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현충사
Encyves Wiki
아산 현충사 (牙山 顯忠祠) |
|
대표명칭 | 아산 현충사 |
---|---|
한자표기 | 牙山 顯忠祠 |
이칭 | 아산 이충무공 유허, 현충사 |
유형 | 사우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사적 제155호 |
지정일 | 1967년 03월 18일 |
소장처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산 57 |
관련인물 | 이순신 |
|
정의
조선 전기의 무신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의 사당이다.[1]
내용
건립과 보수
1706년(조선 숙종 32) 지방 유생들이 조정에 건의하여 세웠으며 이듬해 사액(賜額) '顯忠祠'를 받았다. 1865년(고종 2) 대원군(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일시 철폐되었고, 국권피탈 이후에는 일제의 탄압으로 20여년 간 향불이 끊겼다. 1932년 이충무공유적보존회(李忠武公遺蹟保存會)와 동아일보사가 주최가 되어 전국민의 성금을 모아 현충사를 보수하고 다시 영정을 모셨다. 광복 후에는 해마다 음력 4월 28일 이순신탄신제를 지내고 있다.[2]
성역화사업
1967년에 현충사의 정문인 충무문이 건립되었고 1932년에 본전의 정문인 충의문이 처음 건립되어 1968년에야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한때 박정희 대통령은 충의문을 '자앙문(自仰門)'으로 부르기도 했으나 현재의 액호(額號)로 바꾸었다.[3]
이 밖에도 사역 안에는 충무공 이순신을 비롯하여 강민공 이완(李莞), 충숙공 이홍무(李弘茂), 충민공 이봉상(李鳳祥), 이제빈(李悌彬)의 정려각 등이 자리하였다. 또 복원한 생가, 활을 쏘며 무예를 연습하던 활터 등의 부대시설, 그리고 아들 이면의 무덤이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아산 현충사 | 대원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산 현충사 | 이충무공유적보존회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아산 현충사 | 동아일보사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아산 현충사 | 현충사 성역화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충사 성역화사업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충사구본전 | 아산 현충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현충사유물관 | 아산 현충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충무공유물 | 아산 현충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순신 표준영정 | 아산 현충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아산 이충무공 유허",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아산 이충무공 유허",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소재구 "아산이충무공유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소재구 "아산이충무공유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김진봉 "현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소재구 "아산이충무공유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아산 이충무공 유허",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아산 이충무공 유허",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김진봉 "현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