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윤두서 자화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윤두서 자화상
"윤두서자화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尹斗緖 自畵像
작가 윤두서
제작시기 17세기 후반
소장처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
문화재지정사항 국보 제240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38.5×20.5㎝


정의

조선시대 문인 화가인 윤두서(1668~1771)가 스스로의 모습을 그린 자화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윤두서 자화상>은 현재 해남의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화상은 매우 드물게 제작되어왔다. 기록으로 보면 이미 고려시대에 공민왕이 그렸다는 <조경자사도(照鏡自寫圖)>가 허목의 『미수기언(眉叟記言)』에 보이며, 김시습도 노소(老少) 두 자화상을 그렸음이 『매월당집(梅月堂集)』에 보인다. 조선 후기에는 윤두서의 자화상과 강세황자화상이 현전하고 있다.
현재 <윤두서 자화상>은 윗부분이 생략된 탕건을 쓰고 정면관의 얼굴만 묘사되어 있는데 원래는 도포를 입은 반신상으로 그려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1937년 편찬된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에는 당시까지 보존되어온 윤두서의 자화상이 실려 있는데, 거기에는 유탄으로 도포 형상이 간단하게 그려져 있었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이 행한 X-선 조사와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안료 분석에서 원래는 귀까지 그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는 유탄 흔적이 지워져 보이지 않는다.[1]
<윤두서 자화상>은 현전하는 예가 극히 드문 조선시대의 자화상 중 하나이며 뛰어난 필력과 묘사력으로 인물의 내면을 표출해낸 탁월한 걸작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윤두서 자화상>은 정면관을 취한 얼굴을 크게 부각시켜 화폭 가득 그려 넣고, 얼굴 윤곽을 따라 구레나룻과 턱 밑의 긴 수염을 한 올 한 올 정밀하게 묘사했다. 얼굴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눈 주위, 코와 볼 사이, 눈썹 위 등의 오목한 부위에 약간 붉은기의 색채를 가하였다.[2]
윤두서와 두터운 교분을 나눴던 이하곤은 이 그림을 보고 자신의 시문집인 <두타초(頭陀草)>에 '윤효언이 스스로 그린 작은 초상에 찬하다(尹孝彦▣▣自寫小眞贊)'는 글에 윤두서의 모습이 도사나 검객 같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그림 속 윤두서의 얼굴은 진한 쌍꺼풀에 치켜 올라간 눈, 살찐 볼, 두툼한 코와 입술, 깊은 팔자주름에 얼굴 전체를 덮은 수염까지 더하여 인상이 매우 강렬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윤두서 자화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윤두서 자화상 윤두서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윤두서 자화상 윤두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윤두서 자화상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윤두서 자화상 조선사료집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사료집진 조선사편수회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이하곤 두타초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두타초 윤두서 자화상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윤두서 이하곤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탕건 윤두서 자화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도포 윤두서 자화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87년 12월 26일 윤두서 자화상이 국보 제240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49754 126.620979 윤두서 자화상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30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21쪽.
  3. "윤두서자화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윤두서 자화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6일.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이내옥, 『공재 윤두서』, 시공사, 2003.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박은순, 『공재 윤두서 :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돌베개, 2010.
  3. 논문
    • 차미애, 『공재 윤두서 일가의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