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왕의 융복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의 융복
(王의 戎服)
궁중기록화 복장 왕의 융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왕의 융복
한자표기 王의 戎服
분류 융복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이 군사(軍事)가 있을 때나 궁궐 밖으로 행차할 때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1883년 1월 28일 철릭을 착용하던 왕의 융복을 폐지하고 왕의 군복을 입도록 함으로써 사라지게 된다.[2]

복식 구성

갓[笠], 철릭, 광다회(廣多繪),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의 융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융복 철릭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융복 광다회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융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융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87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8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금종숙, 「朝鮮時代 철릭」,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지혜ㆍ최정욱,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金贊珠, 「철릭에 關한 服飾史的 硏究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文明姬, 「帖裏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 이순자, 「帖裏에 관한 再考論」, 『복식문화연구』 9권 2호, 복식문화학회, 2001.
  • 이은주, 「철릭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3권 4호, 한국의류학회, 1989.
  • 이은주, 「철릭의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8.
  • 李恩珠, 「16세기 전기 철릭의 구성법 일례 -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철릭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9.
  • 장인우, 「조선시대 첩리의 명칭과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5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97.
  • 장인우, 「조선중기 솜텰릭(帖裏) 구성에 대하여 –순천김씨묘 갈색명주 솜누비 털릭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일러스트 참고문헌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