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신임 초상(단령본)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임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기해기사계첩",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한자명칭 申銋 肖像
작가 김진여, 박동보, 장득만, 허숙
제작시기 1720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929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76×59.5㎝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신임(申銋, 1639∼1725)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신임 초상쌍학흉배가 수놓아진 단령을 입은 반신상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신임 초상은 1719년 숙종기로소에 들어가는 대신들의 입사를 기념하여 제작하게 한 『기사계첩(耆社契帖)』에 수록된 작품으로 1720년에 완성되었다. 신임의 81세 모습이 그려졌다.[1]기사계첩(耆社契帖)』은 신임을 포함한 대신 열 명의 초상 외에 숙종의 시문, 전체 내용을 요약한 김유의 발문과 참석자 명단, 행사장면의 그림인 「어첩봉안도(御帖奉安圖)」, 「숭정전진하전도(崇政殿進賀箋圖)」, 「경현당사연도(景賢堂錫宴圖)」, 「봉배귀사도(奉盃歸社圖)」, 「기사사연도(耆社私宴圖)」 등 5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임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는 이 『기사계첩(耆社契帖)』에 실린 반신상 외에 거폭의 야복 전신상과 또 다른 야복 반신상이 전하는데 모두 80세의 모습이다. 현전하는 신임의 초상이 전부 말년의 상인 점이 이채롭다. 『기사계첩(耆社契帖)』은 임금의 초상을 그렸던 박동보·장득만·허숙 등 당대의 주요 화원들이 참여했고 10여 명의 초상화와 자필로 쓴 축시, 화원 명단이 들어 있어 당시 화풍과 서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신임 초상은 반신좌안칠분면상으로서 복식은 녹포단령흉배를 부착한 정장 관복이다. 전체적으로 10인의 화상을 한꺼번에 그렸기 때문에 화법에서 형식화된 면이 눈에 띈다. 신임 초상을 포함하여 『기사계첩(耆社契帖)』의 모든 초상화는 칠분면의 녹포단령흉배를 부착한 정장관복본으로 동일한 크기와 틀로 제작되었고 의습처리도 한결같다. 그래도 안면의 묘사에는 공을 들여서 신임의 전신(傳神) 묘출에 상당히 성공한 작품이다.[2] 신임의 얼굴은 아주 마른 노인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눈은 푹 꺼져 있고 검버섯이 얼굴 전체에 퍼져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임 초상(단령본)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신임 초상(단령본) 신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신임 초상(단령본)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조선 숙종 기사계첩 제작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기사계첩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좌안칠분면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반신좌상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단령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쌍학흉배 신임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20년 신임 초상(단령본)이 제작되었다.
1987년 12월 26일 기사계첩(耆社契帖)』이 보물 제929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신임 초상(단령본)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23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523쪽.
  3. 국립중앙박물관, "기해기사계첩",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 국립중앙박물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