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유언호 초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언호 초상
"유언호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兪彦鎬 肖像
작가 이명기
제작시기 1787년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504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16.0×56.0㎝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유언호(1730~179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유언호 초상>은 단령 차림의 관복입상 그림으로 화면 우측 상단에 “조선의정대신 경연관내각학사 기계 유언호 자 사경 오십팔세 상(朝鮮議政大臣 經筵官內閣學士 杞溪 兪彦鎬 字 士京 五十八歲 像)”아러 쓰여 있어 유언호우의정에 올랐던 58세 때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화면 왼편 하단에 “숭정삼년 정미년에 화관 이명기가 그렸다.(崇禎三丁未 畵官 李命基 寫.)”란 기록이 있어 1787년에 이명기가 그렸음을 알 수 있다.
화폭 위쪽에는 명주를 덧대고 정조의 어평을 붙여 놓았다. “우리 만남은 꿈에서 예정되었지, 활시위 하나 다듬은 가죽 하나로 내게 최선과 차선을 가르쳐 주었네(相見于离 先卜於夢 一弦一韋 示此伯仲.)”라는 구절에는 왕세자 시절 자신의 곁에서 성심껏 보필해주었던 노대신에 대한 정조의 각별한 마음이 잘 투영되어있다.[1]
그림 오른편 하단에 “얼굴과 신장, 폭은 원래 신장과 비교할 때 절반으로 줄인 것이다.(容體長闊 視元身減一半.)”라는 내용의 글이 쓰여 있는데 유언호의 실제 신장 크기를 화면의 비율에 맞춰 축적으로 계산하여 그렸음을 알려 준다. 그림의 초상을 실제 인물의 절반 크기로 그렸다는 사실을 기술해 놓은 점은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유일한 예이다. 이는 일종의 이동식 스크린인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본을 떳기에 가능한 표현이다.[2]
<유언호 초상>은 조선 후기 최고의 초상화가였던 이명기의 실력이 여실히 드러난 명작이며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한 실험적인 작품인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유언호의 외모에 대해서는 유언호가 죽었을 때 정조가 말한 바가 있다.

Quote-left.png 상이 이르기를, 외모는 비록 청수하고 허약해 보였으나 마음속의 지조는 아주 확고하였었다.
上曰 外貌雖若淸弱 中心之操守 則極堅礭矣.
Quote-right.png
출처: 고 영돈녕부사 유언호의 졸기 『정조실록』 44권, 정조 20년 3월 19일 乙丑 5번째기사


초상에 묘사된 모습

<유언호 초상>은 오사모쌍학흉배가 부착된 흑단령을 입고 서 있는 전신입상이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관복본 초상화가 전신좌상인데 반하여 이 상은 입상인 점이 특이하다. 또한 손의 포즈는 두 손을 마주잡은 듯하면서도 실은 소매 바깥으로 살짝 나온 오른손이 왼편 소맷자락을 잡고 있다. 이러한 손의 표현은 이명기의 다른 작품인 <강세황 71세상>과 비슷하다.
얼굴은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얼굴색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서 먼저 바탕색을 살색으로 엷게 칠하고, 이보다 살짝 짙은 색으로 얼굴의 윤곽선과 이목구비를 그렸다. 이마와 코 광대뼈 등 얼굴에서 튀어나온 부분은 밝게, 눈두덩이와 콧대의 좌우부분 같은 얼굴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은 어둡게 처리하여 입체감을 살렸다. 오른쪽 눈썹 부분의 사마귀와 코 아래 천연두 자국까지 세밀하게 그렸다.

지식 관계망

  • 유언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언호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유언호 초상 유언호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유언호 초상 이명기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유언호 초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유언호 초상 조선 정조의 유언호 초상 어평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선 정조 조선 정조의 유언호 초상 어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언호 초상 강세황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세황 초상(단령본) 이명기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전신입상 유언호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유언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쌍학흉배 유언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흑단령 유언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유언호 초상.jpg |사진출처= "유언호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7년 유언호 초상이 제작되었다.
2006년 12월 29일 유언호 초상이 (보물 제1504호) 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57973 126.952750 유언호 초상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31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186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황정연, "유언호초상",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서울역사박물관, 『옛 그림을 만나다 : 조선의 회화』, 서울역사박물관, 2009.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