호로 일괄 지정되어있다.
이색의 초상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은 충남 예산 누산영당에 봉안되어 있는 초상화이다. 누산영당본은 허목의 동생으로 사대부화가였던 허의김명국의 달마도로 유명한 김명국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색 초상> 화폭에는 이색의 제자 권근찬문이 있다.[1]
누산영당본 이외의 다른 초상화 중 목은영당본은 누산영당본과 동일한 형식으로 화면 우측 하단의 기록을 통해 1711년 개모하여 임강서원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문헌서원영모영당 소장 초상은 1755년에 제작된 것으로 목은영당본에 비해 표현 기법면에서 떨어진다. 대전영당본은 1844년에 이모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시대는 떨어지지만 양식적으로 고식을 띄고 누산영당본과 비슷한 형식이다.[2]
이외에 목은영당 소장의 반신상은 얼굴묘사에 선염기 없이 선묘만을 사용하여 고식을 보인다. 작은 족자로 꾸몄는데 뒤쪽에 적힌 화기에는 마전영당의 구본을 기묘년에 다시 꾸민 것이라 했다. 기묘년이 어느 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소품임에도 불구하고 고격을 보여주는 초상이다.
<이색 초상>은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원본이 전하지 않고 이색이라는 중요한 역사적인물의 초상으로 인물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며 각각의 본의 회화적 수준도 높아 회화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들이다. 누산영당본 <이색 초상>은 17세기 중엽의 작품으로 이모시기가 상당히 올라가며 당대 일류화가의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색 초상>은 우안구분면의 전신교의좌상으로 여말선초의 정장관복본 초상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오사모의 형태는 양각이 좁고 긴 타원형이며 아래로 처져 있어 여말선초의 복제(服制)를 보여준다. 담홍색 단령의 깃은 완만히 패이고 깃 넓이가 좁으며 속에 입은 옷의 깃이 목위로 올라가 있어 조선 초기의 복제를 반영한다. 옷 주름은 붉은 선으로 그리고 담묵을 덧칠했다. 얼굴은 갈색 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이마, 코, 뺨 등은 약간 붉은 색으로 약간의 높낮이를 표현하였다.[3]
이색의 모습은 둥근 얼굴, 작고 부드러운 눈, 온화한 표정, 듬직한 풍채로 그려졌으며 온화한 품성이 그림에도 잘 드러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색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색 초상 이색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색 초상 예산 누산영당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색 초상 권근의 이색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권근의 이색 초상 찬문 권근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이색 초상 허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허의 허목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이색 초상 김명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명국의 달마도 김명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색 초상 우안구분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이색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단령 이색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11년 이색 초상이 제작되었다.
1995년 3월 10일 이색 초상이 보물 제1215-1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74358 126.695273 이색 초상예산 누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41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8쪽.
  3.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42쪽.
  4.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이색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6년 26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