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득경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심득경(沈得經)
대표명칭 심득경
한자표기 沈得經
생몰년 1673-1710
본관 청송(靑松)
사상(士常)
시대 조선
심주(沈柱)
윤선도(尹善道)의 딸
유형 인물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내용

가계

심득경(沈得經, 1673-1710)은 1673년(현종14)에 태어났다. 청송(靑松)이 본관이며, 자는 사상(士常)이다. 그의 아버지인 심주(沈柱)는 성균생원을 지냈다. 그는 원래 판중추부사, 판의금부사, 도총관 등을 역임한 생부인 심단(沈檀)의 둘째 아들이었으나 큰아버지인 심주에게 자식이 없어 양자로 가게 되었다.[1]

생애

심단은 해남 백련동에서 출생하여 윤선도에게 학문을 익혔고 윤선도의 큰 딸과 혼인하여 심득경을 낳았다. 윤선도의 외손인 윤두서(1668~1715)와 심단의 둘째 아들인 심득경은 내종숙질 사이로 어려서부터 어울려 지냈던 사이였다. [2]

심득경윤두서보다 다섯살 아래였지만 21세가 되던 해인 1693년(숙종19년)에 윤두서와 함께 식년시(式年試)에 응하였다. 당시 과거시험 결과를 기록한 '계유식년 사마방목(癸酉式年司馬榜目)' 에는 과거에 응시한 100명 가운데 심득경이 3등(三等)에 합격하여, 30위를 차지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는 진사가 되었지만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이는 공재 윤두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처지였던 두 사람은 서로 벗하면서 늘 시문을 읊는 초야의 짝이 되었다. 이후 심득경은 1710년 8월 21일 38세에 숨을 거두었다.[3]

심득경 초상

심득경이 죽고 난 후 윤두서는 4개월 동안 그의 초상을 그려 11월에 완성하였다. 그리고 그 그림을 심득경 집으로 보냈는데, 당시의 상황은 남태응(南泰膺)이 쓴 「청죽화사(聽竹畵史)」 에서 생생히 전한다. 그에 의하면 “초상화가 터럭하나 틀리지 않아 벽에 걸었더니 온 집안이 놀라서 울었고, 마치 손숙오(孫叔敖)가 되살아난 것 같았다”고 한다. 자식을 잃은 연민과 슬픔이 얼마나 컸는지는 의롭고 영민한 초나라의 재상에 비유한 것에서 엿볼 수 있다.[4]

심득경 추모 글

심득경과 친한 벗인 이서(李潊, 1662-?)윤두서가 그림으로 표현하고 전달하기 어려운 심득경의 기질과 품성을 보완이라도 하듯 또 다른 찬시로 덧붙였다. 또 윤두서의 둘째형인 윤흥서가 1717년 심득경을 위해 쓴 묘지에서는 심득경이 향기로움과 깨끗함을 지닌 조선시대의 선비였다는 사실을 함축적으로 잘 표현하였다. [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심득경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심득경 초상 심득경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심득경 초상 국립광주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심득경 초상 윤두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심득경 윤두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심득경 이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윤선도 심득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주 심득경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주석

  1.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문동수, "심득경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심득경 초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심득경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심득경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