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
Encyves Wiki
오준(吳竣) | |
대표명칭 | 오준 |
---|---|
한자표기 | 吳竣 |
생몰년 | 1587(선조 20)-1666(현종 7) |
본관 | 동복(同福) |
호 | 죽남(竹南) |
자 | 여완(汝完) |
시대 | 조선 |
부 | 오백령(吳百齡) |
모 | 증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가계
오준(吳竣)은 오극권(吳克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옹원직장(司饔院直長) 오세현(吳世賢)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며, 어머니는 증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이다.[1]
활동
오준은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써서 왕가의 길흉책문(吉凶冊文)과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비롯한 수많은 공사(公私)의 비명을 썼다. 특히 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1650년(효종 1)에는 예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가 되어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2]
저술 및 작품
오준의 저서로는 시문집인 『죽남당집』이 있다. 글씨로는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고성 유점사 송월당대사비, 서울 삼전도비, 인평대군묘및신도비, 대동법시행기념비 등이 있으며, 일본 닛코사(日光寺)에는 일광산조선등로명(日光山朝鮮燈爐銘)에 그의 글씨가 전한다.[3]
지식 관계망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고성 유점사 송월당대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서울 삼전도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인평대군묘및신도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대동법시행기념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주석
- ↑ 정하명, "오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하명, "오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