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방진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마방진
(魔方陣)
김용운, "마방진(魔方陣)",『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마방진
한자표기 魔方陣
영문명칭 Magic Square
관련개념 수학



정의

정사각형 격자 안에 숫자를 배열해서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같아지도록 한 수표(數表)를 가리킨다.[1]

내용

유래 및 기본구성

동양에서는 역학(易學)과 관련된 하도낙서(河圖洛書)에서 처음 마방진의 시초를 볼 수 있다. 가령 낙서의 점의 개수를 숫자로 바꾸어 보면 가로·세로 및 대각선의 수의 합이 한결같이 15이며, 이 표에서는 1부터 9까지의 수가 모두 빠짐이나 중복 없이 한 번씩 나타나 있다. 중국의 역서(曆書)에서는 이것을 (三元九星)과 관련짓는다. 즉, 구성이란 1백(白), 2흑(黑), 3벽(碧), 4녹(綠), 5황(黃), 6백(白), 7적(赤), 8백(白), 9자(紫)이다. 삼원은 상원(上元)·중원(中元)·하원(下元)이며, 180년 주기로 삼원은 되풀이된다. 삼원구성으로 인해 해마다 역서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양문화권에서는 마방진을 역(易)과 역(曆)이 관련된 신비주의사상으로 보았다. 이런 시각에서 나온 것이 (年神方位圖)이다.[2]

수학적 유희로서의 초기 마방진

우리나라에서는 사대부 출신의 수학자들이 방진 연구에 크나 큰 호기심을 나타냈다. 조선시대의 기본 산서로 사용되던 『양휘산법(楊輝算法)』에는 여러 개의 방진이 소개되어 있다. 특히 최석정(崔錫鼎)은 『구수략(九數略)』에서 매우 특이한 마방진을 구상하고 있다. 서양에서 방진의 최초 논의는 『스미르나의 데온(Theon of Smyrna)』에서 볼 수 있고, 그 뒤 부적으로도 사용되었으나 주로 수학 유희로서 널리 보급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마방진 규방미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마방진 수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마방진 유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마방진 연신방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양휘산법 마방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최석정 구수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수략 마방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스미르나의 데온 마방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용운, "마방진(魔方陣)",『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용운, "마방진(魔方陣)",『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용운, "마방진(魔方陣)",『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용운·김용국, 『한국수학사』, 열화당, 1982.
  • "마방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마방진", 스마트과학관-수의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