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증보삼략직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간증보삼략직해
한글팀 신간증보삼략직해 02 표지.jpg
한자명칭 新刊增補三略直解
영문명칭 A Korean annotation of a military strategy book
작자 유인
작성시기 1805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290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1.7×20.2㎝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805년(조선 순조 5)에 명나라 유인이 지은 『삼략직해』를 언해한 병법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삼략직해』는 황석공(黃石公)장자방(張子房)에게 전수한 ‘삼략’을 유인(劉寅)이 풀이한 책이다. 현재 전하는 언해본의 최고본(最古本)은 ‘상지오년 을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上之五年, 乙丑仲夏京城廣通坊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는 책이다. 이 간기에서 ‘중간’이란 한문본 간행을 원간으로 보고 붙였을 가능성이 많다. 이 책은 앞에 유인의 원서(原序)가 있고, 이어서 열사석의(閱史釋義) 및 증보범례(增補凡例)가 있다. 그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한문 원문에는 한글 토가 달려 있다. 언해문은 쌍행(雙行)으로 원문과 나란히 실려 있으며, 난상(欄上)에는 한문으로 주석을 달아놓았다. 그리고 끝에 협음(叶音)이 달려 있다. 서문에서 ‘삼략(三略)’을 설명하기를 삼(三)은 상, 중, 하 3권을 말하고, 략(略)은 모략(謀略)을 말한다고 하였다. ‘열사석의’에서 죄를 성토하여 치는 것을 벌(伐), 두 병사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전(戰), 그 나라의 수도로 나아가는 것을 입(入), 그 조정과 시장을 옮기는것을 천(遷)이라고 하는 등 용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1805년(순조 5) 판본과 그 이후의 판본은 언해문의 한글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대본들은 '증보범례'의 내용도 다르다. 한글 표기는 1805년 판본이 후대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글 표기의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1]

유인에 대하여

유인(刘寅,?~?)의 자는 공진(拱辰)이고 산서 곽현(崞县, 현재 原平市) 사람이다. 명나라 초기 관원이다. 홍무3년(1370) 산서 향시에 급제하였다. [2] 홍무 4년(1371) 유인은 신해과 진사로 급제하여, 병부주사에 임명되었다. 점차 벼슬이 올라 병부시랑이 되어, 훗날 고향 현사(賢祠)에 들어갈 수 있었다. 유인은 경문과 사서에 능했고, 저작으론 『삼략직해(三略直解)』가 있다. [3]

장량황석공 이야기

세간에서 전해지는 말로는 '삼략'이란 황석공(黄石公)이 이교(圯橋)에서 장자방(張子房)에게 준 3권의 군사 전략에 관한 서책이라고 한다.『한서』 「예문지」 의하면, 장량한신 두 사람이 이 병법서 서문에서 182 항목 중, 35항목을 취하여 요약한 것인데, 여기에는 삼략이란 말은 없었다. 그러나 한 성제 시기에 임굉륜이 이 병서를 권모, 형세, 음양, 기교 4 항목으로 나누었는데, 모두 52 항목이었으며 이를 삼략이라 하였으나 그 내용 원본은 후세에 전해지지 않았다. 사서(史書)에서는 장량이 여렸을 때 하비(下邳)에 숨었는데, 이교에서 황노인(黃老人)을 만났다. 우여곡절 끝에 노인이 책 1권을 주면서 말하기를, “이 책을 읽으면 왕의 스승이 될 것이다.”하였다. 다음날 그 책을 장량이 자세히 살펴보니 바로 강태공의 병법이었다. 그 외에도 여러 설이 있으나 전반적인 내용은 장량이 이 병법서를 황노인에게서 얻었으며, 그 내용은 강태공이 서주 건국 시기 지은 『육도삼략(六韜三畧)』이라는 것이다. 명나라 때 유인이 『삼략』 및 6종의 위대한 병서를 역어서 『무경칠서직해(武經七書直解)』를 편찬하였으며, 19세기에 들어와 조선 순조 1805년에 그 중에서 『삼략직해』 만 따로 언해하여 『신간증보삼략직해』를 펴냈다.[4]

지식 관계망

  • 신간증보삼략직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간증보삼략직해 삼략직해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강태공 육도삼략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육도삼략 삼략직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경칠서직해 삼략직해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굉륜 삼략직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량 삼략직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인 무경칠서직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황석공 삼략직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81년 삼략직해가 간행되었다
1805년 신간증보삼략직해가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66 127.054394 신간증보삼략직해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01쪽.
  2. 『欽定四庫全書』, 「山西通志」 권66, 명, 과목 2, “洪武三年庚戌科鄉試......劉寅崞縣人進士.”
  3. 『崞县志』, 권3, 選舉,進士,2쪽. “明, 洪武辛亥科, 吴伯宗榜, 劉寅, 兵部主事, 累遷兵部侍郎, 入鄉賢傳.”
  4. 明 劉寅 『武經七書直解』 三畧直解, 권상, 명 만력 9년(1581) 莫與齋刻本, 218~219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사료
    • 『欽定四庫全書』, 「山西通志」 권66.
    • 『崞縣志』, 권3, 選舉, 進士.
    • 劉寅, 『武經七書直解』, 三畧直解, 권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